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병원 전공의 추가 모집…의료현장 회복 전환점 될까?

입력 2025.05.21 (19:24) 수정 2025.05.21 (20:2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의과대학 증원 갈등 이후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해 1년 넘게 병원을 비웠는데요.

정부가 '수련 특례'를 내건 전공의 추가 모집안을 내놔 충북에서도 인력 충원이 시작됐습니다.

계획대로라면 당장 다음 달 복귀지만, 아직 뚜렷한 움직임이 없어 지켜봐야 할 상황입니다.

민수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발표 이후 지난해 2월, 전공의 114명이 집단 사직한 충북대학교병원.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 동안은 성인 환자 응급실 운영이 일부 중단되는 등 진료에 차질을 겪었습니다.

현재도 전공의가 백여 명 이상 복귀하지 않아 8명만 현장을 지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내년도 의대 증원 입장을 철회한 데 이어 사직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해 충북대병원도 인력 확보에 나섰습니다.

오는 27일까지 원서를 받은 뒤 전형 절차를 거쳐 다음 달 1일 자로 전공의 수련을 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모집 대상은 인턴 38명과 1년 차 레지던트 52명, 그리고 상급년차 레지던트 일부입니다.

[조병기/충북대학교병원 교육인재개발실장 : "타격을 안 입게 하려고 (지금도) 의료진들이 많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공의 인력들이 매우 중요해서, 들어오면 큰 힘이 될 거예요."]

원래 전공의가 사직하면 1년 안에는 같은 과목과 연차로 복귀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 모집엔 예외를 두는 수련 특례가 적용됩니다.

군 미필 전공의에겐 복귀하면 수련을 마칠 때까지 최대한 입영을 미룰 수 있도록 병무청과의 협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충북의 의료계는 의료 공백 해소와 진료 정상화 필요성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이 아직 확실하지 않아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양승덕/충청북도의사회장 : "수련이 안 되면 전공의 개개인의 경력 단절도 있지만, 국민 건강이나 의료 지속성에 대해서도 연결된 거라 굉장히 중요한데요. 정부하고 잘 얘기가 돼서 들어가기를 간절히 바라죠."]

의대 증원 철회에 이은 전공의 추가 모집 조치로,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 해소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영상편집:조의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충북대병원 전공의 추가 모집…의료현장 회복 전환점 될까?
    • 입력 2025-05-21 19:24:10
    • 수정2025-05-21 20:24:06
    뉴스7(청주)
[앵커]

의과대학 증원 갈등 이후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해 1년 넘게 병원을 비웠는데요.

정부가 '수련 특례'를 내건 전공의 추가 모집안을 내놔 충북에서도 인력 충원이 시작됐습니다.

계획대로라면 당장 다음 달 복귀지만, 아직 뚜렷한 움직임이 없어 지켜봐야 할 상황입니다.

민수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발표 이후 지난해 2월, 전공의 114명이 집단 사직한 충북대학교병원.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 동안은 성인 환자 응급실 운영이 일부 중단되는 등 진료에 차질을 겪었습니다.

현재도 전공의가 백여 명 이상 복귀하지 않아 8명만 현장을 지키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내년도 의대 증원 입장을 철회한 데 이어 사직 전공의 추가 모집을 허용해 충북대병원도 인력 확보에 나섰습니다.

오는 27일까지 원서를 받은 뒤 전형 절차를 거쳐 다음 달 1일 자로 전공의 수련을 개시한다는 계획입니다.

모집 대상은 인턴 38명과 1년 차 레지던트 52명, 그리고 상급년차 레지던트 일부입니다.

[조병기/충북대학교병원 교육인재개발실장 : "타격을 안 입게 하려고 (지금도) 의료진들이 많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공의 인력들이 매우 중요해서, 들어오면 큰 힘이 될 거예요."]

원래 전공의가 사직하면 1년 안에는 같은 과목과 연차로 복귀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번 모집엔 예외를 두는 수련 특례가 적용됩니다.

군 미필 전공의에겐 복귀하면 수련을 마칠 때까지 최대한 입영을 미룰 수 있도록 병무청과의 협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충북의 의료계는 의료 공백 해소와 진료 정상화 필요성에 힘을 싣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움직임이 아직 확실하지 않아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양승덕/충청북도의사회장 : "수련이 안 되면 전공의 개개인의 경력 단절도 있지만, 국민 건강이나 의료 지속성에 대해서도 연결된 거라 굉장히 중요한데요. 정부하고 잘 얘기가 돼서 들어가기를 간절히 바라죠."]

의대 증원 철회에 이은 전공의 추가 모집 조치로, 1년 넘게 이어진 의정 갈등 해소의 물꼬를 틀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민수아입니다.

영상편집:조의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청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