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객차라도 온도 다른 지하철…냉방 명당은?
입력 2013.07.26 (21:39)
수정 2013.07.27 (16: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하철을 타다 보면 어떨 때는 덥고, 어떨 때는 춥다고 느끼실 때가 종종 있을 겁니다.
지하철 전동차는 객차마다 온도가 다르고, 같은 객차 안이라도 좀 더 시원한 곳이 따로 있다고 하는데요.
이재희 기자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여름철이면 지하철 기관사들은 냉방 민원때문에 일거리가 하나 더 늘어납니다.
<녹취> "(해당열차는 덥다는 민원이 접수됐습니다.) 네, 3호차 냉방 관련 민원 조치하겠습니다."
지난달 서울시 지하철에 접수된 냉방 민원은 하루 평균 천 여건.
덥거나 춥다는 불만인데, 두 민원이 같은 객차에서 동시에 나올 때도 있습니다.
<인터뷰> 전경화(서울 둔촌동) : "추운 것 같아요. 에어컨 바람이 닿으면 살 같은 데가 닭살 돋는 것 같아요." <인터뷰>이상윤/서울 오륜동 "너무 더워서 반팔 입었는데도 땀이 너무 많이 나요."
같은 온도라도 사람마다 체감 온도가 2도까지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영덕(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 "사람에 따라서 중추신경계 내에 위치한 체온조절기관의 차이에 따라서 같은 온도라도 온도를 다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객차마다 온도를 달리 설정하는 점을 알면 보다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은 추위를 많이 타는 승객을 위해 객차 두 칸을 '약냉방칸'으로 지정해 다른 객차보다 온도를 2도쯤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약냉방칸'의 위치는 노선마다 다른데 이렇게 표시가 돼 있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 같은 객차에서도 가운데 부분보다는 양쪽 끝이 더 시원합니다.
실제로 온도를 재보니 위치에 따라 2도 넘게 차이가 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모든 사람에 맞춰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만큼 얇은 겉옷을 챙기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지하철을 타다 보면 어떨 때는 덥고, 어떨 때는 춥다고 느끼실 때가 종종 있을 겁니다.
지하철 전동차는 객차마다 온도가 다르고, 같은 객차 안이라도 좀 더 시원한 곳이 따로 있다고 하는데요.
이재희 기자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여름철이면 지하철 기관사들은 냉방 민원때문에 일거리가 하나 더 늘어납니다.
<녹취> "(해당열차는 덥다는 민원이 접수됐습니다.) 네, 3호차 냉방 관련 민원 조치하겠습니다."
지난달 서울시 지하철에 접수된 냉방 민원은 하루 평균 천 여건.
덥거나 춥다는 불만인데, 두 민원이 같은 객차에서 동시에 나올 때도 있습니다.
<인터뷰> 전경화(서울 둔촌동) : "추운 것 같아요. 에어컨 바람이 닿으면 살 같은 데가 닭살 돋는 것 같아요." <인터뷰>이상윤/서울 오륜동 "너무 더워서 반팔 입었는데도 땀이 너무 많이 나요."
같은 온도라도 사람마다 체감 온도가 2도까지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영덕(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 "사람에 따라서 중추신경계 내에 위치한 체온조절기관의 차이에 따라서 같은 온도라도 온도를 다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객차마다 온도를 달리 설정하는 점을 알면 보다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은 추위를 많이 타는 승객을 위해 객차 두 칸을 '약냉방칸'으로 지정해 다른 객차보다 온도를 2도쯤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약냉방칸'의 위치는 노선마다 다른데 이렇게 표시가 돼 있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 같은 객차에서도 가운데 부분보다는 양쪽 끝이 더 시원합니다.
실제로 온도를 재보니 위치에 따라 2도 넘게 차이가 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모든 사람에 맞춰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만큼 얇은 겉옷을 챙기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같은 객차라도 온도 다른 지하철…냉방 명당은?
-
- 입력 2013-07-26 21:40:46
- 수정2013-07-27 16:23:08

<앵커 멘트>
지하철을 타다 보면 어떨 때는 덥고, 어떨 때는 춥다고 느끼실 때가 종종 있을 겁니다.
지하철 전동차는 객차마다 온도가 다르고, 같은 객차 안이라도 좀 더 시원한 곳이 따로 있다고 하는데요.
이재희 기자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여름철이면 지하철 기관사들은 냉방 민원때문에 일거리가 하나 더 늘어납니다.
<녹취> "(해당열차는 덥다는 민원이 접수됐습니다.) 네, 3호차 냉방 관련 민원 조치하겠습니다."
지난달 서울시 지하철에 접수된 냉방 민원은 하루 평균 천 여건.
덥거나 춥다는 불만인데, 두 민원이 같은 객차에서 동시에 나올 때도 있습니다.
<인터뷰> 전경화(서울 둔촌동) : "추운 것 같아요. 에어컨 바람이 닿으면 살 같은 데가 닭살 돋는 것 같아요." <인터뷰>이상윤/서울 오륜동 "너무 더워서 반팔 입었는데도 땀이 너무 많이 나요."
같은 온도라도 사람마다 체감 온도가 2도까지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영덕(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 "사람에 따라서 중추신경계 내에 위치한 체온조절기관의 차이에 따라서 같은 온도라도 온도를 다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객차마다 온도를 달리 설정하는 점을 알면 보다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은 추위를 많이 타는 승객을 위해 객차 두 칸을 '약냉방칸'으로 지정해 다른 객차보다 온도를 2도쯤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약냉방칸'의 위치는 노선마다 다른데 이렇게 표시가 돼 있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 같은 객차에서도 가운데 부분보다는 양쪽 끝이 더 시원합니다.
실제로 온도를 재보니 위치에 따라 2도 넘게 차이가 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모든 사람에 맞춰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만큼 얇은 겉옷을 챙기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지하철을 타다 보면 어떨 때는 덥고, 어떨 때는 춥다고 느끼실 때가 종종 있을 겁니다.
지하철 전동차는 객차마다 온도가 다르고, 같은 객차 안이라도 좀 더 시원한 곳이 따로 있다고 하는데요.
이재희 기자가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여름철이면 지하철 기관사들은 냉방 민원때문에 일거리가 하나 더 늘어납니다.
<녹취> "(해당열차는 덥다는 민원이 접수됐습니다.) 네, 3호차 냉방 관련 민원 조치하겠습니다."
지난달 서울시 지하철에 접수된 냉방 민원은 하루 평균 천 여건.
덥거나 춥다는 불만인데, 두 민원이 같은 객차에서 동시에 나올 때도 있습니다.
<인터뷰> 전경화(서울 둔촌동) : "추운 것 같아요. 에어컨 바람이 닿으면 살 같은 데가 닭살 돋는 것 같아요." <인터뷰>이상윤/서울 오륜동 "너무 더워서 반팔 입었는데도 땀이 너무 많이 나요."
같은 온도라도 사람마다 체감 온도가 2도까지 차이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조영덕(고대구로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 : "사람에 따라서 중추신경계 내에 위치한 체온조절기관의 차이에 따라서 같은 온도라도 온도를 다르게 느낄 수 있습니다."
객차마다 온도를 달리 설정하는 점을 알면 보다 쾌적하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하철은 추위를 많이 타는 승객을 위해 객차 두 칸을 '약냉방칸'으로 지정해 다른 객차보다 온도를 2도쯤 높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약냉방칸'의 위치는 노선마다 다른데 이렇게 표시가 돼 있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또 같은 객차에서도 가운데 부분보다는 양쪽 끝이 더 시원합니다.
실제로 온도를 재보니 위치에 따라 2도 넘게 차이가 났습니다.
"전문가들은 모든 사람에 맞춰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만큼 얇은 겉옷을 챙기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KBS 뉴스 이재희입니다.
-
-
이재희 기자 leej@kbs.co.kr
이재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