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인 야구 열풍…운동장 불법 임대 극성
입력 2012.12.22 (21:08)
수정 2012.12.22 (2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야구 좋아하는 분들 많이 계시죠?
취미로 하는 사회인 야구가 인기를 끌면서 학교운동장을 임대 장사하는 임대 브로커들이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학교 운동장이 시간당 수십만원의 웃돈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백미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내 한 고등학교 운동장, 사회인 야구 경기가 한창입니다.
서울시 교육청이 정한 이 운동장 사용료는 시간당 2만 원,
하지만, 두 야구팀은 두 시간에 50만 원을 냈습니다.
학교로부터 운동장을 통째로 빌린 브로커에게 웃돈을 주는 겁니다.
<인터뷰> 김상욱(서울시 하계동) : "야구장 개수도 부족하고 일반인들이 빌려쓸 수 있는 여건도 안되기 때문에 (재임대합니다.)"
브로커들은 인터넷에서 사회인 야구 리그를 만들어 야구팀을 모은 뒤 자신들이 빌린 운동장을 재임대해주고 웃돈을 챙깁니다.
운동장 한 곳만 있어도 적지않은 돈벌이가 된다는 얘깁니다.
<녹취> 운동장 임대 브로커(음성변조) : "기본적으로 운동장 하나가 1년에 2억이라는 매출이 보장되고, 한 달에 대관비로 들어오는 돈이 얼마냐 하면, 천만 원 가까이 돼요."
돈벌이가 되다보니 임대 경쟁이 치열해지고 심지어 뒷돈까지 오간다는 증언입니다.
<녹취>"000전 회장님이 전폭적으로 지원을 해주니깐 하는 거예요. 저 지금 000협회 사무국장님한테 와이프 차 사줬어요."
학교 측도 입찰을 통해 경쟁을 부추깁니다.
인조잔디가 깔린 이 학교 운동장은 2백 시간 사용에 3천만 원 넘게 거래됐습니다.
<녹취> 00리그 관계자(음성변조) "3천5백 조금 넘게 줬어요. 3천5백80인가. 경쟁이 치열해요. 비싼 이유가 입찰하니까 비싸지."
현행 공유재산관리법상 공립학교 운동장을 재임대해 수익을 올리는 것은 불법입니다.
하지만, 실제 단속이 이뤄진다 해도 임대를 취소하는 것 외에 다른 처벌 규정이 없습니다.
운동장 불법 임대가 극성을 부리는 데는 허술한 법규정도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백미선입니다.
야구 좋아하는 분들 많이 계시죠?
취미로 하는 사회인 야구가 인기를 끌면서 학교운동장을 임대 장사하는 임대 브로커들이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학교 운동장이 시간당 수십만원의 웃돈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백미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내 한 고등학교 운동장, 사회인 야구 경기가 한창입니다.
서울시 교육청이 정한 이 운동장 사용료는 시간당 2만 원,
하지만, 두 야구팀은 두 시간에 50만 원을 냈습니다.
학교로부터 운동장을 통째로 빌린 브로커에게 웃돈을 주는 겁니다.
<인터뷰> 김상욱(서울시 하계동) : "야구장 개수도 부족하고 일반인들이 빌려쓸 수 있는 여건도 안되기 때문에 (재임대합니다.)"
브로커들은 인터넷에서 사회인 야구 리그를 만들어 야구팀을 모은 뒤 자신들이 빌린 운동장을 재임대해주고 웃돈을 챙깁니다.
운동장 한 곳만 있어도 적지않은 돈벌이가 된다는 얘깁니다.
<녹취> 운동장 임대 브로커(음성변조) : "기본적으로 운동장 하나가 1년에 2억이라는 매출이 보장되고, 한 달에 대관비로 들어오는 돈이 얼마냐 하면, 천만 원 가까이 돼요."
돈벌이가 되다보니 임대 경쟁이 치열해지고 심지어 뒷돈까지 오간다는 증언입니다.
<녹취>"000전 회장님이 전폭적으로 지원을 해주니깐 하는 거예요. 저 지금 000협회 사무국장님한테 와이프 차 사줬어요."
학교 측도 입찰을 통해 경쟁을 부추깁니다.
인조잔디가 깔린 이 학교 운동장은 2백 시간 사용에 3천만 원 넘게 거래됐습니다.
<녹취> 00리그 관계자(음성변조) "3천5백 조금 넘게 줬어요. 3천5백80인가. 경쟁이 치열해요. 비싼 이유가 입찰하니까 비싸지."
현행 공유재산관리법상 공립학교 운동장을 재임대해 수익을 올리는 것은 불법입니다.
하지만, 실제 단속이 이뤄진다 해도 임대를 취소하는 것 외에 다른 처벌 규정이 없습니다.
운동장 불법 임대가 극성을 부리는 데는 허술한 법규정도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백미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회인 야구 열풍…운동장 불법 임대 극성
-
- 입력 2012-12-22 21:09:36
- 수정2012-12-22 21:44:53

<앵커 멘트>
야구 좋아하는 분들 많이 계시죠?
취미로 하는 사회인 야구가 인기를 끌면서 학교운동장을 임대 장사하는 임대 브로커들이 활개를 치고 있습니다.
학교 운동장이 시간당 수십만원의 웃돈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백미선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시내 한 고등학교 운동장, 사회인 야구 경기가 한창입니다.
서울시 교육청이 정한 이 운동장 사용료는 시간당 2만 원,
하지만, 두 야구팀은 두 시간에 50만 원을 냈습니다.
학교로부터 운동장을 통째로 빌린 브로커에게 웃돈을 주는 겁니다.
<인터뷰> 김상욱(서울시 하계동) : "야구장 개수도 부족하고 일반인들이 빌려쓸 수 있는 여건도 안되기 때문에 (재임대합니다.)"
브로커들은 인터넷에서 사회인 야구 리그를 만들어 야구팀을 모은 뒤 자신들이 빌린 운동장을 재임대해주고 웃돈을 챙깁니다.
운동장 한 곳만 있어도 적지않은 돈벌이가 된다는 얘깁니다.
<녹취> 운동장 임대 브로커(음성변조) : "기본적으로 운동장 하나가 1년에 2억이라는 매출이 보장되고, 한 달에 대관비로 들어오는 돈이 얼마냐 하면, 천만 원 가까이 돼요."
돈벌이가 되다보니 임대 경쟁이 치열해지고 심지어 뒷돈까지 오간다는 증언입니다.
<녹취>"000전 회장님이 전폭적으로 지원을 해주니깐 하는 거예요. 저 지금 000협회 사무국장님한테 와이프 차 사줬어요."
학교 측도 입찰을 통해 경쟁을 부추깁니다.
인조잔디가 깔린 이 학교 운동장은 2백 시간 사용에 3천만 원 넘게 거래됐습니다.
<녹취> 00리그 관계자(음성변조) "3천5백 조금 넘게 줬어요. 3천5백80인가. 경쟁이 치열해요. 비싼 이유가 입찰하니까 비싸지."
현행 공유재산관리법상 공립학교 운동장을 재임대해 수익을 올리는 것은 불법입니다.
하지만, 실제 단속이 이뤄진다 해도 임대를 취소하는 것 외에 다른 처벌 규정이 없습니다.
운동장 불법 임대가 극성을 부리는 데는 허술한 법규정도 한 몫을 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백미선입니다.
-
-
백미선 기자 bee@kbs.co.kr
백미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