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군사적 행동 예고…“대적 행사권 군에 넘길 것”
입력 2020.06.14 (21:01)
수정 2020.06.14 (2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이틀 앞둔 어제(13일),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이전보다 한층 더 거친 언사를 쏟아냈습니다.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 대한 군사 보복까지 암시했는데, 오늘(14일) 9시 뉴스는 코로나19 관련 소식에 앞서, 북한이 어떤 의도로 '보복'을 언급했으며, 북한의 다음 조치는 무엇이 될지, 그리고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차례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김수연 기자가 어제(13일) 나온 담화 내용,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어제(13일) 저녁 늦게 나온 김여정 제1부부장의 두 번째 담화 비난 수위는 지난 4일 나온 첫 담화와 같았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보복조치를 더욱 구체화했습니다.
"머지않아 쓸모없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습니다.
첫 담화에서 '폐쇄'만 언급했는데 이번에는 폭파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 것입니다.
군사적 보복도 구체화했습니다.
"다음번 행동의 행사권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고 했습니다.
"군대가 인민들의 분노를 식혀줄 무언가를 결심하고 단행할 것이라고 믿는다" 라고도 했습니다.
첫 담화에서 "남북군사합의 파기"만 언급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홍민/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전화 인터뷰 : "김여정 부부장도 '보복', '징벌' 이런 표현을 썼거든요. 남측의 반응을 보고 수위 조절한다, 이런 개념이 아니라 북한 입장에선 어떻든 확실하게 계획된 순서에 따라 끝까지 몰고 간다라는 쪽에 있는 것 같아요."]
우리 정부는 김여정 제1 부부장의 첫 담화 직후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북전단 제지를 위한 법 제정. 관련자와 단체에 대한 고발 등의 조치를 잇달아 내놨습니다.
하지만 이번 담화는 북한이 우리 정부의 조치를 평가절하하고 있음을 보여줬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이틀 앞둔 어제(13일),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이전보다 한층 더 거친 언사를 쏟아냈습니다.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 대한 군사 보복까지 암시했는데, 오늘(14일) 9시 뉴스는 코로나19 관련 소식에 앞서, 북한이 어떤 의도로 '보복'을 언급했으며, 북한의 다음 조치는 무엇이 될지, 그리고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차례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김수연 기자가 어제(13일) 나온 담화 내용,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어제(13일) 저녁 늦게 나온 김여정 제1부부장의 두 번째 담화 비난 수위는 지난 4일 나온 첫 담화와 같았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보복조치를 더욱 구체화했습니다.
"머지않아 쓸모없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습니다.
첫 담화에서 '폐쇄'만 언급했는데 이번에는 폭파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 것입니다.
군사적 보복도 구체화했습니다.
"다음번 행동의 행사권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고 했습니다.
"군대가 인민들의 분노를 식혀줄 무언가를 결심하고 단행할 것이라고 믿는다" 라고도 했습니다.
첫 담화에서 "남북군사합의 파기"만 언급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홍민/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전화 인터뷰 : "김여정 부부장도 '보복', '징벌' 이런 표현을 썼거든요. 남측의 반응을 보고 수위 조절한다, 이런 개념이 아니라 북한 입장에선 어떻든 확실하게 계획된 순서에 따라 끝까지 몰고 간다라는 쪽에 있는 것 같아요."]
우리 정부는 김여정 제1 부부장의 첫 담화 직후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북전단 제지를 위한 법 제정. 관련자와 단체에 대한 고발 등의 조치를 잇달아 내놨습니다.
하지만 이번 담화는 북한이 우리 정부의 조치를 평가절하하고 있음을 보여줬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여정, 군사적 행동 예고…“대적 행사권 군에 넘길 것”
-
- 입력 2020-06-14 21:01:59
- 수정2020-06-14 21:44:39

[앵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이틀 앞둔 어제(13일),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이전보다 한층 더 거친 언사를 쏟아냈습니다.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 대한 군사 보복까지 암시했는데, 오늘(14일) 9시 뉴스는 코로나19 관련 소식에 앞서, 북한이 어떤 의도로 '보복'을 언급했으며, 북한의 다음 조치는 무엇이 될지, 그리고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차례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김수연 기자가 어제(13일) 나온 담화 내용,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어제(13일) 저녁 늦게 나온 김여정 제1부부장의 두 번째 담화 비난 수위는 지난 4일 나온 첫 담화와 같았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보복조치를 더욱 구체화했습니다.
"머지않아 쓸모없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습니다.
첫 담화에서 '폐쇄'만 언급했는데 이번에는 폭파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 것입니다.
군사적 보복도 구체화했습니다.
"다음번 행동의 행사권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고 했습니다.
"군대가 인민들의 분노를 식혀줄 무언가를 결심하고 단행할 것이라고 믿는다" 라고도 했습니다.
첫 담화에서 "남북군사합의 파기"만 언급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홍민/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전화 인터뷰 : "김여정 부부장도 '보복', '징벌' 이런 표현을 썼거든요. 남측의 반응을 보고 수위 조절한다, 이런 개념이 아니라 북한 입장에선 어떻든 확실하게 계획된 순서에 따라 끝까지 몰고 간다라는 쪽에 있는 것 같아요."]
우리 정부는 김여정 제1 부부장의 첫 담화 직후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북전단 제지를 위한 법 제정. 관련자와 단체에 대한 고발 등의 조치를 잇달아 내놨습니다.
하지만 이번 담화는 북한이 우리 정부의 조치를 평가절하하고 있음을 보여줬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6.15 남북공동선언 20주년을 이틀 앞둔 어제(13일), 북한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이전보다 한층 더 거친 언사를 쏟아냈습니다.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 대한 군사 보복까지 암시했는데, 오늘(14일) 9시 뉴스는 코로나19 관련 소식에 앞서, 북한이 어떤 의도로 '보복'을 언급했으며, 북한의 다음 조치는 무엇이 될지, 그리고 우리 정부는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차례로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김수연 기자가 어제(13일) 나온 담화 내용,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어제(13일) 저녁 늦게 나온 김여정 제1부부장의 두 번째 담화 비난 수위는 지난 4일 나온 첫 담화와 같았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보복조치를 더욱 구체화했습니다.
"머지않아 쓸모없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다."라고 경고했습니다.
첫 담화에서 '폐쇄'만 언급했는데 이번에는 폭파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 것입니다.
군사적 보복도 구체화했습니다.
"다음번 행동의 행사권은 총참모부에 넘겨주려고 한다"고 했습니다.
"군대가 인민들의 분노를 식혀줄 무언가를 결심하고 단행할 것이라고 믿는다" 라고도 했습니다.
첫 담화에서 "남북군사합의 파기"만 언급한 것과 대조적입니다.
[홍민/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전화 인터뷰 : "김여정 부부장도 '보복', '징벌' 이런 표현을 썼거든요. 남측의 반응을 보고 수위 조절한다, 이런 개념이 아니라 북한 입장에선 어떻든 확실하게 계획된 순서에 따라 끝까지 몰고 간다라는 쪽에 있는 것 같아요."]
우리 정부는 김여정 제1 부부장의 첫 담화 직후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북전단 제지를 위한 법 제정. 관련자와 단체에 대한 고발 등의 조치를 잇달아 내놨습니다.
하지만 이번 담화는 북한이 우리 정부의 조치를 평가절하하고 있음을 보여줬다는 분석입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
-
김수연 기자 sykbs@kbs.co.kr
김수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北, 남북 공동 연락사무소 폭파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