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번 전화 받았지만, 국회 길안내 안 했다” 군 국회협력단장 증언 [지금뉴스]
입력 2025.02.23 (09:00)
수정 2025.02.23 (09: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12·3 비상계엄 당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병력 투입을 위해 여러 차례 '국회 길 안내'를 요청했으나 이를 거부했다고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이 증언했습니다.
양재응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은 오늘(21일) 국회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여덟 차례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며 "병력을 안내해 달라는 취지의 말을 계속했다"고 말했습니다.
양 단장은 "저는 거듭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했다"며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고 협조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국회협력단이 계엄 당시 특전사의 국회 본관 단전 조치에 조력했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선포 직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면서 "'어디 있냐'고 물어서 삼각지 독신숙소라고 답변했고, '수방사령관하고 통화해, 특전사하고'라고 하면서 급하게 전화를 끊었다"며 "(장관이) 굉장히 급하게 여러 전화를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해제 이후 폐쇄된 국회협력단실에 몰래 들어가 증거를 인멸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에 대해선 "앞으로 당분간 들어오지 못하겠다는 생각에 TV와 전열기구를 끄고 사무실을 확인한 것"이라며 "생각이 깊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양재응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은 오늘(21일) 국회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여덟 차례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며 "병력을 안내해 달라는 취지의 말을 계속했다"고 말했습니다.
양 단장은 "저는 거듭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했다"며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고 협조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국회협력단이 계엄 당시 특전사의 국회 본관 단전 조치에 조력했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선포 직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면서 "'어디 있냐'고 물어서 삼각지 독신숙소라고 답변했고, '수방사령관하고 통화해, 특전사하고'라고 하면서 급하게 전화를 끊었다"며 "(장관이) 굉장히 급하게 여러 전화를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해제 이후 폐쇄된 국회협력단실에 몰래 들어가 증거를 인멸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에 대해선 "앞으로 당분간 들어오지 못하겠다는 생각에 TV와 전열기구를 끄고 사무실을 확인한 것"이라며 "생각이 깊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8번 전화 받았지만, 국회 길안내 안 했다” 군 국회협력단장 증언 [지금뉴스]
-
- 입력 2025-02-23 09:00:43
- 수정2025-02-23 09:03:13

12·3 비상계엄 당시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병력 투입을 위해 여러 차례 '국회 길 안내'를 요청했으나 이를 거부했다고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이 증언했습니다.
양재응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은 오늘(21일) 국회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여덟 차례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며 "병력을 안내해 달라는 취지의 말을 계속했다"고 말했습니다.
양 단장은 "저는 거듭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했다"며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고 협조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국회협력단이 계엄 당시 특전사의 국회 본관 단전 조치에 조력했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선포 직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면서 "'어디 있냐'고 물어서 삼각지 독신숙소라고 답변했고, '수방사령관하고 통화해, 특전사하고'라고 하면서 급하게 전화를 끊었다"며 "(장관이) 굉장히 급하게 여러 전화를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해제 이후 폐쇄된 국회협력단실에 몰래 들어가 증거를 인멸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에 대해선 "앞으로 당분간 들어오지 못하겠다는 생각에 TV와 전열기구를 끄고 사무실을 확인한 것"이라며 "생각이 깊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양재응 국방부 국회협력단장은 오늘(21일) 국회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여덟 차례 수방사령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며 "병력을 안내해 달라는 취지의 말을 계속했다"고 말했습니다.
양 단장은 "저는 거듭 어렵다는 취지로 답변했다"며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고 협조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국회협력단이 계엄 당시 특전사의 국회 본관 단전 조치에 조력했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선포 직후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면서 "'어디 있냐'고 물어서 삼각지 독신숙소라고 답변했고, '수방사령관하고 통화해, 특전사하고'라고 하면서 급하게 전화를 끊었다"며 "(장관이) 굉장히 급하게 여러 전화를 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습니다.
양 단장은 계엄 해제 이후 폐쇄된 국회협력단실에 몰래 들어가 증거를 인멸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에 대해선 "앞으로 당분간 들어오지 못하겠다는 생각에 TV와 전열기구를 끄고 사무실을 확인한 것"이라며 "생각이 깊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
-
김세정 기자 mabelle@kbs.co.kr
김세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