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재 예방 효과는 없고 쓰레기만 만든다'는 지적이 잇따른 비닐팩.
다음 달부터 이 비닐팩, 사라집니다.
어제(18일) 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항공사와 관련 전문가 및 소비자 단체 등 논의를 거쳐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을 확정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비닉팩 대신 온도 감응 스티커·방염팩 도입
다음 달부터 비닐팩 대신 온도감응스티커와 방염팩이 도입됩니다.
온도감응스티커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데,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좌석 위 선반 외부에 이 스티커를 부착해 선반 내에서 불이 나면 빨리 알아차리도록 한다는 겁니다.

스티커 비용은 항공사가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온도감응스티커와 함께 방염팩도 항공기당 1개 이상 비치될 예정입니다.
보조배터리를 선반에 넣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에어부산 화재에 이어…수하물 칸에서 발견되기도
지난 1월 발생한 에어부산 기내 화재는 보조배터리 화재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키웠습니다.
지난 7월 아시아나항공에서는 기내에서 분실된 보조배터리가 수하물 칸에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보조배터리가 기내 압력 조절용 공기 패널에 생긴 틈새로 떨어진 겁니다.

당시 승무원들은 기내를 수색했지만, 보조배터리를 찾지 못했고, 기장은 화재 위험 등 안전을 고려해 회항을 결정하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대책이 마련됐지만, 관건은 실효성입니다.
온도감응 스티커는 비닐팩과 마찬가지로 화재 예방 효과는 의문입니다. 선반에 붙여놓은 스티커를 누군가 계속 지켜보고 있다가 색이 변하면 바로 대처하라는 뜻인데 현실적으로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알 수 없습니다.
또 전문가들은 이미 기내 선반 내에서 리튬이온배터리에 불이 붙어 열이 감지됐다면 대처가 쉽지않다고 지적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상 불이 붙으면 빠른 속도로 폭발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지난 3월 도입됐다 시행 석달 만에 슬그머니 사라진 비닐팩.
이번 대책도 비닐팩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실제 항공기 화재를 어떻게 막을수 있을지 실효성있는 안이 담겨야합니다.
지난주 업계와 최종 점검 회의를 진행한 국토부는 다음 주 관련 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비닐팩 대신 온도스티커…기내 배터리 화재 예방할까?
-
- 입력 2025-08-19 07:00:05

'화재 예방 효과는 없고 쓰레기만 만든다'는 지적이 잇따른 비닐팩.
다음 달부터 이 비닐팩, 사라집니다.
어제(18일) 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항공사와 관련 전문가 및 소비자 단체 등 논의를 거쳐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을 확정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 비닉팩 대신 온도 감응 스티커·방염팩 도입
다음 달부터 비닐팩 대신 온도감응스티커와 방염팩이 도입됩니다.
온도감응스티커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데,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좌석 위 선반 외부에 이 스티커를 부착해 선반 내에서 불이 나면 빨리 알아차리도록 한다는 겁니다.

스티커 비용은 항공사가 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온도감응스티커와 함께 방염팩도 항공기당 1개 이상 비치될 예정입니다.
보조배터리를 선반에 넣지 못하도록 하는 규정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 에어부산 화재에 이어…수하물 칸에서 발견되기도
지난 1월 발생한 에어부산 기내 화재는 보조배터리 화재 위험성에 대한 우려를 키웠습니다.
지난 7월 아시아나항공에서는 기내에서 분실된 보조배터리가 수하물 칸에서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보조배터리가 기내 압력 조절용 공기 패널에 생긴 틈새로 떨어진 겁니다.

당시 승무원들은 기내를 수색했지만, 보조배터리를 찾지 못했고, 기장은 화재 위험 등 안전을 고려해 회항을 결정하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대책이 마련됐지만, 관건은 실효성입니다.
온도감응 스티커는 비닐팩과 마찬가지로 화재 예방 효과는 의문입니다. 선반에 붙여놓은 스티커를 누군가 계속 지켜보고 있다가 색이 변하면 바로 대처하라는 뜻인데 현실적으로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알 수 없습니다.
또 전문가들은 이미 기내 선반 내에서 리튬이온배터리에 불이 붙어 열이 감지됐다면 대처가 쉽지않다고 지적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상 불이 붙으면 빠른 속도로 폭발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지난 3월 도입됐다 시행 석달 만에 슬그머니 사라진 비닐팩.
이번 대책도 비닐팩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실제 항공기 화재를 어떻게 막을수 있을지 실효성있는 안이 담겨야합니다.
지난주 업계와 최종 점검 회의를 진행한 국토부는 다음 주 관련 대책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
-
윤아림 기자 aha@kbs.co.kr
윤아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