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1년 반 만에 전면 재개…외국인 돌아올까?

입력 2025.03.31 (12:20) 수정 2025.03.31 (17:3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주가 하락에 투자하는 '공매도'가 오늘(31일) 재개됐습니다.

2023년 11월 전면 금지 이후 1년 4개월여 만입니다.

불법 공매도 여지를 원천 차단할 시스템을 갖췄다는 게 금융당국 설명인데, 재개 첫날 주식 시황은 꽤 부진합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매도 전면 재개 첫날.

오전 코스피는 부진했습니다.

개장과 함께 2% 정도 빠지더니, 2,500선 안팎을 오가고 있습니다.

장중 2,500선이 깨진 건 지난달 10일 이후 처음입니다.

코스닥도 1% 넘게 내리며 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공매도 관련성이 높을 걸로 관측됐던 종목들이 주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자가 주식을 미리 빌려놓은 대차잔고가 많은 삼성전자나 이차전지주 등입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내릴 때 돈을 버는 투자 기법입니다.

남의 주식을 빌려 미리 판 뒤 주가가 내려가면 더 싼 값에 되사서 갚으면 됩니다.

특정 종목이 너무 오를 경우 이를 조정하는 순기능이 있지만, 하락 폭을 키운다는 점에서 개인 투자자들 불만이 컸습니다.

그러던 중 주식을 빌리지도 않고 팔아 버리는 '무차입 공매도' 적발이 계기가 돼, 2023년 11월 공매도 자체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이후 1년여 동안 금융당국은 '무차입 공매도'를 막기 위한 중앙점검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빌려 온 주식 잔고가 있다는 점이 확인돼야만 공매도 주문을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공매도 재개 초반 당분간 국내 증시는 오르락내리락 변동성이 커질 거라는 관측이 많습니다.

주요국 증시 중 유일하게 금지했던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외국인 매수세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매도, 1년 반 만에 전면 재개…외국인 돌아올까?
    • 입력 2025-03-31 12:20:57
    • 수정2025-03-31 17:31:50
    뉴스 12
[앵커]

주가 하락에 투자하는 '공매도'가 오늘(31일) 재개됐습니다.

2023년 11월 전면 금지 이후 1년 4개월여 만입니다.

불법 공매도 여지를 원천 차단할 시스템을 갖췄다는 게 금융당국 설명인데, 재개 첫날 주식 시황은 꽤 부진합니다.

이승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공매도 전면 재개 첫날.

오전 코스피는 부진했습니다.

개장과 함께 2% 정도 빠지더니, 2,500선 안팎을 오가고 있습니다.

장중 2,500선이 깨진 건 지난달 10일 이후 처음입니다.

코스닥도 1% 넘게 내리며 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공매도 관련성이 높을 걸로 관측됐던 종목들이 주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자가 주식을 미리 빌려놓은 대차잔고가 많은 삼성전자나 이차전지주 등입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내릴 때 돈을 버는 투자 기법입니다.

남의 주식을 빌려 미리 판 뒤 주가가 내려가면 더 싼 값에 되사서 갚으면 됩니다.

특정 종목이 너무 오를 경우 이를 조정하는 순기능이 있지만, 하락 폭을 키운다는 점에서 개인 투자자들 불만이 컸습니다.

그러던 중 주식을 빌리지도 않고 팔아 버리는 '무차입 공매도' 적발이 계기가 돼, 2023년 11월 공매도 자체가 전면 금지됐습니다.

이후 1년여 동안 금융당국은 '무차입 공매도'를 막기 위한 중앙점검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빌려 온 주식 잔고가 있다는 점이 확인돼야만 공매도 주문을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공매도 재개 초반 당분간 국내 증시는 오르락내리락 변동성이 커질 거라는 관측이 많습니다.

주요국 증시 중 유일하게 금지했던 공매도가 재개되면서 외국인 매수세가 늘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KBS 뉴스 이승철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