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 단절 7만 명…“일할 수 있을 때까지”
입력 2025.05.14 (19:17)
수정 2025.05.14 (20: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KBS 저출생 연중 기획, 이번에는, 경력 단절 문제를 짚어봅니다.
경력 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각종 전문 교육이나 취업 알선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현재 시책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실태는 어떤지, 또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지, 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5년 전 결혼과 출산으로 직장을 그만뒀던 전현미 씨.
그동안 가사와 육아에만 전념하다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직장을 다시 구했습니다.
[전현미/부산시 해운대구 : "뒤처져 있다는 느낌도 많이 받았고 경제적인 이유도…. 일단은 아이가 셋이다 보니까 그런 문제점에서 직장을 구해야겠다는."]
경력 단절 여성이라도 전문 교육을 받으면 창업도 도전해 볼 만합니다.
[엄윤성/부산시 해운대구 : "세무나 회계나 여러 가지 잘 모르는 어떤 분야에서도 각 전문가 선생님이 오셔서."]
이곳에서만 미취업 여성들의 경력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연간 40개 프로그램을 통해 천2백 명 정도를 교육하고 있습니다.
부산 11곳에서 운영 중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교육 수료율은 97%.
하지만 실제 취업률은 63%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윤나영/해운대 여성인력개발센터장 : "유연근무제라든지 시간선택 근무제라든지 이런 것들이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이렇게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재정적으로 지원이 됐으면…."]
지난해 부산의 15~54세 기혼 여성 가운데 미취업 여성 수는 7만 천 명이었습니다.
전년보다 만 3천 명가량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을 웃돕니다.
여성 경력 단절을 해소할 시책을 강화하는 것이, 일·생활 양립은 물론 저출생을 해결할 또 다른 방안입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곽나영/그래픽:김소연
KBS 저출생 연중 기획, 이번에는, 경력 단절 문제를 짚어봅니다.
경력 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각종 전문 교육이나 취업 알선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현재 시책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실태는 어떤지, 또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지, 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5년 전 결혼과 출산으로 직장을 그만뒀던 전현미 씨.
그동안 가사와 육아에만 전념하다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직장을 다시 구했습니다.
[전현미/부산시 해운대구 : "뒤처져 있다는 느낌도 많이 받았고 경제적인 이유도…. 일단은 아이가 셋이다 보니까 그런 문제점에서 직장을 구해야겠다는."]
경력 단절 여성이라도 전문 교육을 받으면 창업도 도전해 볼 만합니다.
[엄윤성/부산시 해운대구 : "세무나 회계나 여러 가지 잘 모르는 어떤 분야에서도 각 전문가 선생님이 오셔서."]
이곳에서만 미취업 여성들의 경력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연간 40개 프로그램을 통해 천2백 명 정도를 교육하고 있습니다.
부산 11곳에서 운영 중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교육 수료율은 97%.
하지만 실제 취업률은 63%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윤나영/해운대 여성인력개발센터장 : "유연근무제라든지 시간선택 근무제라든지 이런 것들이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이렇게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재정적으로 지원이 됐으면…."]
지난해 부산의 15~54세 기혼 여성 가운데 미취업 여성 수는 7만 천 명이었습니다.
전년보다 만 3천 명가량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을 웃돕니다.
여성 경력 단절을 해소할 시책을 강화하는 것이, 일·생활 양립은 물론 저출생을 해결할 또 다른 방안입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곽나영/그래픽:김소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력 단절 7만 명…“일할 수 있을 때까지”
-
- 입력 2025-05-14 19:17:03
- 수정2025-05-14 20:12:50

[앵커]
KBS 저출생 연중 기획, 이번에는, 경력 단절 문제를 짚어봅니다.
경력 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각종 전문 교육이나 취업 알선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현재 시책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실태는 어떤지, 또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지, 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5년 전 결혼과 출산으로 직장을 그만뒀던 전현미 씨.
그동안 가사와 육아에만 전념하다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직장을 다시 구했습니다.
[전현미/부산시 해운대구 : "뒤처져 있다는 느낌도 많이 받았고 경제적인 이유도…. 일단은 아이가 셋이다 보니까 그런 문제점에서 직장을 구해야겠다는."]
경력 단절 여성이라도 전문 교육을 받으면 창업도 도전해 볼 만합니다.
[엄윤성/부산시 해운대구 : "세무나 회계나 여러 가지 잘 모르는 어떤 분야에서도 각 전문가 선생님이 오셔서."]
이곳에서만 미취업 여성들의 경력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연간 40개 프로그램을 통해 천2백 명 정도를 교육하고 있습니다.
부산 11곳에서 운영 중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교육 수료율은 97%.
하지만 실제 취업률은 63%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윤나영/해운대 여성인력개발센터장 : "유연근무제라든지 시간선택 근무제라든지 이런 것들이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이렇게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재정적으로 지원이 됐으면…."]
지난해 부산의 15~54세 기혼 여성 가운데 미취업 여성 수는 7만 천 명이었습니다.
전년보다 만 3천 명가량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을 웃돕니다.
여성 경력 단절을 해소할 시책을 강화하는 것이, 일·생활 양립은 물론 저출생을 해결할 또 다른 방안입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곽나영/그래픽:김소연
KBS 저출생 연중 기획, 이번에는, 경력 단절 문제를 짚어봅니다.
경력 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각종 전문 교육이나 취업 알선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현재 시책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실태는 어떤지, 또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지, 강성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5년 전 결혼과 출산으로 직장을 그만뒀던 전현미 씨.
그동안 가사와 육아에만 전념하다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교육을 받고 직장을 다시 구했습니다.
[전현미/부산시 해운대구 : "뒤처져 있다는 느낌도 많이 받았고 경제적인 이유도…. 일단은 아이가 셋이다 보니까 그런 문제점에서 직장을 구해야겠다는."]
경력 단절 여성이라도 전문 교육을 받으면 창업도 도전해 볼 만합니다.
[엄윤성/부산시 해운대구 : "세무나 회계나 여러 가지 잘 모르는 어떤 분야에서도 각 전문가 선생님이 오셔서."]
이곳에서만 미취업 여성들의 경력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연간 40개 프로그램을 통해 천2백 명 정도를 교육하고 있습니다.
부산 11곳에서 운영 중인 '여성새로일하기센터' 교육 수료율은 97%.
하지만 실제 취업률은 63%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윤나영/해운대 여성인력개발센터장 : "유연근무제라든지 시간선택 근무제라든지 이런 것들이 5인 미만 사업장에도 이렇게 확산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재정적으로 지원이 됐으면…."]
지난해 부산의 15~54세 기혼 여성 가운데 미취업 여성 수는 7만 천 명이었습니다.
전년보다 만 3천 명가량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평균을 웃돕니다.
여성 경력 단절을 해소할 시책을 강화하는 것이, 일·생활 양립은 물론 저출생을 해결할 또 다른 방안입니다.
KBS 뉴스 강성원입니다.
촬영기자:윤동욱/영상편집:곽나영/그래픽:김소연
-
-
강성원 기자 kangsw@kbs.co.kr
강성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우리 아이, 우리 미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