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고 겁났나…러, 30시간 휴전 일방선언
입력 2025.04.20 (07:07)
수정 2025.04.20 (12: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손을 뗄 수 있다는 경고를 보이자, 러시아가 하루 만에 30시간 휴전을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곧장, 휴전을 더 연장하자고 응답했습니다.
파리 이화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취임 전부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을 끝내겠다고 공약했던 트럼프 미 대통령, 앞서 미국이 30일 부분 휴전 협상을 제시했지만, 러시아가 원칙적인 동의만 보일 뿐 사실상 휴전을 이행하지 않자, 경고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진전이 보이지 않으면 협상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향을 내비친 겁니다.
[마코 루비오/미국 국무장관 : "만약 양측 중 한쪽이나 양쪽 모두 평화를 진심으로 원한다면, 우리는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만약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단순히 다음 단계로 넘어갈 것입니다."]
그러자 러시아는 하루 만에, 부활절을 맞아 30시간 동안 휴전을 제안하겠다며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또한 러시아의 본보기를 따를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오늘 오후 6시부터 일요일 자정까지 러시아 측은 부활절 휴전을 선언합니다."]
다만, 우크라이나가 앞서 여러 차례 휴전 이행 의사를 밝힌 것을 고려하면, 러시아가 이번 휴전안을 꺼내든 배경은 미국 측의 경고성 발언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만약, 미국이 이대로 휴전 협상에서 손을 뗀다면 종전을 계기로 서방의 제재를 해제하려던 러시아의 노력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즉각 휴전 연장을 역제안했습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휴전 개시 이후 SNS를 통해, "우크라이나는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할 것을 제안한다"면서, "30시간이 헤드라인을 장식하기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 조치를 위해선 부족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공격은 여전히 일부 전선에서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양측은 중상을 입은 군인 등 500여 명의 전쟁 포로를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손을 뗄 수 있다는 경고를 보이자, 러시아가 하루 만에 30시간 휴전을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곧장, 휴전을 더 연장하자고 응답했습니다.
파리 이화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취임 전부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을 끝내겠다고 공약했던 트럼프 미 대통령, 앞서 미국이 30일 부분 휴전 협상을 제시했지만, 러시아가 원칙적인 동의만 보일 뿐 사실상 휴전을 이행하지 않자, 경고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진전이 보이지 않으면 협상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향을 내비친 겁니다.
[마코 루비오/미국 국무장관 : "만약 양측 중 한쪽이나 양쪽 모두 평화를 진심으로 원한다면, 우리는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만약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단순히 다음 단계로 넘어갈 것입니다."]
그러자 러시아는 하루 만에, 부활절을 맞아 30시간 동안 휴전을 제안하겠다며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또한 러시아의 본보기를 따를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오늘 오후 6시부터 일요일 자정까지 러시아 측은 부활절 휴전을 선언합니다."]
다만, 우크라이나가 앞서 여러 차례 휴전 이행 의사를 밝힌 것을 고려하면, 러시아가 이번 휴전안을 꺼내든 배경은 미국 측의 경고성 발언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만약, 미국이 이대로 휴전 협상에서 손을 뗀다면 종전을 계기로 서방의 제재를 해제하려던 러시아의 노력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즉각 휴전 연장을 역제안했습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휴전 개시 이후 SNS를 통해, "우크라이나는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할 것을 제안한다"면서, "30시간이 헤드라인을 장식하기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 조치를 위해선 부족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공격은 여전히 일부 전선에서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양측은 중상을 입은 군인 등 500여 명의 전쟁 포로를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경고 겁났나…러, 30시간 휴전 일방선언
-
- 입력 2025-04-20 07:07:01
- 수정2025-04-20 12:11:16

[앵커]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손을 뗄 수 있다는 경고를 보이자, 러시아가 하루 만에 30시간 휴전을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곧장, 휴전을 더 연장하자고 응답했습니다.
파리 이화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취임 전부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을 끝내겠다고 공약했던 트럼프 미 대통령, 앞서 미국이 30일 부분 휴전 협상을 제시했지만, 러시아가 원칙적인 동의만 보일 뿐 사실상 휴전을 이행하지 않자, 경고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진전이 보이지 않으면 협상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향을 내비친 겁니다.
[마코 루비오/미국 국무장관 : "만약 양측 중 한쪽이나 양쪽 모두 평화를 진심으로 원한다면, 우리는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만약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단순히 다음 단계로 넘어갈 것입니다."]
그러자 러시아는 하루 만에, 부활절을 맞아 30시간 동안 휴전을 제안하겠다며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또한 러시아의 본보기를 따를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오늘 오후 6시부터 일요일 자정까지 러시아 측은 부활절 휴전을 선언합니다."]
다만, 우크라이나가 앞서 여러 차례 휴전 이행 의사를 밝힌 것을 고려하면, 러시아가 이번 휴전안을 꺼내든 배경은 미국 측의 경고성 발언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만약, 미국이 이대로 휴전 협상에서 손을 뗀다면 종전을 계기로 서방의 제재를 해제하려던 러시아의 노력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즉각 휴전 연장을 역제안했습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휴전 개시 이후 SNS를 통해, "우크라이나는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할 것을 제안한다"면서, "30시간이 헤드라인을 장식하기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 조치를 위해선 부족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공격은 여전히 일부 전선에서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양측은 중상을 입은 군인 등 500여 명의 전쟁 포로를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
미국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손을 뗄 수 있다는 경고를 보이자, 러시아가 하루 만에 30시간 휴전을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곧장, 휴전을 더 연장하자고 응답했습니다.
파리 이화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취임 전부터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을 끝내겠다고 공약했던 트럼프 미 대통령, 앞서 미국이 30일 부분 휴전 협상을 제시했지만, 러시아가 원칙적인 동의만 보일 뿐 사실상 휴전을 이행하지 않자, 경고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진전이 보이지 않으면 협상에서 손을 떼겠다는 의향을 내비친 겁니다.
[마코 루비오/미국 국무장관 : "만약 양측 중 한쪽이나 양쪽 모두 평화를 진심으로 원한다면, 우리는 도움을 주고 싶습니다. 만약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는 단순히 다음 단계로 넘어갈 것입니다."]
그러자 러시아는 하루 만에, 부활절을 맞아 30시간 동안 휴전을 제안하겠다며 일방적으로 선언했습니다.
그러면서, 우크라이나 또한 러시아의 본보기를 따를 거라고 덧붙였습니다.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 : "인도주의적 고려에 따라 오늘 오후 6시부터 일요일 자정까지 러시아 측은 부활절 휴전을 선언합니다."]
다만, 우크라이나가 앞서 여러 차례 휴전 이행 의사를 밝힌 것을 고려하면, 러시아가 이번 휴전안을 꺼내든 배경은 미국 측의 경고성 발언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만약, 미국이 이대로 휴전 협상에서 손을 뗀다면 종전을 계기로 서방의 제재를 해제하려던 러시아의 노력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우크라이나는 즉각 휴전 연장을 역제안했습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의 휴전 개시 이후 SNS를 통해, "우크라이나는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할 것을 제안한다"면서, "30시간이 헤드라인을 장식하기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 조치를 위해선 부족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의 공격은 여전히 일부 전선에서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한편, 양측은 중상을 입은 군인 등 500여 명의 전쟁 포로를 교환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최대 규모입니다.
파리에서 KBS 뉴스 이화진입니다.
영상편집:김신형
-
-
이화진 기자 hosky@kbs.co.kr
이화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러-우크라이나 전쟁 3년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