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환자 15만 시대…“수가·장애 기준 현실화해야”
입력 2025.05.03 (06:40)
수정 2025.05.03 (07: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국내 파킨슨병 환자가 최근 빠르게 늘면서 올해는 15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운동 기능 장애에 치매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지만, 환자들은 의료 환경이 여전히 열악하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내 최고의 척추 명의로 꼽혔던 박춘근 교수.
15년 전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뒤통수를 쇠막대기로 얻어맞은 것 같았어요."]
난치성 질환 환자가 되고 보니 의료 환경은 열악하기만 했습니다.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건강보험 수가가 낮아 치료사를 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한 사람이 30분을 잡고 작업 치료를 시켜주는데 돈을 몇천 원 받아요."]
재활의학과 전문의 90% 이상은 관련 설문조사에서 현행 건강보험 체계로는 파킨슨병 환자들을 제대로 진료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재활 치료실 운영 자체가 어렵다는 응답도 60%가 넘었습니다.
장애 인정도 쉽지가 않습니다.
약물 복용 여부에 따라 증세가 수시로 달라지는 만큼 파킨슨병의 장애 인정 기준을 더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약을 먹고 잘 조절된 상태에서 (장애등록심사에)간단 말이에요. 그러면 뭐가 장애가 있냐. 장애가 하나도 없는데."]
환자 수가 6배 이상 많은 치매는 2012년 치매관리법을 제정해 진단과 치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에 대해서도 정부의 의료비 지원과 공공 요양병원 설립 등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강선우/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포용적이고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그런 방향으로 나가서 제정법이 필요하지 않나."]
파킨슨병 환자 15만 시대.
완치까지는 어려워도 치료와 재활이라도 제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이 시급히 마련돼야 할 시점입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치료하면 좋아져요. 제가 좋아진 거예요. 얼마나 좋아진 건지 몰라요."]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지훈
국내 파킨슨병 환자가 최근 빠르게 늘면서 올해는 15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운동 기능 장애에 치매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지만, 환자들은 의료 환경이 여전히 열악하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내 최고의 척추 명의로 꼽혔던 박춘근 교수.
15년 전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뒤통수를 쇠막대기로 얻어맞은 것 같았어요."]
난치성 질환 환자가 되고 보니 의료 환경은 열악하기만 했습니다.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건강보험 수가가 낮아 치료사를 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한 사람이 30분을 잡고 작업 치료를 시켜주는데 돈을 몇천 원 받아요."]
재활의학과 전문의 90% 이상은 관련 설문조사에서 현행 건강보험 체계로는 파킨슨병 환자들을 제대로 진료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재활 치료실 운영 자체가 어렵다는 응답도 60%가 넘었습니다.
장애 인정도 쉽지가 않습니다.
약물 복용 여부에 따라 증세가 수시로 달라지는 만큼 파킨슨병의 장애 인정 기준을 더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약을 먹고 잘 조절된 상태에서 (장애등록심사에)간단 말이에요. 그러면 뭐가 장애가 있냐. 장애가 하나도 없는데."]
환자 수가 6배 이상 많은 치매는 2012년 치매관리법을 제정해 진단과 치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에 대해서도 정부의 의료비 지원과 공공 요양병원 설립 등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강선우/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포용적이고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그런 방향으로 나가서 제정법이 필요하지 않나."]
파킨슨병 환자 15만 시대.
완치까지는 어려워도 치료와 재활이라도 제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이 시급히 마련돼야 할 시점입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치료하면 좋아져요. 제가 좋아진 거예요. 얼마나 좋아진 건지 몰라요."]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지훈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파킨슨병 환자 15만 시대…“수가·장애 기준 현실화해야”
-
- 입력 2025-05-03 06:40:57
- 수정2025-05-03 07:25:37

[앵커]
국내 파킨슨병 환자가 최근 빠르게 늘면서 올해는 15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운동 기능 장애에 치매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지만, 환자들은 의료 환경이 여전히 열악하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내 최고의 척추 명의로 꼽혔던 박춘근 교수.
15년 전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뒤통수를 쇠막대기로 얻어맞은 것 같았어요."]
난치성 질환 환자가 되고 보니 의료 환경은 열악하기만 했습니다.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건강보험 수가가 낮아 치료사를 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한 사람이 30분을 잡고 작업 치료를 시켜주는데 돈을 몇천 원 받아요."]
재활의학과 전문의 90% 이상은 관련 설문조사에서 현행 건강보험 체계로는 파킨슨병 환자들을 제대로 진료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재활 치료실 운영 자체가 어렵다는 응답도 60%가 넘었습니다.
장애 인정도 쉽지가 않습니다.
약물 복용 여부에 따라 증세가 수시로 달라지는 만큼 파킨슨병의 장애 인정 기준을 더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약을 먹고 잘 조절된 상태에서 (장애등록심사에)간단 말이에요. 그러면 뭐가 장애가 있냐. 장애가 하나도 없는데."]
환자 수가 6배 이상 많은 치매는 2012년 치매관리법을 제정해 진단과 치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에 대해서도 정부의 의료비 지원과 공공 요양병원 설립 등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강선우/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포용적이고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그런 방향으로 나가서 제정법이 필요하지 않나."]
파킨슨병 환자 15만 시대.
완치까지는 어려워도 치료와 재활이라도 제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이 시급히 마련돼야 할 시점입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치료하면 좋아져요. 제가 좋아진 거예요. 얼마나 좋아진 건지 몰라요."]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지훈
국내 파킨슨병 환자가 최근 빠르게 늘면서 올해는 15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운동 기능 장애에 치매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이지만, 환자들은 의료 환경이 여전히 열악하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정연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내 최고의 척추 명의로 꼽혔던 박춘근 교수.
15년 전 파킨슨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뒤통수를 쇠막대기로 얻어맞은 것 같았어요."]
난치성 질환 환자가 되고 보니 의료 환경은 열악하기만 했습니다.
재활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건강보험 수가가 낮아 치료사를 구하기가 어려웠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한 사람이 30분을 잡고 작업 치료를 시켜주는데 돈을 몇천 원 받아요."]
재활의학과 전문의 90% 이상은 관련 설문조사에서 현행 건강보험 체계로는 파킨슨병 환자들을 제대로 진료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재활 치료실 운영 자체가 어렵다는 응답도 60%가 넘었습니다.
장애 인정도 쉽지가 않습니다.
약물 복용 여부에 따라 증세가 수시로 달라지는 만큼 파킨슨병의 장애 인정 기준을 더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약을 먹고 잘 조절된 상태에서 (장애등록심사에)간단 말이에요. 그러면 뭐가 장애가 있냐. 장애가 하나도 없는데."]
환자 수가 6배 이상 많은 치매는 2012년 치매관리법을 제정해 진단과 치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에 대해서도 정부의 의료비 지원과 공공 요양병원 설립 등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습니다.
[강선우/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 "포용적이고 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그런 방향으로 나가서 제정법이 필요하지 않나."]
파킨슨병 환자 15만 시대.
완치까지는 어려워도 치료와 재활이라도 제대로 할 수 있는 환경이 시급히 마련돼야 할 시점입니다.
[박춘근/가톨릭의대 명예교수/파킨슨병 환자 : "치료하면 좋아져요. 제가 좋아진 거예요. 얼마나 좋아진 건지 몰라요."]
KBS 뉴스 정연욱입니다.
촬영기자:박세준/영상편집:서윤지/그래픽:김지훈
-
-
정연욱 기자 donkey@kbs.co.kr
정연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