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발된 10명 중 4명 습관적으로 음주운전”
입력 2012.12.29 (21:09)
수정 2012.12.29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연말 술자리가 잦아지다보니 음주운전 유혹도 커지고 있는데요,
한번 음주운전을 한 사람이 또 음주운전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찰이 음주 단속을 시작하자 술에 취한 운전자들이 잇따라 적발됩니다.
송년회식 자리에서 술을 조금 마셨다고 하지만, 혈중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 운전면허 정지에 해당하는 0.072%로 나타납니다.
<녹취>경찰관: "소주 세 잔 드시고 이렇게 많이 안 나와요."
한 여성 운전자는 면허정지 기준에 조금 못 미치는 혈중알코올농도 0.047%.
훈방조치됩니다.
<녹취> "가도 되나요? (네, 술 마시고 운전하시면 안 되고요.) 네."
하지만, 단 몇 잔의 술도 치명적인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김희도(춘천경찰서 교통관리계): "집중력과 판단력이 현저히 떨어져 과속운행을 하게 되며, 교통사고로 이어집니다."
혈중알코올농도 0.074%로 측정된 이 남성은 7년 사이 음주운전으로 3번이나 적발됐습니다.
<녹취> 음주적발 운전자(음성변조) "여러 번 걸렸죠. 여러 번.."
특히, 상습적으로 음주운전을 하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데 심각성이 있습니다.
<녹취> "막걸리 먹고 맥주 먹었으면 정지지 뭐.. 취소 안 되겠지.."
실제로 올 한해 음주단속에 적발된 16만여 명 가운데 2차례 이상 적발된 사람은 전체의 41%.
열 명 가운데 4명은 음주운전을 반복하는 셈입니다.
<인터뷰>김만수(도로교통공단 강원도지부): "음주운전을 여러 번 한 운전자는 죄의식과 수치심이 적어서 단속만 피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달리는 흉기 음주운전, 지난해 전국적으로 730여 명이 숨졌고, 5만여 명이 다쳤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연말 술자리가 잦아지다보니 음주운전 유혹도 커지고 있는데요,
한번 음주운전을 한 사람이 또 음주운전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찰이 음주 단속을 시작하자 술에 취한 운전자들이 잇따라 적발됩니다.
송년회식 자리에서 술을 조금 마셨다고 하지만, 혈중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 운전면허 정지에 해당하는 0.072%로 나타납니다.
<녹취>경찰관: "소주 세 잔 드시고 이렇게 많이 안 나와요."
한 여성 운전자는 면허정지 기준에 조금 못 미치는 혈중알코올농도 0.047%.
훈방조치됩니다.
<녹취> "가도 되나요? (네, 술 마시고 운전하시면 안 되고요.) 네."
하지만, 단 몇 잔의 술도 치명적인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김희도(춘천경찰서 교통관리계): "집중력과 판단력이 현저히 떨어져 과속운행을 하게 되며, 교통사고로 이어집니다."
혈중알코올농도 0.074%로 측정된 이 남성은 7년 사이 음주운전으로 3번이나 적발됐습니다.
<녹취> 음주적발 운전자(음성변조) "여러 번 걸렸죠. 여러 번.."
특히, 상습적으로 음주운전을 하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데 심각성이 있습니다.
<녹취> "막걸리 먹고 맥주 먹었으면 정지지 뭐.. 취소 안 되겠지.."
실제로 올 한해 음주단속에 적발된 16만여 명 가운데 2차례 이상 적발된 사람은 전체의 41%.
열 명 가운데 4명은 음주운전을 반복하는 셈입니다.
<인터뷰>김만수(도로교통공단 강원도지부): "음주운전을 여러 번 한 운전자는 죄의식과 수치심이 적어서 단속만 피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달리는 흉기 음주운전, 지난해 전국적으로 730여 명이 숨졌고, 5만여 명이 다쳤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적발된 10명 중 4명 습관적으로 음주운전”
-
- 입력 2012-12-29 21:11:43
- 수정2012-12-29 22:00:03

<앵커 멘트>
연말 술자리가 잦아지다보니 음주운전 유혹도 커지고 있는데요,
한번 음주운전을 한 사람이 또 음주운전을 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영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경찰이 음주 단속을 시작하자 술에 취한 운전자들이 잇따라 적발됩니다.
송년회식 자리에서 술을 조금 마셨다고 하지만, 혈중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 운전면허 정지에 해당하는 0.072%로 나타납니다.
<녹취>경찰관: "소주 세 잔 드시고 이렇게 많이 안 나와요."
한 여성 운전자는 면허정지 기준에 조금 못 미치는 혈중알코올농도 0.047%.
훈방조치됩니다.
<녹취> "가도 되나요? (네, 술 마시고 운전하시면 안 되고요.) 네."
하지만, 단 몇 잔의 술도 치명적인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김희도(춘천경찰서 교통관리계): "집중력과 판단력이 현저히 떨어져 과속운행을 하게 되며, 교통사고로 이어집니다."
혈중알코올농도 0.074%로 측정된 이 남성은 7년 사이 음주운전으로 3번이나 적발됐습니다.
<녹취> 음주적발 운전자(음성변조) "여러 번 걸렸죠. 여러 번.."
특히, 상습적으로 음주운전을 하면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데 심각성이 있습니다.
<녹취> "막걸리 먹고 맥주 먹었으면 정지지 뭐.. 취소 안 되겠지.."
실제로 올 한해 음주단속에 적발된 16만여 명 가운데 2차례 이상 적발된 사람은 전체의 41%.
열 명 가운데 4명은 음주운전을 반복하는 셈입니다.
<인터뷰>김만수(도로교통공단 강원도지부): "음주운전을 여러 번 한 운전자는 죄의식과 수치심이 적어서 단속만 피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달리는 흉기 음주운전, 지난해 전국적으로 730여 명이 숨졌고, 5만여 명이 다쳤습니다.
KBS 뉴스 김영준입니다.
-
-
김영준 기자 yjkim1@kbs.co.kr
김영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