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만 추려 10조 추경”…여·야 합의가 관건

입력 2025.03.30 (21:10) 수정 2025.03.31 (07: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피해 지원을 위해 정부는 10조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100일 넘게 말만 많았던 추경 결국 최악의 산불 앞에 정부가 먼저, 하자고 나섰습니다.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제시한 추경 규모는 10조 원입니다.

지금까지 추경은 '여야 합의 먼저'라는 입장을 고수해왔지만, 이번에는 먼저 추경안을 제시했습니다.

역대 최대 산불 피해와 당장 다음 달 2일부터 예고된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등….

대내외 위기 상황이란 겁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기획재정부 장관 : "기존 가용 재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넘어, 신속한 추가 재정 투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번 추경은 산불 피해 복구를 비롯해 통상 대응과 민생 지원 등 세 가지 분야로 추려졌습니다.

10조 원은 그간 여당의 15조 원, 야당의 35조 원 주장에 비해 작은 규모입니다.

여야 이견이 가장 적을, '필수' 분야만 추렸다는 설명입니다.

속도가 중요한 만큼 논의를 지연시킬 수 있는 증액 등은 하지 말라고도 했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기획재정부 장관 : "여야 간 이견 사업이나 추경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의 증액이 추진된다면, 정치 갈등으로 인해 국회 심사가 무기한 연장되고…."]

여당은 환영한단 입장을, 야당은 너무 늦었다면서도 추경안을 내면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했습니다.

정부는 다음 달 국회 통과를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이번 추경의 속도는 추경에 담길 세부 사업과 국채 발행 등 재원 마련 방안에서 여야가 얼마나 빨리 합의에 이를지에 달렸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필수만 추려 10조 추경”…여·야 합의가 관건
    • 입력 2025-03-30 21:10:56
    • 수정2025-03-31 07:54:51
    뉴스 9
[앵커]

피해 지원을 위해 정부는 10조 원 규모 추가경정예산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100일 넘게 말만 많았던 추경 결국 최악의 산불 앞에 정부가 먼저, 하자고 나섰습니다.

김지숙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가 제시한 추경 규모는 10조 원입니다.

지금까지 추경은 '여야 합의 먼저'라는 입장을 고수해왔지만, 이번에는 먼저 추경안을 제시했습니다.

역대 최대 산불 피해와 당장 다음 달 2일부터 예고된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등….

대내외 위기 상황이란 겁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기획재정부 장관 : "기존 가용 재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을 넘어, 신속한 추가 재정 투입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번 추경은 산불 피해 복구를 비롯해 통상 대응과 민생 지원 등 세 가지 분야로 추려졌습니다.

10조 원은 그간 여당의 15조 원, 야당의 35조 원 주장에 비해 작은 규모입니다.

여야 이견이 가장 적을, '필수' 분야만 추렸다는 설명입니다.

속도가 중요한 만큼 논의를 지연시킬 수 있는 증액 등은 하지 말라고도 했습니다.

[최상목/경제부총리·기획재정부 장관 : "여야 간 이견 사업이나 추경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사업의 증액이 추진된다면, 정치 갈등으로 인해 국회 심사가 무기한 연장되고…."]

여당은 환영한단 입장을, 야당은 너무 늦었다면서도 추경안을 내면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했습니다.

정부는 다음 달 국회 통과를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이번 추경의 속도는 추경에 담길 세부 사업과 국채 발행 등 재원 마련 방안에서 여야가 얼마나 빨리 합의에 이를지에 달렸습니다.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이호/영상편집:김근환/그래픽:김지훈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