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픽] 빗물받이 아니고 꽁초받이…집중호우 시 침수 위험 증가

입력 2025.07.16 (18:13) 수정 2025.07.16 (18: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억나시나요?

3년 전, 집중호우로 물바다가 된 서울 강남역 일대에 등장한 이 남성.

'강남역 슈퍼맨'이라는 칭찬이 쏟아졌습니다.

폭우가 쏟아지던 날 빗물받이에서 맨손으로 쓰레기를 퍼내, 꽉 막혔던 빗물받이 기능을 되살렸죠.

도심 침수를 막는 1차 저지선인 빗물받이.

지금은 제 기능을 하고 있을까요?

안을 열어보니,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는 쓰레기들.

청소에 나선 공무원이 격분하는 모습이 포착돼 최근 화제가 됐습니다.

[울산 남구청 공무원/유튜브 '울산 남구 고래방송국TV' : "담배꽁초 버리는 데 아니라고 몇 번을 이야기해야… 이거 막히면 비 많이 오면 물이 안 내려간다고 이게 물이. 좀 버리지 맙시다, 여러분. 버리지 말아요!"]

전국의 상황이 비슷하죠.

부산의 한 번화가인데요.

빗물받이 뚜껑 안, 설명 할 필요조차 없는 지경입니다.

[윤양한/부산진구 자율방재단장/KBS 뉴스/지난달 25일 : "담배꽁초는 기본적으로 너무 많이 나왔고 합판이라든지 스티로폼, 생활용품 같은 것도 굉장히 많이 나와서…"]

광주의 한 버스정류장 옆 빗물받이도 마찬가집니다.

낙엽과 토사가 뒤엉켜 안이 꽉 막혀있는데요.

[강경범/광주광역시 서구 하수팀/KBS 뉴스/지난 15일 : "비가 한 번에 많이 왔을 때 잎이 떨어져서 그 낙엽이 우수받이(빗물받이) 위로 덮어져 있어서 막힌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빗물받이는 도심에 흘러내린 빗물을 하수관으로 흘려보내 침수를 막아주는 시설이죠.

막히게 되면 역류 현상이 나타나 주변 침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진행됩니다.

[정도준/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사/KBS 뉴스/2023년 6월 : "(빗물받이가 막혀있으면) 침수 시간이 2배로 증가하고요. 침수 높이가 약 3배 증가해서 반드시 우기에는 덮개를 제거하셔야 합니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바로, 하수구를 통해 담배꽁초 등 쓰레기가 해양으로 흘러 들어갈 가능성입니다.

[홍수열/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유튜브 '크랩' : "(담배꽁초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게 되면 햇볕을 받거나 공기와 접촉하거나 파도에 쓸리거나 하는 과정들을 오랫동안 거치게 되면 아주 작은 알갱이까지 미세플라스틱화가 진행되어 가는 거죠."]

이 미세플라스틱이 바다생물은 물론 먹이사슬을 통해 결국 인간에게 돌아올 수 있습니다.

갈수록 단시간, 많은 비가 한꺼번에 쏟아지는 경우가 늘고 있는 만큼, 빗물받이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해 보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픽] 빗물받이 아니고 꽁초받이…집중호우 시 침수 위험 증가
    • 입력 2025-07-16 18:12:59
    • 수정2025-07-16 18:37:49
    경제콘서트
기억나시나요?

3년 전, 집중호우로 물바다가 된 서울 강남역 일대에 등장한 이 남성.

'강남역 슈퍼맨'이라는 칭찬이 쏟아졌습니다.

폭우가 쏟아지던 날 빗물받이에서 맨손으로 쓰레기를 퍼내, 꽉 막혔던 빗물받이 기능을 되살렸죠.

도심 침수를 막는 1차 저지선인 빗물받이.

지금은 제 기능을 하고 있을까요?

안을 열어보니, 치워도 치워도 끝이 없는 쓰레기들.

청소에 나선 공무원이 격분하는 모습이 포착돼 최근 화제가 됐습니다.

[울산 남구청 공무원/유튜브 '울산 남구 고래방송국TV' : "담배꽁초 버리는 데 아니라고 몇 번을 이야기해야… 이거 막히면 비 많이 오면 물이 안 내려간다고 이게 물이. 좀 버리지 맙시다, 여러분. 버리지 말아요!"]

전국의 상황이 비슷하죠.

부산의 한 번화가인데요.

빗물받이 뚜껑 안, 설명 할 필요조차 없는 지경입니다.

[윤양한/부산진구 자율방재단장/KBS 뉴스/지난달 25일 : "담배꽁초는 기본적으로 너무 많이 나왔고 합판이라든지 스티로폼, 생활용품 같은 것도 굉장히 많이 나와서…"]

광주의 한 버스정류장 옆 빗물받이도 마찬가집니다.

낙엽과 토사가 뒤엉켜 안이 꽉 막혀있는데요.

[강경범/광주광역시 서구 하수팀/KBS 뉴스/지난 15일 : "비가 한 번에 많이 왔을 때 잎이 떨어져서 그 낙엽이 우수받이(빗물받이) 위로 덮어져 있어서 막힌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빗물받이는 도심에 흘러내린 빗물을 하수관으로 흘려보내 침수를 막아주는 시설이죠.

막히게 되면 역류 현상이 나타나 주변 침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진행됩니다.

[정도준/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사/KBS 뉴스/2023년 6월 : "(빗물받이가 막혀있으면) 침수 시간이 2배로 증가하고요. 침수 높이가 약 3배 증가해서 반드시 우기에는 덮개를 제거하셔야 합니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바로, 하수구를 통해 담배꽁초 등 쓰레기가 해양으로 흘러 들어갈 가능성입니다.

[홍수열/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유튜브 '크랩' : "(담배꽁초가) 바다로 흘러 들어가게 되면 햇볕을 받거나 공기와 접촉하거나 파도에 쓸리거나 하는 과정들을 오랫동안 거치게 되면 아주 작은 알갱이까지 미세플라스틱화가 진행되어 가는 거죠."]

이 미세플라스틱이 바다생물은 물론 먹이사슬을 통해 결국 인간에게 돌아올 수 있습니다.

갈수록 단시간, 많은 비가 한꺼번에 쏟아지는 경우가 늘고 있는 만큼, 빗물받이에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해 보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