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의원실 “SKT 유출 데이터 9.7GB…300쪽 책 9천 권 분량”
입력 2025.04.29 (10:14)
수정 2025.04.29 (10: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최근 일어난 SK텔레콤 해킹 공격을 통해 외부에 유출된 정보가 최대 9.7기가바이트(GB) 분량으로 파악됐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인 최민희 의원이 SK텔레콤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18일 오후 6시 9분 이 회사 보안관제센터에서 비정상적 데이터 이동이 처음 감지됐고, 이동한 데이터양은 9.7GB에 달했습니다.
이를 문서 파일로 환산하면, 300쪽 분량의 책 9천 권, 약 270만 쪽에 이르는 양이라고 최 의원은 밝혔습니다. 유출된 데이터에는 유심(USIM) 관련 정보도 포함됐습니다.
SK텔레콤은 보안관제센터에서 데이터가 빠져나간 트래픽 이상을 감지한 18일 밤 11시 20분 과금 분석 장비에서 악성코드가 심어진 사실과 함께 파일을 삭제한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이어 다음 날인 19일 오전 1시 40분 악성코드가 발견된 과금 분석 장비를 격리하고 침입 경로 및 유출 데이터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19일 밤 11시 40분 홈 가입자 서버(HSS)의 데이터 유출이 의심되는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해당 서버는 4G와 5G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이용할 때 단말 인증을 수행합니다.
최 의원은 “국민 불안이 큰 만큼 SK텔레콤은 하루빨리 더 많은 양의 유심을 확보해 택배 운송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고 번호이동을 원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 등 실질적 피해 구제 대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인 최민희 의원이 SK텔레콤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18일 오후 6시 9분 이 회사 보안관제센터에서 비정상적 데이터 이동이 처음 감지됐고, 이동한 데이터양은 9.7GB에 달했습니다.
이를 문서 파일로 환산하면, 300쪽 분량의 책 9천 권, 약 270만 쪽에 이르는 양이라고 최 의원은 밝혔습니다. 유출된 데이터에는 유심(USIM) 관련 정보도 포함됐습니다.
SK텔레콤은 보안관제센터에서 데이터가 빠져나간 트래픽 이상을 감지한 18일 밤 11시 20분 과금 분석 장비에서 악성코드가 심어진 사실과 함께 파일을 삭제한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이어 다음 날인 19일 오전 1시 40분 악성코드가 발견된 과금 분석 장비를 격리하고 침입 경로 및 유출 데이터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19일 밤 11시 40분 홈 가입자 서버(HSS)의 데이터 유출이 의심되는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해당 서버는 4G와 5G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이용할 때 단말 인증을 수행합니다.
최 의원은 “국민 불안이 큰 만큼 SK텔레콤은 하루빨리 더 많은 양의 유심을 확보해 택배 운송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고 번호이동을 원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 등 실질적 피해 구제 대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민희 의원실 “SKT 유출 데이터 9.7GB…300쪽 책 9천 권 분량”
-
- 입력 2025-04-29 10:14:23
- 수정2025-04-29 10:17:43

최근 일어난 SK텔레콤 해킹 공격을 통해 외부에 유출된 정보가 최대 9.7기가바이트(GB) 분량으로 파악됐습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인 최민희 의원이 SK텔레콤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18일 오후 6시 9분 이 회사 보안관제센터에서 비정상적 데이터 이동이 처음 감지됐고, 이동한 데이터양은 9.7GB에 달했습니다.
이를 문서 파일로 환산하면, 300쪽 분량의 책 9천 권, 약 270만 쪽에 이르는 양이라고 최 의원은 밝혔습니다. 유출된 데이터에는 유심(USIM) 관련 정보도 포함됐습니다.
SK텔레콤은 보안관제센터에서 데이터가 빠져나간 트래픽 이상을 감지한 18일 밤 11시 20분 과금 분석 장비에서 악성코드가 심어진 사실과 함께 파일을 삭제한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이어 다음 날인 19일 오전 1시 40분 악성코드가 발견된 과금 분석 장비를 격리하고 침입 경로 및 유출 데이터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19일 밤 11시 40분 홈 가입자 서버(HSS)의 데이터 유출이 의심되는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해당 서버는 4G와 5G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이용할 때 단말 인증을 수행합니다.
최 의원은 “국민 불안이 큰 만큼 SK텔레콤은 하루빨리 더 많은 양의 유심을 확보해 택배 운송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고 번호이동을 원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 등 실질적 피해 구제 대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인 최민희 의원이 SK텔레콤에서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 18일 오후 6시 9분 이 회사 보안관제센터에서 비정상적 데이터 이동이 처음 감지됐고, 이동한 데이터양은 9.7GB에 달했습니다.
이를 문서 파일로 환산하면, 300쪽 분량의 책 9천 권, 약 270만 쪽에 이르는 양이라고 최 의원은 밝혔습니다. 유출된 데이터에는 유심(USIM) 관련 정보도 포함됐습니다.
SK텔레콤은 보안관제센터에서 데이터가 빠져나간 트래픽 이상을 감지한 18일 밤 11시 20분 과금 분석 장비에서 악성코드가 심어진 사실과 함께 파일을 삭제한 흔적을 발견했습니다.
이어 다음 날인 19일 오전 1시 40분 악성코드가 발견된 과금 분석 장비를 격리하고 침입 경로 및 유출 데이터 분석에 착수했습니다.
19일 밤 11시 40분 홈 가입자 서버(HSS)의 데이터 유출이 의심되는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해당 서버는 4G와 5G 가입자가 음성 통화를 이용할 때 단말 인증을 수행합니다.
최 의원은 “국민 불안이 큰 만큼 SK텔레콤은 하루빨리 더 많은 양의 유심을 확보해 택배 운송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에 나서고 번호이동을 원하는 고객에 대해서는 위약금 면제 등 실질적 피해 구제 대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대수 기자 freehead@kbs.co.kr
최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