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항구서 대형 폭발…“10여 명 사망·700여 명 부상”
입력 2025.04.27 (12:05)
수정 2025.04.27 (12: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란 남부 항구에서 대형 폭발이 일어나, 10여 명이 숨지고 7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화학물질로 인한 폭발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란 정부는 사고 수습과 함께 폭발 원인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두바이 김개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컨테이너가 쌓인 항구에서 주황색 연기가 치솟습니다.
불길이 커지더니 굉음과 함께 폭발합니다.
폭발의 충격으로 사고 현장 주변은 모두 산산조각 났습니다.
현지 시각 26일 낮 이란 남부 도시 반다르 아바스의 샤히드 라자이 항구에서 대규모 폭발이 일어났습니다.
이 폭발로 지금까지 최소 8명이 숨지고 750여 명이 다쳤다고 이란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현장에서 수 km 이내의 유리창이 대부분 깨지고 수십 킬로 떨어진 곳에서도 폭발음이 들렸다는 증언이 잇따랐습니다.
이란 당국자는 항구에 있는 컨테이너 다수가 폭발해 사고가 시작됐다고 밝혔습니다.
현지 언론은 "폭발의 원인이 컨테이너 내부의 화학물질이었다"고 전했습니다.
이란 정부 대변인은 화학 물질이 폭발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폭발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지시하며 내무장관을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전략적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 위치한 샤히드 라자이 항구는 연간 약 8천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는 이란 최대 컨테이너 허브입니다.
이날 오만 무스카트에서 미국과 이란의 3차 핵 협상이 열렸습니다.
오만의 중재로 열린 협상이 끝난 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주요 문제와 세부 사항에서 이견이 있었다"고 회견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양측은 다음 달 3일 4차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이란 남부 항구에서 대형 폭발이 일어나, 10여 명이 숨지고 7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화학물질로 인한 폭발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란 정부는 사고 수습과 함께 폭발 원인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두바이 김개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컨테이너가 쌓인 항구에서 주황색 연기가 치솟습니다.
불길이 커지더니 굉음과 함께 폭발합니다.
폭발의 충격으로 사고 현장 주변은 모두 산산조각 났습니다.
현지 시각 26일 낮 이란 남부 도시 반다르 아바스의 샤히드 라자이 항구에서 대규모 폭발이 일어났습니다.
이 폭발로 지금까지 최소 8명이 숨지고 750여 명이 다쳤다고 이란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현장에서 수 km 이내의 유리창이 대부분 깨지고 수십 킬로 떨어진 곳에서도 폭발음이 들렸다는 증언이 잇따랐습니다.
이란 당국자는 항구에 있는 컨테이너 다수가 폭발해 사고가 시작됐다고 밝혔습니다.
현지 언론은 "폭발의 원인이 컨테이너 내부의 화학물질이었다"고 전했습니다.
이란 정부 대변인은 화학 물질이 폭발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폭발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지시하며 내무장관을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전략적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 위치한 샤히드 라자이 항구는 연간 약 8천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는 이란 최대 컨테이너 허브입니다.
이날 오만 무스카트에서 미국과 이란의 3차 핵 협상이 열렸습니다.
오만의 중재로 열린 협상이 끝난 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주요 문제와 세부 사항에서 이견이 있었다"고 회견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양측은 다음 달 3일 4차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란 항구서 대형 폭발…“10여 명 사망·700여 명 부상”
-
- 입력 2025-04-27 12:05:57
- 수정2025-04-27 12:16:53

[앵커]
이란 남부 항구에서 대형 폭발이 일어나, 10여 명이 숨지고 7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화학물질로 인한 폭발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란 정부는 사고 수습과 함께 폭발 원인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두바이 김개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컨테이너가 쌓인 항구에서 주황색 연기가 치솟습니다.
불길이 커지더니 굉음과 함께 폭발합니다.
폭발의 충격으로 사고 현장 주변은 모두 산산조각 났습니다.
현지 시각 26일 낮 이란 남부 도시 반다르 아바스의 샤히드 라자이 항구에서 대규모 폭발이 일어났습니다.
이 폭발로 지금까지 최소 8명이 숨지고 750여 명이 다쳤다고 이란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현장에서 수 km 이내의 유리창이 대부분 깨지고 수십 킬로 떨어진 곳에서도 폭발음이 들렸다는 증언이 잇따랐습니다.
이란 당국자는 항구에 있는 컨테이너 다수가 폭발해 사고가 시작됐다고 밝혔습니다.
현지 언론은 "폭발의 원인이 컨테이너 내부의 화학물질이었다"고 전했습니다.
이란 정부 대변인은 화학 물질이 폭발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폭발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지시하며 내무장관을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전략적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 위치한 샤히드 라자이 항구는 연간 약 8천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는 이란 최대 컨테이너 허브입니다.
이날 오만 무스카트에서 미국과 이란의 3차 핵 협상이 열렸습니다.
오만의 중재로 열린 협상이 끝난 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주요 문제와 세부 사항에서 이견이 있었다"고 회견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양측은 다음 달 3일 4차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이란 남부 항구에서 대형 폭발이 일어나, 10여 명이 숨지고 7백여 명이 다쳤습니다.
화학물질로 인한 폭발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이란 정부는 사고 수습과 함께 폭발 원인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두바이 김개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컨테이너가 쌓인 항구에서 주황색 연기가 치솟습니다.
불길이 커지더니 굉음과 함께 폭발합니다.
폭발의 충격으로 사고 현장 주변은 모두 산산조각 났습니다.
현지 시각 26일 낮 이란 남부 도시 반다르 아바스의 샤히드 라자이 항구에서 대규모 폭발이 일어났습니다.
이 폭발로 지금까지 최소 8명이 숨지고 750여 명이 다쳤다고 이란 언론들은 전했습니다.
현장에서 수 km 이내의 유리창이 대부분 깨지고 수십 킬로 떨어진 곳에서도 폭발음이 들렸다는 증언이 잇따랐습니다.
이란 당국자는 항구에 있는 컨테이너 다수가 폭발해 사고가 시작됐다고 밝혔습니다.
현지 언론은 "폭발의 원인이 컨테이너 내부의 화학물질이었다"고 전했습니다.
이란 정부 대변인은 화학 물질이 폭발의 원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은 폭발에 대한 철저한 조사를 지시하며 내무장관을 현지에 파견했습니다.
전략적 요충지인 호르무즈 해협 인근에 위치한 샤히드 라자이 항구는 연간 약 8천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는 이란 최대 컨테이너 허브입니다.
이날 오만 무스카트에서 미국과 이란의 3차 핵 협상이 열렸습니다.
오만의 중재로 열린 협상이 끝난 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주요 문제와 세부 사항에서 이견이 있었다"고 회견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양측은 다음 달 3일 4차 협상을 진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두바이에서 KBS 뉴스 김개형입니다.
영상편집:양의정
-
-
김개형 기자 thenews@kbs.co.kr
김개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