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미 투자 검토하겠지만 인센티브 필요…감세 등 더 지켜볼 것”
입력 2025.02.23 (09:52)
수정 2025.02.23 (09: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인센티브가 있다면 미국에 대한 추가 투자를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 회장은 현지 시각 21일 워싱턴 D.C.의 한 호텔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 주최 ‘2025 트랜스퍼시픽 다이얼로그’ 행사장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미 투자 계획에 대한 질문에 “비즈니스라는 게 필요한 투자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어느 기업도 ‘트럼프 시기에 얼마를 (투자)하겠다’고 생각하며 다가가지 않고, 이게 내 장사에 얼마나 좋으냐 나쁘냐를 얘기한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생산 시설을 좀 더 원한다고 얘기하지만, 우리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계속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를 하는데 아직은 (구체적으로) 뭐가 나온 게 없지 않나”라며 “그러니까 좀 더 지켜봐야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또 미국이 비싼 인건비 등으로 인해 투자처로서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상황이 산업 분야마다 다 다르다”면서 “미국이 좀 불리한 것도 있지만, 미국이 유리한 것도 있다” 말했습니다.
이어 “솔직히 인공지능(AI) 분야 등은 다른 데 투자하는 것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지금 훨씬 좋을 수 있다”며 “상대적으로 우리도 유리하고 좋은 곳에 투자하지 않겠나”라고 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서는 “(방미 기간 만난 미국) 정계 인사 중 한 분이 ‘그건 계속 집행이 잘될 것이다. 나는 그렇게 믿고 있고 우리는 그런 정책을 갖고 있다. 약속을 해서 미국이 좋은 건데 그걸 왜 안 하느냐’고 얘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최 회장은 26명으로 꾸려진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을 이끌고 지난 19일 미국을 찾아 정부 고위 당국자와 의원, 주지사 등을 만났습니다.
최 회장은 이번 방미 성과에 대해 “가능하면 미국 측이 흥미로워할 얘기를 한다는 계획이었고, 그런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며 “같이 해서 서로 좋은 얘기가 있어야 되는 것을 준비해 왔고, 미국 측이 6개 분야를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대한상의가 준비한 6개 분야는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입니다.
한편, 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선 “제가 협상할 것도 아닌 거 같아서, 한국 정부가 와서 얘기하게 될 거라고 전했다”면서 “(우리 정부가) 협상은 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워싱턴특파원단 제공]
최 회장은 현지 시각 21일 워싱턴 D.C.의 한 호텔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 주최 ‘2025 트랜스퍼시픽 다이얼로그’ 행사장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미 투자 계획에 대한 질문에 “비즈니스라는 게 필요한 투자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어느 기업도 ‘트럼프 시기에 얼마를 (투자)하겠다’고 생각하며 다가가지 않고, 이게 내 장사에 얼마나 좋으냐 나쁘냐를 얘기한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생산 시설을 좀 더 원한다고 얘기하지만, 우리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계속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를 하는데 아직은 (구체적으로) 뭐가 나온 게 없지 않나”라며 “그러니까 좀 더 지켜봐야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또 미국이 비싼 인건비 등으로 인해 투자처로서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상황이 산업 분야마다 다 다르다”면서 “미국이 좀 불리한 것도 있지만, 미국이 유리한 것도 있다” 말했습니다.
이어 “솔직히 인공지능(AI) 분야 등은 다른 데 투자하는 것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지금 훨씬 좋을 수 있다”며 “상대적으로 우리도 유리하고 좋은 곳에 투자하지 않겠나”라고 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서는 “(방미 기간 만난 미국) 정계 인사 중 한 분이 ‘그건 계속 집행이 잘될 것이다. 나는 그렇게 믿고 있고 우리는 그런 정책을 갖고 있다. 약속을 해서 미국이 좋은 건데 그걸 왜 안 하느냐’고 얘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최 회장은 26명으로 꾸려진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을 이끌고 지난 19일 미국을 찾아 정부 고위 당국자와 의원, 주지사 등을 만났습니다.
최 회장은 이번 방미 성과에 대해 “가능하면 미국 측이 흥미로워할 얘기를 한다는 계획이었고, 그런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며 “같이 해서 서로 좋은 얘기가 있어야 되는 것을 준비해 왔고, 미국 측이 6개 분야를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대한상의가 준비한 6개 분야는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입니다.
한편, 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선 “제가 협상할 것도 아닌 거 같아서, 한국 정부가 와서 얘기하게 될 거라고 전했다”면서 “(우리 정부가) 협상은 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워싱턴특파원단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태원 “대미 투자 검토하겠지만 인센티브 필요…감세 등 더 지켜볼 것”
-
- 입력 2025-02-23 09:52:08
- 수정2025-02-23 09:52:47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인센티브가 있다면 미국에 대한 추가 투자를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최 회장은 현지 시각 21일 워싱턴 D.C.의 한 호텔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 주최 ‘2025 트랜스퍼시픽 다이얼로그’ 행사장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미 투자 계획에 대한 질문에 “비즈니스라는 게 필요한 투자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어느 기업도 ‘트럼프 시기에 얼마를 (투자)하겠다’고 생각하며 다가가지 않고, 이게 내 장사에 얼마나 좋으냐 나쁘냐를 얘기한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생산 시설을 좀 더 원한다고 얘기하지만, 우리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계속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를 하는데 아직은 (구체적으로) 뭐가 나온 게 없지 않나”라며 “그러니까 좀 더 지켜봐야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또 미국이 비싼 인건비 등으로 인해 투자처로서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상황이 산업 분야마다 다 다르다”면서 “미국이 좀 불리한 것도 있지만, 미국이 유리한 것도 있다” 말했습니다.
이어 “솔직히 인공지능(AI) 분야 등은 다른 데 투자하는 것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지금 훨씬 좋을 수 있다”며 “상대적으로 우리도 유리하고 좋은 곳에 투자하지 않겠나”라고 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서는 “(방미 기간 만난 미국) 정계 인사 중 한 분이 ‘그건 계속 집행이 잘될 것이다. 나는 그렇게 믿고 있고 우리는 그런 정책을 갖고 있다. 약속을 해서 미국이 좋은 건데 그걸 왜 안 하느냐’고 얘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최 회장은 26명으로 꾸려진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을 이끌고 지난 19일 미국을 찾아 정부 고위 당국자와 의원, 주지사 등을 만났습니다.
최 회장은 이번 방미 성과에 대해 “가능하면 미국 측이 흥미로워할 얘기를 한다는 계획이었고, 그런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며 “같이 해서 서로 좋은 얘기가 있어야 되는 것을 준비해 왔고, 미국 측이 6개 분야를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대한상의가 준비한 6개 분야는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입니다.
한편, 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선 “제가 협상할 것도 아닌 거 같아서, 한국 정부가 와서 얘기하게 될 거라고 전했다”면서 “(우리 정부가) 협상은 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워싱턴특파원단 제공]
최 회장은 현지 시각 21일 워싱턴 D.C.의 한 호텔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 주최 ‘2025 트랜스퍼시픽 다이얼로그’ 행사장에서 취재진과 만나, 대미 투자 계획에 대한 질문에 “비즈니스라는 게 필요한 투자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회장은 “어느 기업도 ‘트럼프 시기에 얼마를 (투자)하겠다’고 생각하며 다가가지 않고, 이게 내 장사에 얼마나 좋으냐 나쁘냐를 얘기한다”며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에 생산 시설을 좀 더 원한다고 얘기하지만, 우리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계속 세금도 내리겠다고 얘기를 하는데 아직은 (구체적으로) 뭐가 나온 게 없지 않나”라며 “그러니까 좀 더 지켜봐야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최 회장은 또 미국이 비싼 인건비 등으로 인해 투자처로서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상황이 산업 분야마다 다 다르다”면서 “미국이 좀 불리한 것도 있지만, 미국이 유리한 것도 있다” 말했습니다.
이어 “솔직히 인공지능(AI) 분야 등은 다른 데 투자하는 것보다 미국에 투자하는 게 지금 훨씬 좋을 수 있다”며 “상대적으로 우리도 유리하고 좋은 곳에 투자하지 않겠나”라고 했습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전임 바이든 행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을 폐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서는 “(방미 기간 만난 미국) 정계 인사 중 한 분이 ‘그건 계속 집행이 잘될 것이다. 나는 그렇게 믿고 있고 우리는 그런 정책을 갖고 있다. 약속을 해서 미국이 좋은 건데 그걸 왜 안 하느냐’고 얘기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최 회장은 26명으로 꾸려진 ‘대미 통상 아웃리치 사절단’을 이끌고 지난 19일 미국을 찾아 정부 고위 당국자와 의원, 주지사 등을 만났습니다.
최 회장은 이번 방미 성과에 대해 “가능하면 미국 측이 흥미로워할 얘기를 한다는 계획이었고, 그런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며 “같이 해서 서로 좋은 얘기가 있어야 되는 것을 준비해 왔고, 미국 측이 6개 분야를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대한상의가 준비한 6개 분야는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입니다.
한편, 최 회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 부과에 대해선 “제가 협상할 것도 아닌 거 같아서, 한국 정부가 와서 얘기하게 될 거라고 전했다”면서 “(우리 정부가) 협상은 잘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워싱턴특파원단 제공]
-
-
김경수 기자 bada@kbs.co.kr
김경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