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수도계량기 동파 책임, 왜 소비자가?
입력 2013.01.03 (21:04)
수정 2013.01.09 (08: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렇게 강추위가 계속되면 걱정되는 게 또 하나 있는데 바로 수도 계량기 동파입니다.
동파 사고가 최근 3년간 줄어드는 추세에 있긴 하지만 이번 겨울 강추위 속에 벌써 만 건 가까이 발생했습니다.
지금까지 계량기가 동파 되면 그 교체 비용을 당연한듯 사용자가 내왔었죠?
그런데 계량기는 말 그대로 물을 얼마나 쓰는지 알기 위해 사업자가 설치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부담하지 않아도 될 책임이었습니다.
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잔뜩 얼어붙은 수도관. 뜨거운 물을 붓자 이내 물이 쏟아집니다.
계량기는 이미 깨졌습니다.
<녹취> 수도사업소 직원 : "(열선이 있는데도 동파 된 거예요?) (열선을) 감아놓고 코드는 꽂으셨나? 감아만 놨지 코드는 안 꽂았네.."
올 겨울 전국에서 이미 만개 가까운 계량기가 동파됐습니다.
동파된 계량기를 교체하면 이렇게 다음달 청구서에 대금이 사용자에게 부과됩니다.
가장 싼 수준인 서울시가 2만 원 정도.
<인터뷰> 백성일(동파 피해 주민) : "불합리하죠 그건 얘기를 안해준건데 그리고 (동파는) 저희 부주의가 아니잖아요."
지난 2010년 공정위는 주민들이 계량기 비용을 무는 것은 잘못이라며 시정권고를 내렸습니다.
하지만 1년 뒤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정반대의 표준조례를 만들어 전국 지자체에 보냅니다.
<인터뷰> 황오주(서울시 상수도사업소 계측관리과장) : "주무부서가 행정안전부니까 행정안전부 의견이 부과를 하는 것도 타당하다 이렇게 결정이 되었다는..."
지난해 말, 행안부와 환경부는 뒤늦게 지자체가 책임을 지도록 조례를 고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행안부 관계자(음성변조) : "주민 편의적인 차원에선 해야 하는데.. (행정부의 의지가 부족했다 이런 말씀이시죠?) 예 그런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수도사업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반대하겠습니까?"
하지만 개정이 늦어져 올 겨울도 주민부담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미 지난 두 해 겨울, 전국에서 13만 개가 넘는 계량기가 동파됐고 교체비용 70억 원의 절반을 사업자가 아닌 주민들이 부담했습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이렇게 강추위가 계속되면 걱정되는 게 또 하나 있는데 바로 수도 계량기 동파입니다.
동파 사고가 최근 3년간 줄어드는 추세에 있긴 하지만 이번 겨울 강추위 속에 벌써 만 건 가까이 발생했습니다.
지금까지 계량기가 동파 되면 그 교체 비용을 당연한듯 사용자가 내왔었죠?
그런데 계량기는 말 그대로 물을 얼마나 쓰는지 알기 위해 사업자가 설치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부담하지 않아도 될 책임이었습니다.
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잔뜩 얼어붙은 수도관. 뜨거운 물을 붓자 이내 물이 쏟아집니다.
계량기는 이미 깨졌습니다.
<녹취> 수도사업소 직원 : "(열선이 있는데도 동파 된 거예요?) (열선을) 감아놓고 코드는 꽂으셨나? 감아만 놨지 코드는 안 꽂았네.."
올 겨울 전국에서 이미 만개 가까운 계량기가 동파됐습니다.
동파된 계량기를 교체하면 이렇게 다음달 청구서에 대금이 사용자에게 부과됩니다.
가장 싼 수준인 서울시가 2만 원 정도.
<인터뷰> 백성일(동파 피해 주민) : "불합리하죠 그건 얘기를 안해준건데 그리고 (동파는) 저희 부주의가 아니잖아요."
지난 2010년 공정위는 주민들이 계량기 비용을 무는 것은 잘못이라며 시정권고를 내렸습니다.
하지만 1년 뒤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정반대의 표준조례를 만들어 전국 지자체에 보냅니다.
<인터뷰> 황오주(서울시 상수도사업소 계측관리과장) : "주무부서가 행정안전부니까 행정안전부 의견이 부과를 하는 것도 타당하다 이렇게 결정이 되었다는..."
지난해 말, 행안부와 환경부는 뒤늦게 지자체가 책임을 지도록 조례를 고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행안부 관계자(음성변조) : "주민 편의적인 차원에선 해야 하는데.. (행정부의 의지가 부족했다 이런 말씀이시죠?) 예 그런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수도사업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반대하겠습니까?"
하지만 개정이 늦어져 올 겨울도 주민부담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미 지난 두 해 겨울, 전국에서 13만 개가 넘는 계량기가 동파됐고 교체비용 70억 원의 절반을 사업자가 아닌 주민들이 부담했습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수도계량기 동파 책임, 왜 소비자가?
-
- 입력 2013-01-03 21:06:48
- 수정2013-01-09 08:24:15

<앵커 멘트>
이렇게 강추위가 계속되면 걱정되는 게 또 하나 있는데 바로 수도 계량기 동파입니다.
동파 사고가 최근 3년간 줄어드는 추세에 있긴 하지만 이번 겨울 강추위 속에 벌써 만 건 가까이 발생했습니다.
지금까지 계량기가 동파 되면 그 교체 비용을 당연한듯 사용자가 내왔었죠?
그런데 계량기는 말 그대로 물을 얼마나 쓰는지 알기 위해 사업자가 설치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소비자 입장에서는 부담하지 않아도 될 책임이었습니다.
박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잔뜩 얼어붙은 수도관. 뜨거운 물을 붓자 이내 물이 쏟아집니다.
계량기는 이미 깨졌습니다.
<녹취> 수도사업소 직원 : "(열선이 있는데도 동파 된 거예요?) (열선을) 감아놓고 코드는 꽂으셨나? 감아만 놨지 코드는 안 꽂았네.."
올 겨울 전국에서 이미 만개 가까운 계량기가 동파됐습니다.
동파된 계량기를 교체하면 이렇게 다음달 청구서에 대금이 사용자에게 부과됩니다.
가장 싼 수준인 서울시가 2만 원 정도.
<인터뷰> 백성일(동파 피해 주민) : "불합리하죠 그건 얘기를 안해준건데 그리고 (동파는) 저희 부주의가 아니잖아요."
지난 2010년 공정위는 주민들이 계량기 비용을 무는 것은 잘못이라며 시정권고를 내렸습니다.
하지만 1년 뒤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정반대의 표준조례를 만들어 전국 지자체에 보냅니다.
<인터뷰> 황오주(서울시 상수도사업소 계측관리과장) : "주무부서가 행정안전부니까 행정안전부 의견이 부과를 하는 것도 타당하다 이렇게 결정이 되었다는..."
지난해 말, 행안부와 환경부는 뒤늦게 지자체가 책임을 지도록 조례를 고치겠다고 밝혔습니다.
<녹취> 행안부 관계자(음성변조) : "주민 편의적인 차원에선 해야 하는데.. (행정부의 의지가 부족했다 이런 말씀이시죠?) 예 그런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수도사업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반대하겠습니까?"
하지만 개정이 늦어져 올 겨울도 주민부담이 계속될 전망입니다.
이미 지난 두 해 겨울, 전국에서 13만 개가 넘는 계량기가 동파됐고 교체비용 70억 원의 절반을 사업자가 아닌 주민들이 부담했습니다.
KBS 뉴스 박현입니다.
-
-
박현 기자 why@kbs.co.kr
박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