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부끄러운 ‘OECD 결핵 4관왕’ 불명예
입력 2013.02.04 (21:23)
수정 2013.02.04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보통 결핵은 우리가 못 살던 시절에 유행하던 질병이라고 생각하실텐데요.
이 대표적 후진국 병인 결핵의 발생률과 사망률 등 4가지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 모두 1위라는 불명예를 차지했습니다.
범기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직장인 김모 씨는 기침이 계속되자 폐렴이려니 했습니다.
진단 결과는 결핵... 결핵균은 신장까지 파고 들었습니다.
<인터뷰> 김모 씨(결핵 환자) : "감기 이상은 생각해보지 않았어요. 지금은 결핵이 콩팥 한쪽으로 전이가 돼서 이상을 일으킨 것 같아요."
지난 2011년, 결핵 환자는 인구 10만 명 당 100명 꼴로 새로 생겼습니다.
OECD 평균의 8배입니다.
환자 수는 OECD 평균의 9배, 사망률도 6배 수준이었습니다.
모두 1등인데, 특히 1차 치료약이 듣지 않는 '다제 내성 결핵' 환자 수도 압도적 1위여서, 우려스럽습니다.
<인터뷰> 심재정(고려대구로병원 호흡기내과) : "그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을 시킨다면 아주 심각한 문제죠. 이건 생존의 문제라고 저는 봅니다. 내성균은 아주 지독한 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결핵약은 6개월 이상 꾸준히 먹어야 하지만 나아진다 싶으면 끊는 게 문제입니다.
내성만 길러주기 때문입니다.
내성 결핵 환자를 격리하는 제도가 있지만 집행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인터뷰> 나성웅(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대만이나 미국과 같이 강제하는 조항이 법적 근거는 없습니다. 실효성이 있을 수 있도록 결핵예방법을 개정해서..."
지난 2000년 실태조사 조차 폐지했던 정부는 뒤늦게 2020년까지 발생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겠다며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보통 결핵은 우리가 못 살던 시절에 유행하던 질병이라고 생각하실텐데요.
이 대표적 후진국 병인 결핵의 발생률과 사망률 등 4가지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 모두 1위라는 불명예를 차지했습니다.
범기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직장인 김모 씨는 기침이 계속되자 폐렴이려니 했습니다.
진단 결과는 결핵... 결핵균은 신장까지 파고 들었습니다.
<인터뷰> 김모 씨(결핵 환자) : "감기 이상은 생각해보지 않았어요. 지금은 결핵이 콩팥 한쪽으로 전이가 돼서 이상을 일으킨 것 같아요."
지난 2011년, 결핵 환자는 인구 10만 명 당 100명 꼴로 새로 생겼습니다.
OECD 평균의 8배입니다.
환자 수는 OECD 평균의 9배, 사망률도 6배 수준이었습니다.
모두 1등인데, 특히 1차 치료약이 듣지 않는 '다제 내성 결핵' 환자 수도 압도적 1위여서, 우려스럽습니다.
<인터뷰> 심재정(고려대구로병원 호흡기내과) : "그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을 시킨다면 아주 심각한 문제죠. 이건 생존의 문제라고 저는 봅니다. 내성균은 아주 지독한 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결핵약은 6개월 이상 꾸준히 먹어야 하지만 나아진다 싶으면 끊는 게 문제입니다.
내성만 길러주기 때문입니다.
내성 결핵 환자를 격리하는 제도가 있지만 집행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인터뷰> 나성웅(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대만이나 미국과 같이 강제하는 조항이 법적 근거는 없습니다. 실효성이 있을 수 있도록 결핵예방법을 개정해서..."
지난 2000년 실태조사 조차 폐지했던 정부는 뒤늦게 2020년까지 발생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겠다며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부끄러운 ‘OECD 결핵 4관왕’ 불명예
-
- 입력 2013-02-04 21:24:31
- 수정2013-02-04 22:01:47

<앵커 멘트>
보통 결핵은 우리가 못 살던 시절에 유행하던 질병이라고 생각하실텐데요.
이 대표적 후진국 병인 결핵의 발생률과 사망률 등 4가지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 모두 1위라는 불명예를 차지했습니다.
범기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직장인 김모 씨는 기침이 계속되자 폐렴이려니 했습니다.
진단 결과는 결핵... 결핵균은 신장까지 파고 들었습니다.
<인터뷰> 김모 씨(결핵 환자) : "감기 이상은 생각해보지 않았어요. 지금은 결핵이 콩팥 한쪽으로 전이가 돼서 이상을 일으킨 것 같아요."
지난 2011년, 결핵 환자는 인구 10만 명 당 100명 꼴로 새로 생겼습니다.
OECD 평균의 8배입니다.
환자 수는 OECD 평균의 9배, 사망률도 6배 수준이었습니다.
모두 1등인데, 특히 1차 치료약이 듣지 않는 '다제 내성 결핵' 환자 수도 압도적 1위여서, 우려스럽습니다.
<인터뷰> 심재정(고려대구로병원 호흡기내과) : "그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을 시킨다면 아주 심각한 문제죠. 이건 생존의 문제라고 저는 봅니다. 내성균은 아주 지독한 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결핵약은 6개월 이상 꾸준히 먹어야 하지만 나아진다 싶으면 끊는 게 문제입니다.
내성만 길러주기 때문입니다.
내성 결핵 환자를 격리하는 제도가 있지만 집행된 사례는 거의 없습니다.
<인터뷰> 나성웅(복지부 질병정책과장) : "대만이나 미국과 같이 강제하는 조항이 법적 근거는 없습니다. 실효성이 있을 수 있도록 결핵예방법을 개정해서..."
지난 2000년 실태조사 조차 폐지했던 정부는 뒤늦게 2020년까지 발생률을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겠다며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
-
범기영 기자 bum710@kbs.co.kr
범기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