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쉴 수 없어요’ 미, 전국이 분노…폭력 시위 양상도
입력 2020.05.30 (21:24)
수정 2020.05.31 (09: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에서는 고질적인 인종차별 문제가 또다시 사회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수갑을 차고 있던 흑인 플로이드 씨를 무릎으로 눌러 숨지게 한 백인 경찰에 분노하는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됐는데, 시위가 폭력양상을 보이며 백악관 앞까지 번졌습니다.
미 정부는 정규군 투입까지 준비 중입니다.
워싱턴 김웅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 앞입니다.
자정을 넘긴 시간이지만 시위대는 돌아가지 않고, '숨쉬지 못하겠다',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며 항의하고 있습니다.
백악관 문 앞에서 시위대와 경호대가 충돌하며 시위는 격렬해집니다.
흑인 플로이드 씨가 백인 경찰 무릎에 눌려 사망한 지 나흘 만에 시위는 백악관까지 번졌습니다.
미 대도시는 빠진 곳 없을 정도로 시위는 전국적입니다.
그리고 일부에선 폭력적입니다.
[CNN 기자 : "뭔가 불붙은 것을 던졌습니다. 폭죽입니다. 폭발했습니다."]
시위대가 CNN 본사에 난입해 경찰과 대치했습니다.
고속도로를 막은 시위대는 차량을 습격해 약탈합니다.
주 방위군이 투입되고 야간 통행금지 명령이 내려졌지만 시위대는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플로이드 씨를 무릎으로 눌렀던 당시 경찰은 3급 살인죄로 체포됐습니다.
["NO JUSTICE. NO PEACE."]
시위대는 관련 경찰 4명 모두 살인죄로 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요구합니다.
'약탈에 사격이 시작된다'고 했다가 그게 할 소리냐는 역풍을 맞은 트럼프 대통령은 당황했습니다.
[트럼프/미 대통령 : "약탈을 하면 어젯밤 보셨다시피 누군가 총에 맞고 사망합니다. 그건 좋은 일이 아닙니다."]
시위 규모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주 방위군 투입에 이어 정규군 투입도 준비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국가 비상사태에, 해묵은,그러나 여전히 풀지 못한 인종차별 질곡에 미국은 신음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웅규입니다.
미국에서는 고질적인 인종차별 문제가 또다시 사회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수갑을 차고 있던 흑인 플로이드 씨를 무릎으로 눌러 숨지게 한 백인 경찰에 분노하는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됐는데, 시위가 폭력양상을 보이며 백악관 앞까지 번졌습니다.
미 정부는 정규군 투입까지 준비 중입니다.
워싱턴 김웅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 앞입니다.
자정을 넘긴 시간이지만 시위대는 돌아가지 않고, '숨쉬지 못하겠다',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며 항의하고 있습니다.
백악관 문 앞에서 시위대와 경호대가 충돌하며 시위는 격렬해집니다.
흑인 플로이드 씨가 백인 경찰 무릎에 눌려 사망한 지 나흘 만에 시위는 백악관까지 번졌습니다.
미 대도시는 빠진 곳 없을 정도로 시위는 전국적입니다.
그리고 일부에선 폭력적입니다.
[CNN 기자 : "뭔가 불붙은 것을 던졌습니다. 폭죽입니다. 폭발했습니다."]
시위대가 CNN 본사에 난입해 경찰과 대치했습니다.
고속도로를 막은 시위대는 차량을 습격해 약탈합니다.
주 방위군이 투입되고 야간 통행금지 명령이 내려졌지만 시위대는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플로이드 씨를 무릎으로 눌렀던 당시 경찰은 3급 살인죄로 체포됐습니다.
["NO JUSTICE. NO PEACE."]
시위대는 관련 경찰 4명 모두 살인죄로 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요구합니다.
'약탈에 사격이 시작된다'고 했다가 그게 할 소리냐는 역풍을 맞은 트럼프 대통령은 당황했습니다.
[트럼프/미 대통령 : "약탈을 하면 어젯밤 보셨다시피 누군가 총에 맞고 사망합니다. 그건 좋은 일이 아닙니다."]
시위 규모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주 방위군 투입에 이어 정규군 투입도 준비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국가 비상사태에, 해묵은,그러나 여전히 풀지 못한 인종차별 질곡에 미국은 신음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웅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숨쉴 수 없어요’ 미, 전국이 분노…폭력 시위 양상도
-
- 입력 2020-05-30 21:25:27
- 수정2020-05-31 09:57:22

[앵커]
미국에서는 고질적인 인종차별 문제가 또다시 사회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수갑을 차고 있던 흑인 플로이드 씨를 무릎으로 눌러 숨지게 한 백인 경찰에 분노하는 시위가 전국으로 확산됐는데, 시위가 폭력양상을 보이며 백악관 앞까지 번졌습니다.
미 정부는 정규군 투입까지 준비 중입니다.
워싱턴 김웅규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백악관 앞입니다.
자정을 넘긴 시간이지만 시위대는 돌아가지 않고, '숨쉬지 못하겠다', '흑인의 생명도 중요하다'며 항의하고 있습니다.
백악관 문 앞에서 시위대와 경호대가 충돌하며 시위는 격렬해집니다.
흑인 플로이드 씨가 백인 경찰 무릎에 눌려 사망한 지 나흘 만에 시위는 백악관까지 번졌습니다.
미 대도시는 빠진 곳 없을 정도로 시위는 전국적입니다.
그리고 일부에선 폭력적입니다.
[CNN 기자 : "뭔가 불붙은 것을 던졌습니다. 폭죽입니다. 폭발했습니다."]
시위대가 CNN 본사에 난입해 경찰과 대치했습니다.
고속도로를 막은 시위대는 차량을 습격해 약탈합니다.
주 방위군이 투입되고 야간 통행금지 명령이 내려졌지만 시위대는 아랑곳하지 않습니다.
플로이드 씨를 무릎으로 눌렀던 당시 경찰은 3급 살인죄로 체포됐습니다.
["NO JUSTICE. NO PEACE."]
시위대는 관련 경찰 4명 모두 살인죄로 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요구합니다.
'약탈에 사격이 시작된다'고 했다가 그게 할 소리냐는 역풍을 맞은 트럼프 대통령은 당황했습니다.
[트럼프/미 대통령 : "약탈을 하면 어젯밤 보셨다시피 누군가 총에 맞고 사망합니다. 그건 좋은 일이 아닙니다."]
시위 규모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주 방위군 투입에 이어 정규군 투입도 준비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국가 비상사태에, 해묵은,그러나 여전히 풀지 못한 인종차별 질곡에 미국은 신음하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웅규입니다.
-
-
김웅규 기자 kwk@kbs.co.kr
김웅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