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중국에 ‘우크라 휴전’ 역할 촉구…무역 불균형도 지적

입력 2025.07.25 (06:27) 수정 2025.07.25 (10: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유럽연합 수장과 중국 정상이 베이징에서 만났습니다.

우크라이나전 휴전과 관련한 중국의 역할과 양측간 무역 문제 등이 회담 테이블에 올랐는데 서로 입장차만 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유럽연합 EU와 중국의 정상회담.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중국이 러시아의 최대 우방으로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나설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 : "앞으로 중국이 푸틴과 어떻게 관계를 이어가느냐가 우리 관계의 향방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입니다."]

EU 지도부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중국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러시아의 군수산업 체계 지탱에 필요한 어떠한 물질적 지원도 제공하지 말 것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러시아 지원도 직접 문제 삼았습니다.

유럽뿐 아니라 동아시아 안보에도 중대한 위험을 가한다며 중국이 북한의 대러 군사 지원 중단에 역할을 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간 무역 불균형 문제도 거론됐습니다.

EU 지도부는 중국이 대미 관세 대응을 위해 도입한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해제하고, EU산 제품에 대한 보복적 무역 조치를 중단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또 중국 정부의 보조금으로 이뤄지는 초과 생산과 수입 제한 문제도 지적했습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 : "잉여 생산품을 글로벌 시장, 즉 유럽 시장에 떠넘기는 방식으로 중국 내수 문제를 해결해선 안 됩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보조금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 않다며 반박하면서 높은 수준의 개방을 계속 확대해 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리창/중국 국무원 총리 : "우리는 정부와 국민의 피땀으로 축적한 재정 자금을 외국 소비자에게 제품을 팔기 위해 사용하는 그런 어리석은 짓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통상 문제를 두고 불편한 심기를 그대로 드러내며 양측은 정상회담 전체 성과를 담은 공동성명도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이재연/자료조사:김나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EU, 중국에 ‘우크라 휴전’ 역할 촉구…무역 불균형도 지적
    • 입력 2025-07-25 06:27:04
    • 수정2025-07-25 10:38:00
    뉴스광장 1부
[앵커]

유럽연합 수장과 중국 정상이 베이징에서 만났습니다.

우크라이나전 휴전과 관련한 중국의 역할과 양측간 무역 문제 등이 회담 테이블에 올랐는데 서로 입장차만 확인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파리 안다영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유럽연합 EU와 중국의 정상회담.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중국이 러시아의 최대 우방으로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나설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습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 : "앞으로 중국이 푸틴과 어떻게 관계를 이어가느냐가 우리 관계의 향방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입니다."]

EU 지도부는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으로서 중국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러시아의 군수산업 체계 지탱에 필요한 어떠한 물질적 지원도 제공하지 말 것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러시아 지원도 직접 문제 삼았습니다.

유럽뿐 아니라 동아시아 안보에도 중대한 위험을 가한다며 중국이 북한의 대러 군사 지원 중단에 역할을 해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습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양국 간 무역 불균형 문제도 거론됐습니다.

EU 지도부는 중국이 대미 관세 대응을 위해 도입한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를 해제하고, EU산 제품에 대한 보복적 무역 조치를 중단하라고 요구했습니다.

또 중국 정부의 보조금으로 이뤄지는 초과 생산과 수입 제한 문제도 지적했습니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EU 집행위원장 : "잉여 생산품을 글로벌 시장, 즉 유럽 시장에 떠넘기는 방식으로 중국 내수 문제를 해결해선 안 됩니다."]

이에 대해 중국은 보조금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 않다며 반박하면서 높은 수준의 개방을 계속 확대해 갈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리창/중국 국무원 총리 : "우리는 정부와 국민의 피땀으로 축적한 재정 자금을 외국 소비자에게 제품을 팔기 위해 사용하는 그런 어리석은 짓을 하지 않을 것입니다."]

통상 문제를 두고 불편한 심기를 그대로 드러내며 양측은 정상회담 전체 성과를 담은 공동성명도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안다영입니다.

영상편집:이재연/자료조사:김나영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