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 “튀르키예 회담에 트럼프도 참석하길”
입력 2025.05.13 (02:26)
수정 2025.05.13 (02: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자신이 제안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참석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지 시각 12일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우크라이나의 모든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이 튀르키예에서 열릴 회담에 함께 참석해주길 바란다"며 "이는 좋은 아이디어"라고 말했습니다.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는 15일 튀르키예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직접 대화하자는 푸틴 대통령의 제안에 정상들끼리 보자고 역제안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아직 이렇다 할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양국의 중재자로 나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거기(튀르키예)로 가는 걸 실제 고려하고 있다"며 "만약 일이 진행될 수 있다면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목요일 튀르키예에서 열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회담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며, 두 지도자가 참석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3일부터 나흘 일정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3개국을 순방합니다.
회담 장소로 선택된 튀르키예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튀르키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어떤 회담도 열 준비가 돼 있다. 새로운 기회의 창이 열렸다"며 "이 새로운 기회가 허비되지 않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이날 오전엔 신임 레오 14세 교황과 통화했다면서 교황에게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엑스 글에서 "교황 레오 14세와 매우 따뜻하고 진정성 있는 첫 번째 대화를 나눴다"며 그에게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다"고 적었습니다. 이어 "이 방문은 모든 신자와 우리 국민에게 진정한 희망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여러 차례 프란치스코 교황에게도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으나 성사되진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지 시각 12일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우크라이나의 모든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이 튀르키예에서 열릴 회담에 함께 참석해주길 바란다"며 "이는 좋은 아이디어"라고 말했습니다.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는 15일 튀르키예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직접 대화하자는 푸틴 대통령의 제안에 정상들끼리 보자고 역제안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아직 이렇다 할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양국의 중재자로 나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거기(튀르키예)로 가는 걸 실제 고려하고 있다"며 "만약 일이 진행될 수 있다면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목요일 튀르키예에서 열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회담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며, 두 지도자가 참석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3일부터 나흘 일정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3개국을 순방합니다.
회담 장소로 선택된 튀르키예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튀르키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어떤 회담도 열 준비가 돼 있다. 새로운 기회의 창이 열렸다"며 "이 새로운 기회가 허비되지 않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이날 오전엔 신임 레오 14세 교황과 통화했다면서 교황에게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엑스 글에서 "교황 레오 14세와 매우 따뜻하고 진정성 있는 첫 번째 대화를 나눴다"며 그에게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다"고 적었습니다. 이어 "이 방문은 모든 신자와 우리 국민에게 진정한 희망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여러 차례 프란치스코 교황에게도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으나 성사되진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젤렌스키 “튀르키예 회담에 트럼프도 참석하길”
-
- 입력 2025-05-13 02:26:20
- 수정2025-05-13 02:28:07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자신이 제안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정상 회담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참석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지 시각 12일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우크라이나의 모든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이 튀르키예에서 열릴 회담에 함께 참석해주길 바란다"며 "이는 좋은 아이디어"라고 말했습니다.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는 15일 튀르키예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직접 대화하자는 푸틴 대통령의 제안에 정상들끼리 보자고 역제안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아직 이렇다 할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양국의 중재자로 나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거기(튀르키예)로 가는 걸 실제 고려하고 있다"며 "만약 일이 진행될 수 있다면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목요일 튀르키예에서 열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회담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며, 두 지도자가 참석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3일부터 나흘 일정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3개국을 순방합니다.
회담 장소로 선택된 튀르키예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튀르키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어떤 회담도 열 준비가 돼 있다. 새로운 기회의 창이 열렸다"며 "이 새로운 기회가 허비되지 않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이날 오전엔 신임 레오 14세 교황과 통화했다면서 교황에게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엑스 글에서 "교황 레오 14세와 매우 따뜻하고 진정성 있는 첫 번째 대화를 나눴다"며 그에게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다"고 적었습니다. 이어 "이 방문은 모든 신자와 우리 국민에게 진정한 희망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여러 차례 프란치스코 교황에게도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으나 성사되진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지 시각 12일 엑스(X·옛 트위터) 글에서 "우크라이나의 모든 사람은 트럼프 대통령이 튀르키예에서 열릴 회담에 함께 참석해주길 바란다"며 "이는 좋은 아이디어"라고 말했습니다.
전날 젤렌스키 대통령은 오는 15일 튀르키예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직접 대화하자는 푸틴 대통령의 제안에 정상들끼리 보자고 역제안했습니다.
푸틴 대통령은 아직 이렇다 할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
양국의 중재자로 나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이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거기(튀르키예)로 가는 걸 실제 고려하고 있다"며 "만약 일이 진행될 수 있다면 가능성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목요일 튀르키예에서 열리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회담에서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며, 두 지도자가 참석할 것으로 믿는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3일부터 나흘 일정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아랍에미리트(UAE) 등 중동 3개국을 순방합니다.
회담 장소로 선택된 튀르키예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은 "튀르키예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어떤 회담도 열 준비가 돼 있다. 새로운 기회의 창이 열렸다"며 "이 새로운 기회가 허비되지 않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또 이날 오전엔 신임 레오 14세 교황과 통화했다면서 교황에게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엑스 글에서 "교황 레오 14세와 매우 따뜻하고 진정성 있는 첫 번째 대화를 나눴다"며 그에게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다"고 적었습니다. 이어 "이 방문은 모든 신자와 우리 국민에게 진정한 희망을 가져다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2022년 2월 러시아의 전면 침공 이후 여러 차례 프란치스코 교황에게도 우크라이나 방문을 요청했으나 성사되진 않았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김경진 기자 kjkim@kbs.co.kr
김경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러-우크라이나 전쟁 3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