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코가 ‘뻥’ 뚫리는 삭힘의 미학…‘숙성 홍어의 본고장’ 나주 영산포에선 홍어가 반값?

입력 2025.05.22 (18:21) 수정 2025.05.22 (18: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냄새로 먼저 먹는다는 타이완 음식, 취두부입니다.

향이 워낙 강해 처음엔 용기가 좀 필요하지만, 막상 한 입 먹고 나면 은근히 또 생각난다죠.

그런 음식, 우리나라에도 있죠.

막힌 코도 뻥 뚫릴 만큼 강렬한 그맛.

삭힌 홍어입니다.

["크학, 우와아."]

톡 쏘는 맛에 둘이 먹다 둘 다 화들짝 놀란다는 삭힌 홍어.

잘 못 먹는 사람도 묵은지와 돼지 수육 곁들여 한 입 가득 씹으면 묘한 감칠맛에 금세 빠져듭니다.

여기에 막걸리 곁들이면 '홍탁삼합', 구운 김을 더하면 '사합'이 되죠.

전라도 잔칫상엔 빠지지 않는 남도의 대표 진미이기도 하죠.

[김가영/KBS '다큐 3일'/2021년 3월 : "전라도 출신들한테는 선물로 1등 선물이지."]

홍어 하면 신안 흑산도죠.

미끼 없이 바늘만 내리는 주낙법으로 잡는데, 한 마리에 40만 원을 호가할 만큼 귀한 대접을 받습니다.

그런데, 정작 이 홍어를 '삭힌 맛'으로 유명하게 만든 건 나주 영산포라고 하네요.

흑산도에서 영산포까지 뱃길로 닷새나 걸리던 시절.

운반 도중 자연 발효가 일어나 지금의 삭힌 홍어가 탄생했는데요.

그렇게 숙성 홍어의 본고장이 된 영산포에선 지금도 항아리에 볏짚을 켜켜이 깔아 홍어를 삭히는 전통 방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연심/한식조리경력 41년차/KBS '한국인의 밥상'/지난 2월 : "(홍어는) 항상 짚으로 삭혀야 제맛이 나오지. 짚이 안 들어가면 궁합이 안 맞아."]

소금 한 톨 없이도 썩지 않고 맛이 깊어지는 이유.

그 비밀은 홍어에 든 요소와 요산에 있습니다.

이 성분이 분해되며 생긴 암모니아 가스가 유해균을 막고, 특유의 풍미를 내는 거죠.

삭힌 홍어에 열을 가해 찜이나 전으로 조리하면, 염기 성분이 입안을 자극해 맛이 한층 더 진해집니다.

["어, 세구먼."]

홍어는 뼈째 먹는 연골어류라 머리부터 꼬리까지 버릴 데가 없습니다.

코와 아가미는 몇 점 안 나오는 귀한 부위. 아껴 먹는 별미로 통하고요.

미식가들 사이에선 홍어 간, 즉, 홍어 애를 먹으면, 한 마리를 다 먹은 거라고 한다죠.

[윤성님/KBS '한국인의 밥상'/지난 2월 : "(홍어 애가) 아주 귀합니다. 10마리씩 와야만 (탕을) 한 번 끓일까 말까."]

홍어 애를 삭혀 멸치 육수에 된장 풀어 끓인 홍어 애탕은 홍어요리의 진수로 꼽히는데요.

이 특별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내일부터 영산포에서 열립니다.

600년 전통의 숙성 홍어가 반값이라고도 하네요.

영상편집:여동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코가 ‘뻥’ 뚫리는 삭힘의 미학…‘숙성 홍어의 본고장’ 나주 영산포에선 홍어가 반값?
    • 입력 2025-05-22 18:21:04
    • 수정2025-05-22 18:28:19
    경제콘서트
냄새로 먼저 먹는다는 타이완 음식, 취두부입니다.

향이 워낙 강해 처음엔 용기가 좀 필요하지만, 막상 한 입 먹고 나면 은근히 또 생각난다죠.

그런 음식, 우리나라에도 있죠.

막힌 코도 뻥 뚫릴 만큼 강렬한 그맛.

삭힌 홍어입니다.

["크학, 우와아."]

톡 쏘는 맛에 둘이 먹다 둘 다 화들짝 놀란다는 삭힌 홍어.

잘 못 먹는 사람도 묵은지와 돼지 수육 곁들여 한 입 가득 씹으면 묘한 감칠맛에 금세 빠져듭니다.

여기에 막걸리 곁들이면 '홍탁삼합', 구운 김을 더하면 '사합'이 되죠.

전라도 잔칫상엔 빠지지 않는 남도의 대표 진미이기도 하죠.

[김가영/KBS '다큐 3일'/2021년 3월 : "전라도 출신들한테는 선물로 1등 선물이지."]

홍어 하면 신안 흑산도죠.

미끼 없이 바늘만 내리는 주낙법으로 잡는데, 한 마리에 40만 원을 호가할 만큼 귀한 대접을 받습니다.

그런데, 정작 이 홍어를 '삭힌 맛'으로 유명하게 만든 건 나주 영산포라고 하네요.

흑산도에서 영산포까지 뱃길로 닷새나 걸리던 시절.

운반 도중 자연 발효가 일어나 지금의 삭힌 홍어가 탄생했는데요.

그렇게 숙성 홍어의 본고장이 된 영산포에선 지금도 항아리에 볏짚을 켜켜이 깔아 홍어를 삭히는 전통 방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서연심/한식조리경력 41년차/KBS '한국인의 밥상'/지난 2월 : "(홍어는) 항상 짚으로 삭혀야 제맛이 나오지. 짚이 안 들어가면 궁합이 안 맞아."]

소금 한 톨 없이도 썩지 않고 맛이 깊어지는 이유.

그 비밀은 홍어에 든 요소와 요산에 있습니다.

이 성분이 분해되며 생긴 암모니아 가스가 유해균을 막고, 특유의 풍미를 내는 거죠.

삭힌 홍어에 열을 가해 찜이나 전으로 조리하면, 염기 성분이 입안을 자극해 맛이 한층 더 진해집니다.

["어, 세구먼."]

홍어는 뼈째 먹는 연골어류라 머리부터 꼬리까지 버릴 데가 없습니다.

코와 아가미는 몇 점 안 나오는 귀한 부위. 아껴 먹는 별미로 통하고요.

미식가들 사이에선 홍어 간, 즉, 홍어 애를 먹으면, 한 마리를 다 먹은 거라고 한다죠.

[윤성님/KBS '한국인의 밥상'/지난 2월 : "(홍어 애가) 아주 귀합니다. 10마리씩 와야만 (탕을) 한 번 끓일까 말까."]

홍어 애를 삭혀 멸치 육수에 된장 풀어 끓인 홍어 애탕은 홍어요리의 진수로 꼽히는데요.

이 특별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내일부터 영산포에서 열립니다.

600년 전통의 숙성 홍어가 반값이라고도 하네요.

영상편집:여동용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