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번 주 중재 지속 여부 결정”…러, 북한군 파병 공식 인정
입력 2025.04.28 (06:18)
수정 2025.04.28 (07: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러시아가 지난해 우크라이나로부터 기습 공격당한 쿠르스크 지역을 완전 탈환했다고 선언하면서 북한군 도움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종전 협상이 공전을 거듭하는 가운데 미국 국무장관은 종전 중재 지속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베를린 조빛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 파병이 알려진 건 지난해 10월, 하지만 러시아도 북한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한때 서울 면적 두 배까지 러시아 쿠르스크를 점령했던 우크라이나군은 그즈음부터 밀려나기 시작했습니다.
현지 시각 26일 러시아는 쿠르스크를 8개월여 만에 완전히 수복했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군이 중대한 기여를 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러시아군 총참모장 : "북한군 병사와 장교들은 우크라이나를 격퇴하는 동안 높은 전문성과 강인함, 용기, 영웅적 행동을 보여 줬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영토 교환을 협상할 땅은 이제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블라미디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쿠르스크 수복은) 우리 군의 추가적인 성공을 위한 좋은 조건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바티칸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미사 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따로 만나더니, 러시아에 전에 없이 강력한 경고를 날렸습니다.
"푸틴이 전쟁을 중단한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며 금융 제재와 2차 제재까지 언급했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종전 협정에 충분히 가까이 오지 못했다며 미국이 중재를 계속할 지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곧 취임 100일을 맞는 트럼프 대통령이 종전 협상 압박 수위를 높였지만, 주도권은 러시아가 쥐고 있는 모양샙니다.
러시아는 주말 동안 우크라이나 곳곳을 공습했고, 최소 4명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김나영
러시아가 지난해 우크라이나로부터 기습 공격당한 쿠르스크 지역을 완전 탈환했다고 선언하면서 북한군 도움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종전 협상이 공전을 거듭하는 가운데 미국 국무장관은 종전 중재 지속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베를린 조빛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 파병이 알려진 건 지난해 10월, 하지만 러시아도 북한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한때 서울 면적 두 배까지 러시아 쿠르스크를 점령했던 우크라이나군은 그즈음부터 밀려나기 시작했습니다.
현지 시각 26일 러시아는 쿠르스크를 8개월여 만에 완전히 수복했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군이 중대한 기여를 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러시아군 총참모장 : "북한군 병사와 장교들은 우크라이나를 격퇴하는 동안 높은 전문성과 강인함, 용기, 영웅적 행동을 보여 줬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영토 교환을 협상할 땅은 이제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블라미디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쿠르스크 수복은) 우리 군의 추가적인 성공을 위한 좋은 조건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바티칸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미사 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따로 만나더니, 러시아에 전에 없이 강력한 경고를 날렸습니다.
"푸틴이 전쟁을 중단한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며 금융 제재와 2차 제재까지 언급했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종전 협정에 충분히 가까이 오지 못했다며 미국이 중재를 계속할 지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곧 취임 100일을 맞는 트럼프 대통령이 종전 협상 압박 수위를 높였지만, 주도권은 러시아가 쥐고 있는 모양샙니다.
러시아는 주말 동안 우크라이나 곳곳을 공습했고, 최소 4명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이번 주 중재 지속 여부 결정”…러, 북한군 파병 공식 인정
-
- 입력 2025-04-28 06:18:26
- 수정2025-04-28 07:33:30

[앵커]
러시아가 지난해 우크라이나로부터 기습 공격당한 쿠르스크 지역을 완전 탈환했다고 선언하면서 북한군 도움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종전 협상이 공전을 거듭하는 가운데 미국 국무장관은 종전 중재 지속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베를린 조빛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 파병이 알려진 건 지난해 10월, 하지만 러시아도 북한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한때 서울 면적 두 배까지 러시아 쿠르스크를 점령했던 우크라이나군은 그즈음부터 밀려나기 시작했습니다.
현지 시각 26일 러시아는 쿠르스크를 8개월여 만에 완전히 수복했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군이 중대한 기여를 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러시아군 총참모장 : "북한군 병사와 장교들은 우크라이나를 격퇴하는 동안 높은 전문성과 강인함, 용기, 영웅적 행동을 보여 줬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영토 교환을 협상할 땅은 이제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블라미디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쿠르스크 수복은) 우리 군의 추가적인 성공을 위한 좋은 조건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바티칸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미사 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따로 만나더니, 러시아에 전에 없이 강력한 경고를 날렸습니다.
"푸틴이 전쟁을 중단한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며 금융 제재와 2차 제재까지 언급했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종전 협정에 충분히 가까이 오지 못했다며 미국이 중재를 계속할 지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곧 취임 100일을 맞는 트럼프 대통령이 종전 협상 압박 수위를 높였지만, 주도권은 러시아가 쥐고 있는 모양샙니다.
러시아는 주말 동안 우크라이나 곳곳을 공습했고, 최소 4명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김나영
러시아가 지난해 우크라이나로부터 기습 공격당한 쿠르스크 지역을 완전 탈환했다고 선언하면서 북한군 도움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종전 협상이 공전을 거듭하는 가운데 미국 국무장관은 종전 중재 지속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베를린 조빛나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군 파병이 알려진 건 지난해 10월, 하지만 러시아도 북한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한때 서울 면적 두 배까지 러시아 쿠르스크를 점령했던 우크라이나군은 그즈음부터 밀려나기 시작했습니다.
현지 시각 26일 러시아는 쿠르스크를 8개월여 만에 완전히 수복했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군이 중대한 기여를 했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발레리 게라시모프/러시아군 총참모장 : "북한군 병사와 장교들은 우크라이나를 격퇴하는 동안 높은 전문성과 강인함, 용기, 영웅적 행동을 보여 줬습니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영토 교환을 협상할 땅은 이제 없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블라미디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쿠르스크 수복은) 우리 군의 추가적인 성공을 위한 좋은 조건을 마련해 주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바티칸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미사 전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따로 만나더니, 러시아에 전에 없이 강력한 경고를 날렸습니다.
"푸틴이 전쟁을 중단한 생각이 없는 것 같다"며 금융 제재와 2차 제재까지 언급했습니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종전 협정에 충분히 가까이 오지 못했다며 미국이 중재를 계속할 지 여부를 이번 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곧 취임 100일을 맞는 트럼프 대통령이 종전 협상 압박 수위를 높였지만, 주도권은 러시아가 쥐고 있는 모양샙니다.
러시아는 주말 동안 우크라이나 곳곳을 공습했고, 최소 4명이 숨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베를린에서 KBS 뉴스 조빛나입니다.
영상편집:한미희/자료조사:김나영
-
-
조빛나 기자 hymn@kbs.co.kr
조빛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러-우크라이나 전쟁 3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