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보다 대규모 ‘땅밀림’에 “마을 통째 폭삭”
입력 2025.08.01 (21:36)
수정 2025.08.01 (21: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난번 집중호우 때 마을이 통째로 무너지다시피 하면서, 결국 주민 모두 떠나기로 결정한 마을이 있습니다.
처음엔 산사태가 났다고 생각했지만, 그보다 규모가 훨씬 큰 땅밀림이 원인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마을이 폭격을 맞은 듯, 아래가 푹 꺼졌습니다.
붉은 토사에 매몰된 집들은 겨우 지붕만 보입니다.
지진이 난 것처럼 땅 곳곳이 솟구쳐 올랐고, 주택 옹벽은 쩍쩍 갈라졌습니다.
전신주는 한쪽으로 쓰러졌습니다.
급경사지에 토사 등이 휩쓸려 내려가는 일반적인 산사태와는 사뭇 양상이 다릅니다.
[홍혁기/마을 주민 :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냥 쭉 내려오는 거예요. 그러면서 땅이 이제 옆에 옹벽을 받쳐 놨는데 그게 중간에 쩍쩍 갈라지면서 쭉 밀려 오더라고요."]
피해 규모가 심각해 이 마을 전체 13가구는 집단 이주를 결정했습니다.
현장을 조사한 전문가들은 '땅밀림' 현상을 원인으로 추정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길이 끊기면서 토양층 자체가 20미터 가까이 완전히 주저앉았습니다.
'땅밀림'은 주로 완만한 경사지에서 지반 전체가 미끄러지듯 움직이는데, 산사태보다 피해 규모가 훨씬 크고 재발 가능성도 높습니다.
산림청은 '땅밀림' 위험 지역을 등급별로 관리하지만 이 마을은 위험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대상 지역이 '산지'에만 국한되기 때문입니다.
[정교철/국립경국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명예교수 : "(땅밀림 발생 마을이)지목이 산지나 산은 아니에요. 택지와 경작지로 돼 있거든요. 농경지라 하더라도 산지와 접해 있으면 재난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합니다."]
산림청은 땅밀림이 발생한 마을의 토질과 원인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
지난번 집중호우 때 마을이 통째로 무너지다시피 하면서, 결국 주민 모두 떠나기로 결정한 마을이 있습니다.
처음엔 산사태가 났다고 생각했지만, 그보다 규모가 훨씬 큰 땅밀림이 원인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마을이 폭격을 맞은 듯, 아래가 푹 꺼졌습니다.
붉은 토사에 매몰된 집들은 겨우 지붕만 보입니다.
지진이 난 것처럼 땅 곳곳이 솟구쳐 올랐고, 주택 옹벽은 쩍쩍 갈라졌습니다.
전신주는 한쪽으로 쓰러졌습니다.
급경사지에 토사 등이 휩쓸려 내려가는 일반적인 산사태와는 사뭇 양상이 다릅니다.
[홍혁기/마을 주민 :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냥 쭉 내려오는 거예요. 그러면서 땅이 이제 옆에 옹벽을 받쳐 놨는데 그게 중간에 쩍쩍 갈라지면서 쭉 밀려 오더라고요."]
피해 규모가 심각해 이 마을 전체 13가구는 집단 이주를 결정했습니다.
현장을 조사한 전문가들은 '땅밀림' 현상을 원인으로 추정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길이 끊기면서 토양층 자체가 20미터 가까이 완전히 주저앉았습니다.
'땅밀림'은 주로 완만한 경사지에서 지반 전체가 미끄러지듯 움직이는데, 산사태보다 피해 규모가 훨씬 크고 재발 가능성도 높습니다.
산림청은 '땅밀림' 위험 지역을 등급별로 관리하지만 이 마을은 위험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대상 지역이 '산지'에만 국한되기 때문입니다.
[정교철/국립경국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명예교수 : "(땅밀림 발생 마을이)지목이 산지나 산은 아니에요. 택지와 경작지로 돼 있거든요. 농경지라 하더라도 산지와 접해 있으면 재난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합니다."]
산림청은 땅밀림이 발생한 마을의 토질과 원인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사태보다 대규모 ‘땅밀림’에 “마을 통째 폭삭”
-
- 입력 2025-08-01 21:36:46
- 수정2025-08-01 21:45:53

[앵커]
지난번 집중호우 때 마을이 통째로 무너지다시피 하면서, 결국 주민 모두 떠나기로 결정한 마을이 있습니다.
처음엔 산사태가 났다고 생각했지만, 그보다 규모가 훨씬 큰 땅밀림이 원인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마을이 폭격을 맞은 듯, 아래가 푹 꺼졌습니다.
붉은 토사에 매몰된 집들은 겨우 지붕만 보입니다.
지진이 난 것처럼 땅 곳곳이 솟구쳐 올랐고, 주택 옹벽은 쩍쩍 갈라졌습니다.
전신주는 한쪽으로 쓰러졌습니다.
급경사지에 토사 등이 휩쓸려 내려가는 일반적인 산사태와는 사뭇 양상이 다릅니다.
[홍혁기/마을 주민 :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냥 쭉 내려오는 거예요. 그러면서 땅이 이제 옆에 옹벽을 받쳐 놨는데 그게 중간에 쩍쩍 갈라지면서 쭉 밀려 오더라고요."]
피해 규모가 심각해 이 마을 전체 13가구는 집단 이주를 결정했습니다.
현장을 조사한 전문가들은 '땅밀림' 현상을 원인으로 추정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길이 끊기면서 토양층 자체가 20미터 가까이 완전히 주저앉았습니다.
'땅밀림'은 주로 완만한 경사지에서 지반 전체가 미끄러지듯 움직이는데, 산사태보다 피해 규모가 훨씬 크고 재발 가능성도 높습니다.
산림청은 '땅밀림' 위험 지역을 등급별로 관리하지만 이 마을은 위험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대상 지역이 '산지'에만 국한되기 때문입니다.
[정교철/국립경국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명예교수 : "(땅밀림 발생 마을이)지목이 산지나 산은 아니에요. 택지와 경작지로 돼 있거든요. 농경지라 하더라도 산지와 접해 있으면 재난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합니다."]
산림청은 땅밀림이 발생한 마을의 토질과 원인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
지난번 집중호우 때 마을이 통째로 무너지다시피 하면서, 결국 주민 모두 떠나기로 결정한 마을이 있습니다.
처음엔 산사태가 났다고 생각했지만, 그보다 규모가 훨씬 큰 땅밀림이 원인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마을이 폭격을 맞은 듯, 아래가 푹 꺼졌습니다.
붉은 토사에 매몰된 집들은 겨우 지붕만 보입니다.
지진이 난 것처럼 땅 곳곳이 솟구쳐 올랐고, 주택 옹벽은 쩍쩍 갈라졌습니다.
전신주는 한쪽으로 쓰러졌습니다.
급경사지에 토사 등이 휩쓸려 내려가는 일반적인 산사태와는 사뭇 양상이 다릅니다.
[홍혁기/마을 주민 : "형태를 유지하면서 그냥 쭉 내려오는 거예요. 그러면서 땅이 이제 옆에 옹벽을 받쳐 놨는데 그게 중간에 쩍쩍 갈라지면서 쭉 밀려 오더라고요."]
피해 규모가 심각해 이 마을 전체 13가구는 집단 이주를 결정했습니다.
현장을 조사한 전문가들은 '땅밀림' 현상을 원인으로 추정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길이 끊기면서 토양층 자체가 20미터 가까이 완전히 주저앉았습니다.
'땅밀림'은 주로 완만한 경사지에서 지반 전체가 미끄러지듯 움직이는데, 산사태보다 피해 규모가 훨씬 크고 재발 가능성도 높습니다.
산림청은 '땅밀림' 위험 지역을 등급별로 관리하지만 이 마을은 위험 지역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대상 지역이 '산지'에만 국한되기 때문입니다.
[정교철/국립경국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명예교수 : "(땅밀림 발생 마을이)지목이 산지나 산은 아니에요. 택지와 경작지로 돼 있거든요. 농경지라 하더라도 산지와 접해 있으면 재난에 대한 대책이 있어야 합니다."]
산림청은 땅밀림이 발생한 마을의 토질과 원인 등을 조사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촬영기자:권경환
-
-
김소영 기자 kantapia@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