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대통령비서실 등 압수수색 종료…일부 자료 확보
입력 2025.05.08 (11:26)
수정 2025.05.08 (18: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병대원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에 대해 이틀 연속 압수수색을 이어간 끝에 일부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공수처 수사3부(부장 이대환)는 오늘(8일) "오전 실시한 대통령 비서실·안보실 대상 압수수색은 오후 4시30분쯤 종료됐다"며 "대상 기관의 협조하에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압수수색은 대통령실에 영장을 제시한 뒤 협의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임의 제출받는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공수처의 대통령실 압수수색이 성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앞서 공수처는 어제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의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6시간 만에 집행 중지한 뒤 이날 오전 10시 30분께 재개했습니다.
공수처가 발부받은 압수 수색 영장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혐의가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공수처는 이른바 ‘VIP 격노설’이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전후 대통령실 회의 자료와 대통령실 출입 기록 등을 확보하려고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채상병 순직 경위에 대한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 발표 브리핑 취소와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하기 전 통화했던 ‘02-800-7070’ 번호의 서버기록도 압수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대통령경호처 명의로 등록된 해당 번호는 누가 사용했는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기 전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현 국가정보원장), 주진우 당시 비서실 법률비서관(국민의힘 국회의원)에게 전화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공수처는 이 전 장관이 2023년 7월 30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의 간부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하겠다는 해병대 수사단 조사 결과를 결재했다가 이튿날 돌연 번복한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7월 31일 오전 안보실이 참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조사 결과에 대해 격노해 이 전 장관을 질책했고, 이후 이 전 장관이 언론 브리핑 취소와 수사 결과 이첩 보류를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에게 지시했다는 겁니다.
그간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를 참고인 조사하는 등 수사를 이어갔지만, 계엄 이후 내란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잠정 중단했다가 최근 수사를 재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공수처 수사3부(부장 이대환)는 오늘(8일) "오전 실시한 대통령 비서실·안보실 대상 압수수색은 오후 4시30분쯤 종료됐다"며 "대상 기관의 협조하에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압수수색은 대통령실에 영장을 제시한 뒤 협의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임의 제출받는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공수처의 대통령실 압수수색이 성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앞서 공수처는 어제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의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6시간 만에 집행 중지한 뒤 이날 오전 10시 30분께 재개했습니다.
공수처가 발부받은 압수 수색 영장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혐의가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공수처는 이른바 ‘VIP 격노설’이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전후 대통령실 회의 자료와 대통령실 출입 기록 등을 확보하려고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채상병 순직 경위에 대한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 발표 브리핑 취소와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하기 전 통화했던 ‘02-800-7070’ 번호의 서버기록도 압수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대통령경호처 명의로 등록된 해당 번호는 누가 사용했는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기 전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현 국가정보원장), 주진우 당시 비서실 법률비서관(국민의힘 국회의원)에게 전화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공수처는 이 전 장관이 2023년 7월 30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의 간부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하겠다는 해병대 수사단 조사 결과를 결재했다가 이튿날 돌연 번복한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7월 31일 오전 안보실이 참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조사 결과에 대해 격노해 이 전 장관을 질책했고, 이후 이 전 장관이 언론 브리핑 취소와 수사 결과 이첩 보류를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에게 지시했다는 겁니다.
그간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를 참고인 조사하는 등 수사를 이어갔지만, 계엄 이후 내란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잠정 중단했다가 최근 수사를 재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수처, 대통령비서실 등 압수수색 종료…일부 자료 확보
-
- 입력 2025-05-08 11:26:57
- 수정2025-05-08 18:39:51

해병대원 순직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대통령 비서실과 국가안보실에 대해 이틀 연속 압수수색을 이어간 끝에 일부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공수처 수사3부(부장 이대환)는 오늘(8일) "오전 실시한 대통령 비서실·안보실 대상 압수수색은 오후 4시30분쯤 종료됐다"며 "대상 기관의 협조하에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압수수색은 대통령실에 영장을 제시한 뒤 협의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임의 제출받는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공수처의 대통령실 압수수색이 성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앞서 공수처는 어제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의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6시간 만에 집행 중지한 뒤 이날 오전 10시 30분께 재개했습니다.
공수처가 발부받은 압수 수색 영장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혐의가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공수처는 이른바 ‘VIP 격노설’이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전후 대통령실 회의 자료와 대통령실 출입 기록 등을 확보하려고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채상병 순직 경위에 대한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 발표 브리핑 취소와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하기 전 통화했던 ‘02-800-7070’ 번호의 서버기록도 압수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대통령경호처 명의로 등록된 해당 번호는 누가 사용했는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기 전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현 국가정보원장), 주진우 당시 비서실 법률비서관(국민의힘 국회의원)에게 전화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공수처는 이 전 장관이 2023년 7월 30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의 간부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하겠다는 해병대 수사단 조사 결과를 결재했다가 이튿날 돌연 번복한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7월 31일 오전 안보실이 참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조사 결과에 대해 격노해 이 전 장관을 질책했고, 이후 이 전 장관이 언론 브리핑 취소와 수사 결과 이첩 보류를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에게 지시했다는 겁니다.
그간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를 참고인 조사하는 등 수사를 이어갔지만, 계엄 이후 내란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잠정 중단했다가 최근 수사를 재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공수처 수사3부(부장 이대환)는 오늘(8일) "오전 실시한 대통령 비서실·안보실 대상 압수수색은 오후 4시30분쯤 종료됐다"며 "대상 기관의 협조하에 순조롭게 진행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날 압수수색은 대통령실에 영장을 제시한 뒤 협의를 통해 필요한 자료를 임의 제출받는 방식으로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공수처의 대통령실 압수수색이 성사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앞서 공수처는 어제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의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6시간 만에 집행 중지한 뒤 이날 오전 10시 30분께 재개했습니다.
공수처가 발부받은 압수 수색 영장에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혐의가 적시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공수처는 이른바 ‘VIP 격노설’이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전후 대통령실 회의 자료와 대통령실 출입 기록 등을 확보하려고 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특히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채상병 순직 경위에 대한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 발표 브리핑 취소와 경찰 이첩 보류를 지시하기 전 통화했던 ‘02-800-7070’ 번호의 서버기록도 압수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대통령경호처 명의로 등록된 해당 번호는 누가 사용했는지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 전 장관에게 전화를 걸기 전 조태용 당시 국가안보실장(현 국가정보원장), 주진우 당시 비서실 법률비서관(국민의힘 국회의원)에게 전화한 이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공수처는 이 전 장관이 2023년 7월 30일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8명의 간부를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로 경찰에 이첩하겠다는 해병대 수사단 조사 결과를 결재했다가 이튿날 돌연 번복한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의 압력이 작용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윤 전 대통령이 7월 31일 오전 안보실이 참여한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조사 결과에 대해 격노해 이 전 장관을 질책했고, 이후 이 전 장관이 언론 브리핑 취소와 수사 결과 이첩 보류를 김계환 당시 해병대 사령관에게 지시했다는 겁니다.
그간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를 참고인 조사하는 등 수사를 이어갔지만, 계엄 이후 내란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잠정 중단했다가 최근 수사를 재개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영훈 기자 huni@kbs.co.kr
김영훈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