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 출산지원금…“보편 복지로 통합해야”
입력 2025.01.27 (22:17)
수정 2025.01.28 (11: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새해에도 '인구 늘리기'는 지자체들의 최대 화두죠.
정부 차원의 출산지원금인 '첫만남이용권'이 3년 전부터 시행됐지만, 지자체들의 출산지원금 과열 경쟁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과연, 돈을 쓰는만큼 효과가 있을까요?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구 2만 5천 명, 경남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의령군입니다.
첫째아에게 400만 원, 둘째 700만 원, 셋째부터 1400만 원을 출산장려금으로 줍니다.
2005년 첫 지급을 시작한 뒤 4차례 금액을 인상했습니다.
[정순일/의령군 인구 담당 : "지원금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2023년 대비 2024년 신생아 수가 20% 증가했습니다. 출산율 증가에 이 사업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출산지원금은 전체 지자체 출산지원 예산의 40%를 넘을 만큼 비중이 높습니다.
실제 효과는 어떨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출산지원금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 보고서입니다.
2022년 기준 전국 228개 지자체에서 출산 지원금 백만 원은 평균 합계출산율과 조출산율, 20~44세 유배우 출산율에 약 1.1%-1.3% 변수를 미쳤습니다.
예산지원 효과가 크지 않은 겁니다.
시군 사업 담당자들은 출생아수 증가에 효과가 없다는 의견이 36%, 있다는 의견은 31%였습니다.
양육 부담을 줄이고 정책 체감도는 높지만, 지역 간 과다 경쟁과 민원을 유발한다는 겁니다.
[경남 인구 담당 공무원/음성변조 : "인근 시·군에는 다 지급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우리 시만 안 하다 보면 민원인들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 같은 느낌을..."]
지자체 간 과열 경쟁은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보편적 복지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박혜림/한국지방세연구원 부연구위원 : "현재 지자체의 세입 여건을 감안하였을 때 현금지원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돌봄 인프라 등의 타 분야의 출산지원 정책이라든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연구진들은 정부가 출산지원금을 보편 복지사업으로 통합하되, 비수도권이나 소멸 지역에 대해서는 차별 지원으로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그래픽:김신아
새해에도 '인구 늘리기'는 지자체들의 최대 화두죠.
정부 차원의 출산지원금인 '첫만남이용권'이 3년 전부터 시행됐지만, 지자체들의 출산지원금 과열 경쟁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과연, 돈을 쓰는만큼 효과가 있을까요?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구 2만 5천 명, 경남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의령군입니다.
첫째아에게 400만 원, 둘째 700만 원, 셋째부터 1400만 원을 출산장려금으로 줍니다.
2005년 첫 지급을 시작한 뒤 4차례 금액을 인상했습니다.
[정순일/의령군 인구 담당 : "지원금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2023년 대비 2024년 신생아 수가 20% 증가했습니다. 출산율 증가에 이 사업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출산지원금은 전체 지자체 출산지원 예산의 40%를 넘을 만큼 비중이 높습니다.
실제 효과는 어떨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출산지원금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 보고서입니다.
2022년 기준 전국 228개 지자체에서 출산 지원금 백만 원은 평균 합계출산율과 조출산율, 20~44세 유배우 출산율에 약 1.1%-1.3% 변수를 미쳤습니다.
예산지원 효과가 크지 않은 겁니다.
시군 사업 담당자들은 출생아수 증가에 효과가 없다는 의견이 36%, 있다는 의견은 31%였습니다.
양육 부담을 줄이고 정책 체감도는 높지만, 지역 간 과다 경쟁과 민원을 유발한다는 겁니다.
[경남 인구 담당 공무원/음성변조 : "인근 시·군에는 다 지급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우리 시만 안 하다 보면 민원인들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 같은 느낌을..."]
지자체 간 과열 경쟁은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보편적 복지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박혜림/한국지방세연구원 부연구위원 : "현재 지자체의 세입 여건을 감안하였을 때 현금지원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돌봄 인프라 등의 타 분야의 출산지원 정책이라든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연구진들은 정부가 출산지원금을 보편 복지사업으로 통합하되, 비수도권이나 소멸 지역에 대해서는 차별 지원으로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그래픽:김신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과열’ 출산지원금…“보편 복지로 통합해야”
-
- 입력 2025-01-27 22:17:13
- 수정2025-01-28 11:41:29
[앵커]
새해에도 '인구 늘리기'는 지자체들의 최대 화두죠.
정부 차원의 출산지원금인 '첫만남이용권'이 3년 전부터 시행됐지만, 지자체들의 출산지원금 과열 경쟁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과연, 돈을 쓰는만큼 효과가 있을까요?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구 2만 5천 명, 경남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의령군입니다.
첫째아에게 400만 원, 둘째 700만 원, 셋째부터 1400만 원을 출산장려금으로 줍니다.
2005년 첫 지급을 시작한 뒤 4차례 금액을 인상했습니다.
[정순일/의령군 인구 담당 : "지원금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2023년 대비 2024년 신생아 수가 20% 증가했습니다. 출산율 증가에 이 사업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출산지원금은 전체 지자체 출산지원 예산의 40%를 넘을 만큼 비중이 높습니다.
실제 효과는 어떨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출산지원금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 보고서입니다.
2022년 기준 전국 228개 지자체에서 출산 지원금 백만 원은 평균 합계출산율과 조출산율, 20~44세 유배우 출산율에 약 1.1%-1.3% 변수를 미쳤습니다.
예산지원 효과가 크지 않은 겁니다.
시군 사업 담당자들은 출생아수 증가에 효과가 없다는 의견이 36%, 있다는 의견은 31%였습니다.
양육 부담을 줄이고 정책 체감도는 높지만, 지역 간 과다 경쟁과 민원을 유발한다는 겁니다.
[경남 인구 담당 공무원/음성변조 : "인근 시·군에는 다 지급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우리 시만 안 하다 보면 민원인들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 같은 느낌을..."]
지자체 간 과열 경쟁은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보편적 복지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박혜림/한국지방세연구원 부연구위원 : "현재 지자체의 세입 여건을 감안하였을 때 현금지원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돌봄 인프라 등의 타 분야의 출산지원 정책이라든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연구진들은 정부가 출산지원금을 보편 복지사업으로 통합하되, 비수도권이나 소멸 지역에 대해서는 차별 지원으로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그래픽:김신아
새해에도 '인구 늘리기'는 지자체들의 최대 화두죠.
정부 차원의 출산지원금인 '첫만남이용권'이 3년 전부터 시행됐지만, 지자체들의 출산지원금 과열 경쟁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과연, 돈을 쓰는만큼 효과가 있을까요?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인구 2만 5천 명, 경남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의령군입니다.
첫째아에게 400만 원, 둘째 700만 원, 셋째부터 1400만 원을 출산장려금으로 줍니다.
2005년 첫 지급을 시작한 뒤 4차례 금액을 인상했습니다.
[정순일/의령군 인구 담당 : "지원금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2023년 대비 2024년 신생아 수가 20% 증가했습니다. 출산율 증가에 이 사업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출산지원금은 전체 지자체 출산지원 예산의 40%를 넘을 만큼 비중이 높습니다.
실제 효과는 어떨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출산지원금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 보고서입니다.
2022년 기준 전국 228개 지자체에서 출산 지원금 백만 원은 평균 합계출산율과 조출산율, 20~44세 유배우 출산율에 약 1.1%-1.3% 변수를 미쳤습니다.
예산지원 효과가 크지 않은 겁니다.
시군 사업 담당자들은 출생아수 증가에 효과가 없다는 의견이 36%, 있다는 의견은 31%였습니다.
양육 부담을 줄이고 정책 체감도는 높지만, 지역 간 과다 경쟁과 민원을 유발한다는 겁니다.
[경남 인구 담당 공무원/음성변조 : "인근 시·군에는 다 지급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우리 시만 안 하다 보면 민원인들 입장에서 상대적으로 불이익 같은 느낌을..."]
지자체 간 과열 경쟁은 예산 낭비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 차원의 보편적 복지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박혜림/한국지방세연구원 부연구위원 : "현재 지자체의 세입 여건을 감안하였을 때 현금지원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상대적으로 돌봄 인프라 등의 타 분야의 출산지원 정책이라든지 (제약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연구진들은 정부가 출산지원금을 보편 복지사업으로 통합하되, 비수도권이나 소멸 지역에 대해서는 차별 지원으로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지승환/그래픽:김신아
-
-
김소영 기자 kantapia@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우리 아이, 우리 미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