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튼튼생생 365] 방학 맞아 치아 교정, 주의점은?
입력 2012.12.29 (21:22)
수정 2012.12.29 (21: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겨울방학을 맞아 치아를 교정하기 위해 치과를 찾는 어린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치아교정을 많이 하는데요,
적절한 시기와 방법이 따로 있다네요,
이충헌 의학전문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오른쪽 송곳니가 잇몸 속에서 비뚤어져 잇몸이 튀어나왔습니다.
1년 반 동안 치아교정을 받자 치아가 가지런해졌습니다.
<인터뷰> 이송원(중학교 2학년): "송곳니가 위쪽 윗몸에 나와 있었는데, 이제는 다 내려와서 자리를 잡았어요."
이런 치아 교정은 9살 전후에 하는 게 좋습니다.
성장기에 교정을 하면 치아의 맞물림을 쉽게 바로잡을 수 있고 턱뼈 교정도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변욱(치과의사): "교정을 너무 일찍 시작하면 협조가 잘 안 되고 너무 늦게 하면 턱뼈의 성장이 끝나기 때문에 턱뼈 교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치아가 가지런하지 않으면 부정교합이 생기고, 양치질이 잘 되지 않아 충치나 치주질환이 생기기 쉽습니다.
성장기를 지났더라도 치아교정이 필요한 이윱니다.
<인터뷰> 정다이(서울 숭인동): "치열이 바르게 되니까 그게 좋을 것 같아요.웃을 때도 좀 자신감이 생기는 것 같고."
최근엔 세라믹 등 눈에 덜 띠는 교정장치를 이용하는 추세입니다.
또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치아 안쪽에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치아교정도 있습니다.
치아가 한두 개만 비뚤어진 경우는 투명한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투명교정도 가능합니다.
<인터뷰> 정주령(강남세브란스 치과교정과): "입안에 다양한 장치가 들어가다 보니까 주기적으로 잘 닦아주는 것이 중요한데, 잘 안 닦이면 치석이나 구강 내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아교정도 잇몸이 건강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평소 잇몸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겨울방학을 맞아 치아를 교정하기 위해 치과를 찾는 어린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치아교정을 많이 하는데요,
적절한 시기와 방법이 따로 있다네요,
이충헌 의학전문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오른쪽 송곳니가 잇몸 속에서 비뚤어져 잇몸이 튀어나왔습니다.
1년 반 동안 치아교정을 받자 치아가 가지런해졌습니다.
<인터뷰> 이송원(중학교 2학년): "송곳니가 위쪽 윗몸에 나와 있었는데, 이제는 다 내려와서 자리를 잡았어요."
이런 치아 교정은 9살 전후에 하는 게 좋습니다.
성장기에 교정을 하면 치아의 맞물림을 쉽게 바로잡을 수 있고 턱뼈 교정도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변욱(치과의사): "교정을 너무 일찍 시작하면 협조가 잘 안 되고 너무 늦게 하면 턱뼈의 성장이 끝나기 때문에 턱뼈 교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치아가 가지런하지 않으면 부정교합이 생기고, 양치질이 잘 되지 않아 충치나 치주질환이 생기기 쉽습니다.
성장기를 지났더라도 치아교정이 필요한 이윱니다.
<인터뷰> 정다이(서울 숭인동): "치열이 바르게 되니까 그게 좋을 것 같아요.웃을 때도 좀 자신감이 생기는 것 같고."
최근엔 세라믹 등 눈에 덜 띠는 교정장치를 이용하는 추세입니다.
또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치아 안쪽에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치아교정도 있습니다.
치아가 한두 개만 비뚤어진 경우는 투명한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투명교정도 가능합니다.
<인터뷰> 정주령(강남세브란스 치과교정과): "입안에 다양한 장치가 들어가다 보니까 주기적으로 잘 닦아주는 것이 중요한데, 잘 안 닦이면 치석이나 구강 내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아교정도 잇몸이 건강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평소 잇몸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튼튼생생 365] 방학 맞아 치아 교정, 주의점은?
-
- 입력 2012-12-29 21:24:15
- 수정2012-12-29 21:54:37

<앵커 멘트>
겨울방학을 맞아 치아를 교정하기 위해 치과를 찾는 어린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어린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치아교정을 많이 하는데요,
적절한 시기와 방법이 따로 있다네요,
이충헌 의학전문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오른쪽 송곳니가 잇몸 속에서 비뚤어져 잇몸이 튀어나왔습니다.
1년 반 동안 치아교정을 받자 치아가 가지런해졌습니다.
<인터뷰> 이송원(중학교 2학년): "송곳니가 위쪽 윗몸에 나와 있었는데, 이제는 다 내려와서 자리를 잡았어요."
이런 치아 교정은 9살 전후에 하는 게 좋습니다.
성장기에 교정을 하면 치아의 맞물림을 쉽게 바로잡을 수 있고 턱뼈 교정도 수월하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변욱(치과의사): "교정을 너무 일찍 시작하면 협조가 잘 안 되고 너무 늦게 하면 턱뼈의 성장이 끝나기 때문에 턱뼈 교정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치아가 가지런하지 않으면 부정교합이 생기고, 양치질이 잘 되지 않아 충치나 치주질환이 생기기 쉽습니다.
성장기를 지났더라도 치아교정이 필요한 이윱니다.
<인터뷰> 정다이(서울 숭인동): "치열이 바르게 되니까 그게 좋을 것 같아요.웃을 때도 좀 자신감이 생기는 것 같고."
최근엔 세라믹 등 눈에 덜 띠는 교정장치를 이용하는 추세입니다.
또 겉에서 보이지 않도록 치아 안쪽에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치아교정도 있습니다.
치아가 한두 개만 비뚤어진 경우는 투명한 마우스피스를 이용한 투명교정도 가능합니다.
<인터뷰> 정주령(강남세브란스 치과교정과): "입안에 다양한 장치가 들어가다 보니까 주기적으로 잘 닦아주는 것이 중요한데, 잘 안 닦이면 치석이나 구강 내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치아교정도 잇몸이 건강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평소 잇몸 관리를 잘해야 합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