기록적인 추위, 북극 한파에 잦은 눈이 원인
입력 2013.01.03 (21:01)
수정 2013.01.04 (0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올 겨울 우리나라의 기록적인 추위는 지난달부터 한반도로 밀려오고 있는 북극의 찬 공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계속되는 폭설로 지면에 눈이 계속 쌓여 있어서 기온을 더욱 끌어내리고 있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반도가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북한은, 남포항에서 신의주 부근까지 150여km의 서해상이 얼음으로 뒤덮였습니다.
남쪽에는 동해안과 남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에 많은 눈이 쌓였습니다.
이번 겨울 기록적인 추위는 북극 한파가 곧장 한반도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북극 주변을 원형으로 돌던 제트기류, 이번 겨울엔 균형이 깨져 동아시아 쪽으로 계속 찬 공기를 내려보내고 있습니다.
지난달부터 쏟아진 폭설도 추위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렇게 쌓여있는 눈은 햇빛을 반사해 지면을 냉각시킵니다.
지난달 서울의 누적 적설량은 23cm로 관측 이후 두 번째로 많았고 남부지방도 30cm 이상의 눈이 온 곳이 많았습니다.
내일 아침에도 서울 영하 14도 등 중부 내륙지역은 영하 15도 안팎까지 떨어지겠습니다.
주말엔 기온이 조금 오르겠지만 추위가 완전히 풀리진 않겠습니다.
<인터뷰> 김현경(기상청 기후예측과장) : "이달 중순과 하순에도 평년보다 기온이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지형적 영향으로 서해안지역은 많은 눈이 내리겠습니다."
기상청은 다음달 상순에야 예년 기온을 되찾겠으면서 한파가 물러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올 겨울 우리나라의 기록적인 추위는 지난달부터 한반도로 밀려오고 있는 북극의 찬 공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계속되는 폭설로 지면에 눈이 계속 쌓여 있어서 기온을 더욱 끌어내리고 있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반도가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북한은, 남포항에서 신의주 부근까지 150여km의 서해상이 얼음으로 뒤덮였습니다.
남쪽에는 동해안과 남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에 많은 눈이 쌓였습니다.
이번 겨울 기록적인 추위는 북극 한파가 곧장 한반도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북극 주변을 원형으로 돌던 제트기류, 이번 겨울엔 균형이 깨져 동아시아 쪽으로 계속 찬 공기를 내려보내고 있습니다.
지난달부터 쏟아진 폭설도 추위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렇게 쌓여있는 눈은 햇빛을 반사해 지면을 냉각시킵니다.
지난달 서울의 누적 적설량은 23cm로 관측 이후 두 번째로 많았고 남부지방도 30cm 이상의 눈이 온 곳이 많았습니다.
내일 아침에도 서울 영하 14도 등 중부 내륙지역은 영하 15도 안팎까지 떨어지겠습니다.
주말엔 기온이 조금 오르겠지만 추위가 완전히 풀리진 않겠습니다.
<인터뷰> 김현경(기상청 기후예측과장) : "이달 중순과 하순에도 평년보다 기온이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지형적 영향으로 서해안지역은 많은 눈이 내리겠습니다."
기상청은 다음달 상순에야 예년 기온을 되찾겠으면서 한파가 물러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록적인 추위, 북극 한파에 잦은 눈이 원인
-
- 입력 2013-01-03 21:02:57
- 수정2013-01-04 08:16:58

<앵커 멘트>
올 겨울 우리나라의 기록적인 추위는 지난달부터 한반도로 밀려오고 있는 북극의 찬 공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계속되는 폭설로 지면에 눈이 계속 쌓여 있어서 기온을 더욱 끌어내리고 있습니다.
신방실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한반도가 꽁꽁 얼어붙었습니다.
북한은, 남포항에서 신의주 부근까지 150여km의 서해상이 얼음으로 뒤덮였습니다.
남쪽에는 동해안과 남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에 많은 눈이 쌓였습니다.
이번 겨울 기록적인 추위는 북극 한파가 곧장 한반도에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북극 주변을 원형으로 돌던 제트기류, 이번 겨울엔 균형이 깨져 동아시아 쪽으로 계속 찬 공기를 내려보내고 있습니다.
지난달부터 쏟아진 폭설도 추위를 더욱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렇게 쌓여있는 눈은 햇빛을 반사해 지면을 냉각시킵니다.
지난달 서울의 누적 적설량은 23cm로 관측 이후 두 번째로 많았고 남부지방도 30cm 이상의 눈이 온 곳이 많았습니다.
내일 아침에도 서울 영하 14도 등 중부 내륙지역은 영하 15도 안팎까지 떨어지겠습니다.
주말엔 기온이 조금 오르겠지만 추위가 완전히 풀리진 않겠습니다.
<인터뷰> 김현경(기상청 기후예측과장) : "이달 중순과 하순에도 평년보다 기온이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지형적 영향으로 서해안지역은 많은 눈이 내리겠습니다."
기상청은 다음달 상순에야 예년 기온을 되찾겠으면서 한파가 물러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KBS 뉴스 신방실입니다.
-
-
신방실 기자 weezer@kbs.co.kr
신방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기상ㆍ재해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