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정보당국 “북한, 우크라이나 본토 내로 파병될 예정” 주장

입력 2025.04.17 (11:10) 수정 2025.04.17 (11: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 쿠르스크주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 역할을 했던 북한 파병군이 우크라이나 본토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산하 허위정보대응센터의 안드리 코발렌코 센터장은 현지시각 16일 텔레그램에 올린 글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영토 내에서 이뤄질 전쟁에 북한군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러시아는 전쟁 첫해인 2022년 9월 도네츠크·루한스크·자포리자·헤르손 등 우크라이나 내 4개 점령지에서 러시아 귀속 찬반 주민투표를 강행해 이들 지역을 러시아에 합병시켰는데, 코발렌코 센터장의 발언은 이 지역에 북한군이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국제사회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병합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6월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데 이어 같은해 10월 1만명이 넘는 정예 병력을 러시아로 파병했으나, 현재까지는 러시아 쿠르스크주 일대에서만 작전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8월 기습적으로 국경을 넘어 쿠르스크로 진입한 우크라이나군을 격퇴하는 작전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면서 북한 파병군은 최근 들어 역할이 모호해진 것으로 평가됩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에선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본토 투입설이 제기돼 왔는데, 비교적 명분을 챙길 여지가 있는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 점령지로 향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코발렌코 센터장의 주장으로 해석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젤렌스키 엑스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크라이나 정보당국 “북한, 우크라이나 본토 내로 파병될 예정” 주장
    • 입력 2025-04-17 11:10:31
    • 수정2025-04-17 11:40:09
    국제
러시아 쿠르스크주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몰아내는 역할을 했던 북한 파병군이 우크라이나 본토 진입을 준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우크라이나 국가안보국방위원회 산하 허위정보대응센터의 안드리 코발렌코 센터장은 현지시각 16일 텔레그램에 올린 글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영토 내에서 이뤄질 전쟁에 북한군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러시아는 전쟁 첫해인 2022년 9월 도네츠크·루한스크·자포리자·헤르손 등 우크라이나 내 4개 점령지에서 러시아 귀속 찬반 주민투표를 강행해 이들 지역을 러시아에 합병시켰는데, 코발렌코 센터장의 발언은 이 지역에 북한군이 투입될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국제사회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병합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은 지난해 6월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데 이어 같은해 10월 1만명이 넘는 정예 병력을 러시아로 파병했으나, 현재까지는 러시아 쿠르스크주 일대에서만 작전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해 8월 기습적으로 국경을 넘어 쿠르스크로 진입한 우크라이나군을 격퇴하는 작전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면서 북한 파병군은 최근 들어 역할이 모호해진 것으로 평가됩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에선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본토 투입설이 제기돼 왔는데, 비교적 명분을 챙길 여지가 있는 우크라이나 내 러시아 점령지로 향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코발렌코 센터장의 주장으로 해석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젤렌스키 엑스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