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객 박수로 완성하는 ‘라데츠키 행진곡’
입력 2013.01.08 (21:46)
수정 2013.01.08 (22: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새해를 맞아 신년음악회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는데요.
우리 귀에 익숙한 라데츠키행진곡이 빠지질 않습니다.
특히 관객들이 박수를 치며 함께 만들어가기 때문에 큰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심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빈 필하모닉의 새해 음악회.
올해도 마지막은 바로 이 곡, '라데츠키 행진곡'이 장식했습니다.
때로는 크게. 때로는 조용히.
어느새 객석을 향하는 지휘봉에 오케스트라와 관객의 벽은 사라집니다.
<인터뷰> 장일범(클래식 음악평론가) : "아, 정말 이제 새해가 밝았구나. 정말 희망차구나. 박수를 치면서 새해를 함께 축복하는 시간을 갖게 되는 거죠."
이 곡은 요한 스트라우스 1세가 오스트리아 장군, 라데츠키를 위해 만든 개선 행진곡인데 70여 년 전 빈 필이 앙코르로 연주하면서 관객이 손뼉을 치는 것이 전통이 됐습니다.
세계적인 지휘자 주빈 메타도 최근 내한 공연에서 이 곡을 연주하며 기립 박수를 이끌어냈습니다.
<인터뷰> 주빈 메타(지휘자) : "(요한스트라우스 곡은) 진정한 고전 음악이라고 할 수 있고요. 음악은 서로를 보며 미소를 짓게 합니다."
연주의 일부가 된 '박수'.
클래식은 엄숙해야한다는 고정관념을 깨는 것은 물론 연주자와 관객을 하나로 이어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새해를 맞아 신년음악회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는데요.
우리 귀에 익숙한 라데츠키행진곡이 빠지질 않습니다.
특히 관객들이 박수를 치며 함께 만들어가기 때문에 큰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심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빈 필하모닉의 새해 음악회.
올해도 마지막은 바로 이 곡, '라데츠키 행진곡'이 장식했습니다.
때로는 크게. 때로는 조용히.
어느새 객석을 향하는 지휘봉에 오케스트라와 관객의 벽은 사라집니다.
<인터뷰> 장일범(클래식 음악평론가) : "아, 정말 이제 새해가 밝았구나. 정말 희망차구나. 박수를 치면서 새해를 함께 축복하는 시간을 갖게 되는 거죠."
이 곡은 요한 스트라우스 1세가 오스트리아 장군, 라데츠키를 위해 만든 개선 행진곡인데 70여 년 전 빈 필이 앙코르로 연주하면서 관객이 손뼉을 치는 것이 전통이 됐습니다.
세계적인 지휘자 주빈 메타도 최근 내한 공연에서 이 곡을 연주하며 기립 박수를 이끌어냈습니다.
<인터뷰> 주빈 메타(지휘자) : "(요한스트라우스 곡은) 진정한 고전 음악이라고 할 수 있고요. 음악은 서로를 보며 미소를 짓게 합니다."
연주의 일부가 된 '박수'.
클래식은 엄숙해야한다는 고정관념을 깨는 것은 물론 연주자와 관객을 하나로 이어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관객 박수로 완성하는 ‘라데츠키 행진곡’
-
- 입력 2013-01-08 21:46:06
- 수정2013-01-08 22:20:13

<앵커 멘트>
새해를 맞아 신년음악회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는데요.
우리 귀에 익숙한 라데츠키행진곡이 빠지질 않습니다.
특히 관객들이 박수를 치며 함께 만들어가기 때문에 큰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심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빈 필하모닉의 새해 음악회.
올해도 마지막은 바로 이 곡, '라데츠키 행진곡'이 장식했습니다.
때로는 크게. 때로는 조용히.
어느새 객석을 향하는 지휘봉에 오케스트라와 관객의 벽은 사라집니다.
<인터뷰> 장일범(클래식 음악평론가) : "아, 정말 이제 새해가 밝았구나. 정말 희망차구나. 박수를 치면서 새해를 함께 축복하는 시간을 갖게 되는 거죠."
이 곡은 요한 스트라우스 1세가 오스트리아 장군, 라데츠키를 위해 만든 개선 행진곡인데 70여 년 전 빈 필이 앙코르로 연주하면서 관객이 손뼉을 치는 것이 전통이 됐습니다.
세계적인 지휘자 주빈 메타도 최근 내한 공연에서 이 곡을 연주하며 기립 박수를 이끌어냈습니다.
<인터뷰> 주빈 메타(지휘자) : "(요한스트라우스 곡은) 진정한 고전 음악이라고 할 수 있고요. 음악은 서로를 보며 미소를 짓게 합니다."
연주의 일부가 된 '박수'.
클래식은 엄숙해야한다는 고정관념을 깨는 것은 물론 연주자와 관객을 하나로 이어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
-
심연희 기자 simony@kbs.co.kr
심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