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청년 간병, 나도 처벌받을까 두려웠다”
입력 2021.11.14 (21:19)
수정 2021.11.14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본 리포트에 나오는 이수경 씨와 몇 가지 더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오늘(14일) 이렇게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지금은 20대시죠. 10대 청소년 시기에 이제 아버지를 이제 돌봐야 했던 상황이라고 들었고 제가 듣기로는 지난해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고 들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이제 간병을 했던 상황이었던 것 같은데 어떠셨습니까.
[답변]
그 당시에 제가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이제 20살 때까지 좀 직접적으로 간병을 했던 시간들이 있었는데 그때 이제 학교도 다니고 아르바이트도 하고 그리고 아르바이트 끝나면 이제 아빠한테 가서 이야기도 나누고 간병을 하고 이랬던 부분들이 사실 좀 힘든 게 많았던 것 같고. 사실 그 간병하는 과정이라는 게 내 삶과 그렇게 소중한 아빠의 삶을 저울질하고 무엇이 더 중요한가. 무엇을 포기하고 무엇을 살려야 하는가 그런 상황에 매 순간 부딪혔던 것이 그것이 좀 많이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앵커]
이번에 이른바 이제 청년 간병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됐던 게 대구의 강모 씨 사연이 알려지게 되면서 이제 이슈가 됐지 않습니까.
강 씨의 사연을 들었을 때 좀 어떠셨습니까.
[답변]
그 소식을 듣고 이제 많은 분들이 슬픔이나 분노나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해 주셨는데 사실 저는 그 소식을 보고 처음 든 감정이 두려움이었거든요.
왜냐면 내 이야기가 알려지면 나도 처벌을 받을 수도 있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어서. 아빠의 전화를 안 받고 아빠를 미루고 저도 그런 상황들이 있었기 때문에 만약 아빠가 저의 그 행동들로 인해서 강도영 씨처럼 돌아가셨다면 저도 처벌을 받을 수 있겠구나 그것이 죄가 되는구나. 그런 생각이 좀 두려웠던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수경 씨의 아버지께서는 그렇게 방치된 상태에서 돌아가신 건 아니었고요.
지금 말씀하신 강도영 씨는 가명이라는 점을 저희가 좀 언급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실명은 아니고요.
그런데 이제 강 씨의 경우에는 그렇게 본인이 신청할 수 없을 만큼 그 아버지의 상태가 굉장히 심각했고, 뭐랄까 옆에서 챙겨주는 사회복지사라든가 그런 사람들이 더 촘촘하게 있었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을 전문가들이 얘기하는데 어떻습니까.
[답변]
사실 저도 그 간병 상황에 닥쳤을 때는 저도 나름 뭔가 제도나 정책 같은 걸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정말 쇼크가 와서 멘붕이 와서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상태였거든요.
그랬을 때는 주변에서 이 상황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함께 지켜봐 준다든지 도움을 준다든지 그렇게 할 수 있었을 텐데 강도영 씨 같은 경우에도 사실 도움을 청하지 않은 상황이 아니었잖아요.
[앵커]
그럼 결국에는 이제 이 간병 서비스를 좀 공공 서비스 그러니까 좀 국가가 지원해 주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데 실제 간병인을 고용해서 아버지를 돌봤을 거 아니에요. 네 어떤 게 많이 힘들었습니까.
[답변]
우선 간병인들이 환자에게 어떤 폭력을 행사한다든지 그런 문제들이 이미 매스컴에서 많이 알려졌기 때문에 불안함이 사실 있었던 게 사실이거든요.
그런 부분에 대해서 되게 많이 불안해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그분들의 처우가 어땠는지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는 몰랐거든요.
일급이 10만 원으로 책정을 하시더라고요 하루 10만 원 네 근데 24시간 동안 돌봄을 하시고, 자는 시간에도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하든지 물을 달라고 하면 움직여서 24시간 동안 돌봄을 해야 하는데 그분들이 일급이 10만 원이고. 그렇게 했을 때 제가 그분에게 어떤 환자의 인권이라든지 정말 전문성을 가져주길 바란다면 사회에서 직업 돌봄의 처우나 그분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그분들도 전문성을 가질 수밖에 없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간병인의 처우와 요양보호사들의 처우나 그런 부분들이 높아지면 정말 마음 편하게 믿고 맡길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앵커]
알겠습니다.
오늘 시간 관계상 여기서 좀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0대 청소년 시기에 아버지를 돌봐야 했던 청년 간병과 관련한 얘기를 해주신 이수경 씨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앞서 본 리포트에 나오는 이수경 씨와 몇 가지 더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오늘(14일) 이렇게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지금은 20대시죠. 10대 청소년 시기에 이제 아버지를 이제 돌봐야 했던 상황이라고 들었고 제가 듣기로는 지난해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고 들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이제 간병을 했던 상황이었던 것 같은데 어떠셨습니까.
[답변]
그 당시에 제가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이제 20살 때까지 좀 직접적으로 간병을 했던 시간들이 있었는데 그때 이제 학교도 다니고 아르바이트도 하고 그리고 아르바이트 끝나면 이제 아빠한테 가서 이야기도 나누고 간병을 하고 이랬던 부분들이 사실 좀 힘든 게 많았던 것 같고. 사실 그 간병하는 과정이라는 게 내 삶과 그렇게 소중한 아빠의 삶을 저울질하고 무엇이 더 중요한가. 무엇을 포기하고 무엇을 살려야 하는가 그런 상황에 매 순간 부딪혔던 것이 그것이 좀 많이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앵커]
이번에 이른바 이제 청년 간병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됐던 게 대구의 강모 씨 사연이 알려지게 되면서 이제 이슈가 됐지 않습니까.
강 씨의 사연을 들었을 때 좀 어떠셨습니까.
[답변]
그 소식을 듣고 이제 많은 분들이 슬픔이나 분노나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해 주셨는데 사실 저는 그 소식을 보고 처음 든 감정이 두려움이었거든요.
왜냐면 내 이야기가 알려지면 나도 처벌을 받을 수도 있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어서. 아빠의 전화를 안 받고 아빠를 미루고 저도 그런 상황들이 있었기 때문에 만약 아빠가 저의 그 행동들로 인해서 강도영 씨처럼 돌아가셨다면 저도 처벌을 받을 수 있겠구나 그것이 죄가 되는구나. 그런 생각이 좀 두려웠던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수경 씨의 아버지께서는 그렇게 방치된 상태에서 돌아가신 건 아니었고요.
지금 말씀하신 강도영 씨는 가명이라는 점을 저희가 좀 언급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실명은 아니고요.
그런데 이제 강 씨의 경우에는 그렇게 본인이 신청할 수 없을 만큼 그 아버지의 상태가 굉장히 심각했고, 뭐랄까 옆에서 챙겨주는 사회복지사라든가 그런 사람들이 더 촘촘하게 있었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을 전문가들이 얘기하는데 어떻습니까.
[답변]
사실 저도 그 간병 상황에 닥쳤을 때는 저도 나름 뭔가 제도나 정책 같은 걸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정말 쇼크가 와서 멘붕이 와서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상태였거든요.
그랬을 때는 주변에서 이 상황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함께 지켜봐 준다든지 도움을 준다든지 그렇게 할 수 있었을 텐데 강도영 씨 같은 경우에도 사실 도움을 청하지 않은 상황이 아니었잖아요.
[앵커]
그럼 결국에는 이제 이 간병 서비스를 좀 공공 서비스 그러니까 좀 국가가 지원해 주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데 실제 간병인을 고용해서 아버지를 돌봤을 거 아니에요. 네 어떤 게 많이 힘들었습니까.
[답변]
우선 간병인들이 환자에게 어떤 폭력을 행사한다든지 그런 문제들이 이미 매스컴에서 많이 알려졌기 때문에 불안함이 사실 있었던 게 사실이거든요.
그런 부분에 대해서 되게 많이 불안해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그분들의 처우가 어땠는지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는 몰랐거든요.
일급이 10만 원으로 책정을 하시더라고요 하루 10만 원 네 근데 24시간 동안 돌봄을 하시고, 자는 시간에도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하든지 물을 달라고 하면 움직여서 24시간 동안 돌봄을 해야 하는데 그분들이 일급이 10만 원이고. 그렇게 했을 때 제가 그분에게 어떤 환자의 인권이라든지 정말 전문성을 가져주길 바란다면 사회에서 직업 돌봄의 처우나 그분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그분들도 전문성을 가질 수밖에 없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간병인의 처우와 요양보호사들의 처우나 그런 부분들이 높아지면 정말 마음 편하게 믿고 맡길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앵커]
알겠습니다.
오늘 시간 관계상 여기서 좀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0대 청소년 시기에 아버지를 돌봐야 했던 청년 간병과 관련한 얘기를 해주신 이수경 씨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터뷰] “청년 간병, 나도 처벌받을까 두려웠다”
-
- 입력 2021-11-14 21:19:18
- 수정2021-11-14 22:01:56
[앵커]
앞서 본 리포트에 나오는 이수경 씨와 몇 가지 더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오늘(14일) 이렇게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지금은 20대시죠. 10대 청소년 시기에 이제 아버지를 이제 돌봐야 했던 상황이라고 들었고 제가 듣기로는 지난해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고 들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이제 간병을 했던 상황이었던 것 같은데 어떠셨습니까.
[답변]
그 당시에 제가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이제 20살 때까지 좀 직접적으로 간병을 했던 시간들이 있었는데 그때 이제 학교도 다니고 아르바이트도 하고 그리고 아르바이트 끝나면 이제 아빠한테 가서 이야기도 나누고 간병을 하고 이랬던 부분들이 사실 좀 힘든 게 많았던 것 같고. 사실 그 간병하는 과정이라는 게 내 삶과 그렇게 소중한 아빠의 삶을 저울질하고 무엇이 더 중요한가. 무엇을 포기하고 무엇을 살려야 하는가 그런 상황에 매 순간 부딪혔던 것이 그것이 좀 많이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앵커]
이번에 이른바 이제 청년 간병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됐던 게 대구의 강모 씨 사연이 알려지게 되면서 이제 이슈가 됐지 않습니까.
강 씨의 사연을 들었을 때 좀 어떠셨습니까.
[답변]
그 소식을 듣고 이제 많은 분들이 슬픔이나 분노나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해 주셨는데 사실 저는 그 소식을 보고 처음 든 감정이 두려움이었거든요.
왜냐면 내 이야기가 알려지면 나도 처벌을 받을 수도 있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어서. 아빠의 전화를 안 받고 아빠를 미루고 저도 그런 상황들이 있었기 때문에 만약 아빠가 저의 그 행동들로 인해서 강도영 씨처럼 돌아가셨다면 저도 처벌을 받을 수 있겠구나 그것이 죄가 되는구나. 그런 생각이 좀 두려웠던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수경 씨의 아버지께서는 그렇게 방치된 상태에서 돌아가신 건 아니었고요.
지금 말씀하신 강도영 씨는 가명이라는 점을 저희가 좀 언급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실명은 아니고요.
그런데 이제 강 씨의 경우에는 그렇게 본인이 신청할 수 없을 만큼 그 아버지의 상태가 굉장히 심각했고, 뭐랄까 옆에서 챙겨주는 사회복지사라든가 그런 사람들이 더 촘촘하게 있었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을 전문가들이 얘기하는데 어떻습니까.
[답변]
사실 저도 그 간병 상황에 닥쳤을 때는 저도 나름 뭔가 제도나 정책 같은 걸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정말 쇼크가 와서 멘붕이 와서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상태였거든요.
그랬을 때는 주변에서 이 상황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함께 지켜봐 준다든지 도움을 준다든지 그렇게 할 수 있었을 텐데 강도영 씨 같은 경우에도 사실 도움을 청하지 않은 상황이 아니었잖아요.
[앵커]
그럼 결국에는 이제 이 간병 서비스를 좀 공공 서비스 그러니까 좀 국가가 지원해 주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데 실제 간병인을 고용해서 아버지를 돌봤을 거 아니에요. 네 어떤 게 많이 힘들었습니까.
[답변]
우선 간병인들이 환자에게 어떤 폭력을 행사한다든지 그런 문제들이 이미 매스컴에서 많이 알려졌기 때문에 불안함이 사실 있었던 게 사실이거든요.
그런 부분에 대해서 되게 많이 불안해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그분들의 처우가 어땠는지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는 몰랐거든요.
일급이 10만 원으로 책정을 하시더라고요 하루 10만 원 네 근데 24시간 동안 돌봄을 하시고, 자는 시간에도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하든지 물을 달라고 하면 움직여서 24시간 동안 돌봄을 해야 하는데 그분들이 일급이 10만 원이고. 그렇게 했을 때 제가 그분에게 어떤 환자의 인권이라든지 정말 전문성을 가져주길 바란다면 사회에서 직업 돌봄의 처우나 그분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그분들도 전문성을 가질 수밖에 없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간병인의 처우와 요양보호사들의 처우나 그런 부분들이 높아지면 정말 마음 편하게 믿고 맡길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앵커]
알겠습니다.
오늘 시간 관계상 여기서 좀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0대 청소년 시기에 아버지를 돌봐야 했던 청년 간병과 관련한 얘기를 해주신 이수경 씨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앞서 본 리포트에 나오는 이수경 씨와 몇 가지 더 이야기를 나눠보겠습니다.
오늘(14일) 이렇게 나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지금은 20대시죠. 10대 청소년 시기에 이제 아버지를 이제 돌봐야 했던 상황이라고 들었고 제가 듣기로는 지난해에 아버지께서 돌아가셨다고 들었습니다.
어린 나이에 이제 간병을 했던 상황이었던 것 같은데 어떠셨습니까.
[답변]
그 당시에 제가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이제 20살 때까지 좀 직접적으로 간병을 했던 시간들이 있었는데 그때 이제 학교도 다니고 아르바이트도 하고 그리고 아르바이트 끝나면 이제 아빠한테 가서 이야기도 나누고 간병을 하고 이랬던 부분들이 사실 좀 힘든 게 많았던 것 같고. 사실 그 간병하는 과정이라는 게 내 삶과 그렇게 소중한 아빠의 삶을 저울질하고 무엇이 더 중요한가. 무엇을 포기하고 무엇을 살려야 하는가 그런 상황에 매 순간 부딪혔던 것이 그것이 좀 많이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앵커]
이번에 이른바 이제 청년 간병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됐던 게 대구의 강모 씨 사연이 알려지게 되면서 이제 이슈가 됐지 않습니까.
강 씨의 사연을 들었을 때 좀 어떠셨습니까.
[답변]
그 소식을 듣고 이제 많은 분들이 슬픔이나 분노나 그런 이야기를 많이 해 주셨는데 사실 저는 그 소식을 보고 처음 든 감정이 두려움이었거든요.
왜냐면 내 이야기가 알려지면 나도 처벌을 받을 수도 있겠구나 그런 생각이 들어서. 아빠의 전화를 안 받고 아빠를 미루고 저도 그런 상황들이 있었기 때문에 만약 아빠가 저의 그 행동들로 인해서 강도영 씨처럼 돌아가셨다면 저도 처벌을 받을 수 있겠구나 그것이 죄가 되는구나. 그런 생각이 좀 두려웠던 것 같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수경 씨의 아버지께서는 그렇게 방치된 상태에서 돌아가신 건 아니었고요.
지금 말씀하신 강도영 씨는 가명이라는 점을 저희가 좀 언급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 실명은 아니고요.
그런데 이제 강 씨의 경우에는 그렇게 본인이 신청할 수 없을 만큼 그 아버지의 상태가 굉장히 심각했고, 뭐랄까 옆에서 챙겨주는 사회복지사라든가 그런 사람들이 더 촘촘하게 있었더라면 어땠을까라는 아쉬움을 전문가들이 얘기하는데 어떻습니까.
[답변]
사실 저도 그 간병 상황에 닥쳤을 때는 저도 나름 뭔가 제도나 정책 같은 걸 잘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정말 쇼크가 와서 멘붕이 와서 아무것도 알 수 없는 상태였거든요.
그랬을 때는 주변에서 이 상황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함께 지켜봐 준다든지 도움을 준다든지 그렇게 할 수 있었을 텐데 강도영 씨 같은 경우에도 사실 도움을 청하지 않은 상황이 아니었잖아요.
[앵커]
그럼 결국에는 이제 이 간병 서비스를 좀 공공 서비스 그러니까 좀 국가가 지원해 주는 형태가 되어야 하는데 실제 간병인을 고용해서 아버지를 돌봤을 거 아니에요. 네 어떤 게 많이 힘들었습니까.
[답변]
우선 간병인들이 환자에게 어떤 폭력을 행사한다든지 그런 문제들이 이미 매스컴에서 많이 알려졌기 때문에 불안함이 사실 있었던 게 사실이거든요.
그런 부분에 대해서 되게 많이 불안해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그분들의 처우가 어땠는지 지금 생각해 보면 그때는 몰랐거든요.
일급이 10만 원으로 책정을 하시더라고요 하루 10만 원 네 근데 24시간 동안 돌봄을 하시고, 자는 시간에도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하든지 물을 달라고 하면 움직여서 24시간 동안 돌봄을 해야 하는데 그분들이 일급이 10만 원이고. 그렇게 했을 때 제가 그분에게 어떤 환자의 인권이라든지 정말 전문성을 가져주길 바란다면 사회에서 직업 돌봄의 처우나 그분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그분들도 전문성을 가질 수밖에 없을 거라고 생각하거든요.
간병인의 처우와 요양보호사들의 처우나 그런 부분들이 높아지면 정말 마음 편하게 믿고 맡길 수 있을 것 같거든요.
[앵커]
알겠습니다.
오늘 시간 관계상 여기서 좀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0대 청소년 시기에 아버지를 돌봐야 했던 청년 간병과 관련한 얘기를 해주신 이수경 씨와 대화를 나눴습니다 고맙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
-
이재석 기자 jaeseok@kbs.co.kr
이재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