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총재 “미국 관세, 나쁜 시나리오…적절히 금리 인상”
입력 2025.04.16 (13:12)
수정 2025.04.16 (13: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2월 이후에는 나쁜 시나리오로 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오늘(16일) 산케이신문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당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정도부터 위험성이 있다고 인식했지만, 1월에는 시장이 안정적이어서 영향이 그렇게 심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미국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일본에서는 수출이 늘지 않고, 미국에서는 물가가 상승해 소비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주가와 환율 등 시장 동향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며 “예단하지 않고 영향ㅇ르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미국 관세로 일본 경제가 위축될 경우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할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기업과 가계의 심리는 일부 반응하고 있기도 하다”며 자료 검토뿐만 아니라 의견 청취 등을 통해 적절하게 정책을 운용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금리 인상 속도 관련 질문에는 “적절한 속도로 지속할 방침”이라며 “상황에 따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게 될지도 모르지만, 정세 변화에 대응해 적절히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우에다 총리는 또 최근 일본에서 쌀과 채소 가격이 급등한 요인으로 날씨를 꼽은 뒤 “채소 가격은 이미 정점을 지나 하락하고 있고, 쌀 가격 상승률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른 식품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진정되고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고 기업이 임금을 대폭 ㅇ리면 올해 중·후반부터는 하락해 왔던 실질임금이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식품 가격이 내려가지 않거나 세계 공급망에 혼란이 발생하면 물가가 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우에다 총재가 이끄는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올리며 8년 동안 이어진 ‘마이너스 금리’ 시대에 마침표를 찍었고, 이후 순차적으로 금리를 올렸습니다.
현재 기준금리는 ‘0.5%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우에다 총재는 오늘(16일) 산케이신문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당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정도부터 위험성이 있다고 인식했지만, 1월에는 시장이 안정적이어서 영향이 그렇게 심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미국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일본에서는 수출이 늘지 않고, 미국에서는 물가가 상승해 소비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주가와 환율 등 시장 동향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며 “예단하지 않고 영향ㅇ르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미국 관세로 일본 경제가 위축될 경우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할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기업과 가계의 심리는 일부 반응하고 있기도 하다”며 자료 검토뿐만 아니라 의견 청취 등을 통해 적절하게 정책을 운용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금리 인상 속도 관련 질문에는 “적절한 속도로 지속할 방침”이라며 “상황에 따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게 될지도 모르지만, 정세 변화에 대응해 적절히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우에다 총리는 또 최근 일본에서 쌀과 채소 가격이 급등한 요인으로 날씨를 꼽은 뒤 “채소 가격은 이미 정점을 지나 하락하고 있고, 쌀 가격 상승률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른 식품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진정되고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고 기업이 임금을 대폭 ㅇ리면 올해 중·후반부터는 하락해 왔던 실질임금이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식품 가격이 내려가지 않거나 세계 공급망에 혼란이 발생하면 물가가 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우에다 총재가 이끄는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올리며 8년 동안 이어진 ‘마이너스 금리’ 시대에 마침표를 찍었고, 이후 순차적으로 금리를 올렸습니다.
현재 기준금리는 ‘0.5%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본은행 총재 “미국 관세, 나쁜 시나리오…적절히 금리 인상”
-
- 입력 2025-04-16 13:12:30
- 수정2025-04-16 13:17:07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 우에다 가즈오 총재가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2월 이후에는 나쁜 시나리오로 오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오늘(16일) 산케이신문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당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정도부터 위험성이 있다고 인식했지만, 1월에는 시장이 안정적이어서 영향이 그렇게 심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미국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일본에서는 수출이 늘지 않고, 미국에서는 물가가 상승해 소비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주가와 환율 등 시장 동향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며 “예단하지 않고 영향ㅇ르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미국 관세로 일본 경제가 위축될 경우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할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기업과 가계의 심리는 일부 반응하고 있기도 하다”며 자료 검토뿐만 아니라 의견 청취 등을 통해 적절하게 정책을 운용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금리 인상 속도 관련 질문에는 “적절한 속도로 지속할 방침”이라며 “상황에 따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게 될지도 모르지만, 정세 변화에 대응해 적절히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우에다 총리는 또 최근 일본에서 쌀과 채소 가격이 급등한 요인으로 날씨를 꼽은 뒤 “채소 가격은 이미 정점을 지나 하락하고 있고, 쌀 가격 상승률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른 식품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진정되고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고 기업이 임금을 대폭 ㅇ리면 올해 중·후반부터는 하락해 왔던 실질임금이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식품 가격이 내려가지 않거나 세계 공급망에 혼란이 발생하면 물가가 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우에다 총재가 이끄는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올리며 8년 동안 이어진 ‘마이너스 금리’ 시대에 마침표를 찍었고, 이후 순차적으로 금리를 올렸습니다.
현재 기준금리는 ‘0.5%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우에다 총재는 오늘(16일) 산케이신문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당선 직후인 “지난해 11월 정도부터 위험성이 있다고 인식했지만, 1월에는 시장이 안정적이어서 영향이 그렇게 심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있었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미국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일본에서는 수출이 늘지 않고, 미국에서는 물가가 상승해 소비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주가와 환율 등 시장 동향은 예측하기 어렵지만,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며 “예단하지 않고 영향ㅇ르 점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미국 관세로 일본 경제가 위축될 경우 기준금리 인상을 중단할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기업과 가계의 심리는 일부 반응하고 있기도 하다”며 자료 검토뿐만 아니라 의견 청취 등을 통해 적절하게 정책을 운용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금리 인상 속도 관련 질문에는 “적절한 속도로 지속할 방침”이라며 “상황에 따라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게 될지도 모르지만, 정세 변화에 대응해 적절히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우에다 총리는 또 최근 일본에서 쌀과 채소 가격이 급등한 요인으로 날씨를 꼽은 뒤 “채소 가격은 이미 정점을 지나 하락하고 있고, 쌀 가격 상승률도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른 식품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진정되고 있는 듯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우에다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고 기업이 임금을 대폭 ㅇ리면 올해 중·후반부터는 하락해 왔던 실질임금이 상승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식품 가격이 내려가지 않거나 세계 공급망에 혼란이 발생하면 물가가 오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우에다 총재가 이끄는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17년 만에 금리를 올리며 8년 동안 이어진 ‘마이너스 금리’ 시대에 마침표를 찍었고, 이후 순차적으로 금리를 올렸습니다.
현재 기준금리는 ‘0.5% 수준’입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트럼프발 ‘관세 전쟁’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