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파월, 즉시 사임해야”…또 해임 ‘으름장’
입력 2025.07.03 (09:51)
수정 2025.07.03 (0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2일 자신의 기준금리 인하 요구에 응하지 않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게 또 사퇴 압박을 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너무 늦는’(Too Late) (파월은) 즉시 사임해야 한다”고 썼습니다.
그러면서 빌 풀테 연방주택금융청(FHFA) 이사가 의회에 파월 의장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는 내용의 기사 링크를 공유했습니다.
공유한 내용은 파월 의장이 지난달 26일 은행·주택·도시문제위원회의 반기 통화정책 보고 청문회에 출석해서 한 증언 도중에 거짓말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기사입니다.
풀테 이사는 파월 의장이 워싱턴DC에 있는 Fed 본부 보수공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답할 때 거짓말을 했다면서, 이는 “기만적”인 증언으로 고의로 상원의원들을 오도한 것이므로 그를 해임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기사를 공유한 것은 파월 의장의 사퇴를 압박하려는 목적으로 보입니다.
지난 4월에도 그는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되어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금융시장에 충격이 번지자 해임 관련 발언을 철회했다
트럼프는 재집권 이후 자신의 금리인하 요구에 응하지 않는 파월 의장을 지속적으로 비난하고 압박해왔습니다.
파월을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 ‘루저’(loser),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라며 원색적인 언어로 비난하는가 하면, 지난달 30일에는 파월 의장에게 “당신은 기준 금리를 크게 내려야 한다”면서 “수천억 달러를 (높은 금리로 인한 국채 상환 비용 증가로) 잃고 있다. (미국에는) 인플레이션도 없다”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압박에도 파월은 통화정책 결정은 정치적 고려 없이 원칙대로 하겠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는 통화정책과 관련해선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좀 더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유지했고,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금리를 4차례 연속 동결했습니다.
파월 의장의 임기는 내년 5월까지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너무 늦는’(Too Late) (파월은) 즉시 사임해야 한다”고 썼습니다.
그러면서 빌 풀테 연방주택금융청(FHFA) 이사가 의회에 파월 의장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는 내용의 기사 링크를 공유했습니다.
공유한 내용은 파월 의장이 지난달 26일 은행·주택·도시문제위원회의 반기 통화정책 보고 청문회에 출석해서 한 증언 도중에 거짓말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기사입니다.
풀테 이사는 파월 의장이 워싱턴DC에 있는 Fed 본부 보수공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답할 때 거짓말을 했다면서, 이는 “기만적”인 증언으로 고의로 상원의원들을 오도한 것이므로 그를 해임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기사를 공유한 것은 파월 의장의 사퇴를 압박하려는 목적으로 보입니다.
지난 4월에도 그는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되어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금융시장에 충격이 번지자 해임 관련 발언을 철회했다
트럼프는 재집권 이후 자신의 금리인하 요구에 응하지 않는 파월 의장을 지속적으로 비난하고 압박해왔습니다.
파월을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 ‘루저’(loser),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라며 원색적인 언어로 비난하는가 하면, 지난달 30일에는 파월 의장에게 “당신은 기준 금리를 크게 내려야 한다”면서 “수천억 달러를 (높은 금리로 인한 국채 상환 비용 증가로) 잃고 있다. (미국에는) 인플레이션도 없다”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압박에도 파월은 통화정책 결정은 정치적 고려 없이 원칙대로 하겠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는 통화정책과 관련해선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좀 더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유지했고,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금리를 4차례 연속 동결했습니다.
파월 의장의 임기는 내년 5월까지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파월, 즉시 사임해야”…또 해임 ‘으름장’
-
- 입력 2025-07-03 09:51:10
- 수정2025-07-03 09:51:30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2일 자신의 기준금리 인하 요구에 응하지 않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게 또 사퇴 압박을 가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너무 늦는’(Too Late) (파월은) 즉시 사임해야 한다”고 썼습니다.
그러면서 빌 풀테 연방주택금융청(FHFA) 이사가 의회에 파월 의장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는 내용의 기사 링크를 공유했습니다.
공유한 내용은 파월 의장이 지난달 26일 은행·주택·도시문제위원회의 반기 통화정책 보고 청문회에 출석해서 한 증언 도중에 거짓말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기사입니다.
풀테 이사는 파월 의장이 워싱턴DC에 있는 Fed 본부 보수공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답할 때 거짓말을 했다면서, 이는 “기만적”인 증언으로 고의로 상원의원들을 오도한 것이므로 그를 해임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기사를 공유한 것은 파월 의장의 사퇴를 압박하려는 목적으로 보입니다.
지난 4월에도 그는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되어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금융시장에 충격이 번지자 해임 관련 발언을 철회했다
트럼프는 재집권 이후 자신의 금리인하 요구에 응하지 않는 파월 의장을 지속적으로 비난하고 압박해왔습니다.
파월을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 ‘루저’(loser),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라며 원색적인 언어로 비난하는가 하면, 지난달 30일에는 파월 의장에게 “당신은 기준 금리를 크게 내려야 한다”면서 “수천억 달러를 (높은 금리로 인한 국채 상환 비용 증가로) 잃고 있다. (미국에는) 인플레이션도 없다”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압박에도 파월은 통화정책 결정은 정치적 고려 없이 원칙대로 하겠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는 통화정책과 관련해선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좀 더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유지했고,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금리를 4차례 연속 동결했습니다.
파월 의장의 임기는 내년 5월까지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너무 늦는’(Too Late) (파월은) 즉시 사임해야 한다”고 썼습니다.
그러면서 빌 풀테 연방주택금융청(FHFA) 이사가 의회에 파월 의장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는 내용의 기사 링크를 공유했습니다.
공유한 내용은 파월 의장이 지난달 26일 은행·주택·도시문제위원회의 반기 통화정책 보고 청문회에 출석해서 한 증언 도중에 거짓말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기사입니다.
풀테 이사는 파월 의장이 워싱턴DC에 있는 Fed 본부 보수공사 계획과 관련한 질문에 답할 때 거짓말을 했다면서, 이는 “기만적”인 증언으로 고의로 상원의원들을 오도한 것이므로 그를 해임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 기사를 공유한 것은 파월 의장의 사퇴를 압박하려는 목적으로 보입니다.
지난 4월에도 그는 “파월의 임기는 빨리 종료되어야 한다”,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금융시장에 충격이 번지자 해임 관련 발언을 철회했다
트럼프는 재집권 이후 자신의 금리인하 요구에 응하지 않는 파월 의장을 지속적으로 비난하고 압박해왔습니다.
파월을 ‘미스터 투 레이트’(Mr. Too Late·의사결정이 매번 늦는다는 뜻), ‘루저’(loser), ‘아무것도 모르는 바보’라며 원색적인 언어로 비난하는가 하면, 지난달 30일에는 파월 의장에게 “당신은 기준 금리를 크게 내려야 한다”면서 “수천억 달러를 (높은 금리로 인한 국채 상환 비용 증가로) 잃고 있다. (미국에는) 인플레이션도 없다”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압박에도 파월은 통화정책 결정은 정치적 고려 없이 원칙대로 하겠다는 뜻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는 통화정책과 관련해선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좀 더 명확해질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유지했고,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금리를 4차례 연속 동결했습니다.
파월 의장의 임기는 내년 5월까지입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