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육아휴직 3개월”…부산 사용률 ‘저조’
입력 2025.04.08 (19:54)
수정 2025.04.08 (20: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육아친화 기업인 롯데백화점은 남성 직원 역시, 석 달 동안 의무적으로 육아휴직을 쓰도록 하고 있는데요,
대기업 중 최초입니다.
하지만 부산 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러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화점에서 일하는 이 남성은 곧, 육아휴직에 들어갑니다.
배우자 출산과 함께 자동으로 3개월의 육아휴직이 부여되기 때문입니다.
회사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게 무엇보다 좋습니다.
[곽근섭/롯데백화점 직원 : "육아(휴직)이 처음에는 부담스러웠지만 그런 제도 때문에 이제 덜 부담되고, 굉장히 집에서도 선호하는 부분이라서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롯데백화점이 국내 대기업 중 처음으로 남성 직원들의 육아휴직 기간을 기존 한 달에서 '석 달'로 늘렸습니다.
하지만 대다수 기업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통계청 조사 결과, 2023년 기준 전체 육아휴직자 19만 5천여 명 가운데 남성 비중은 25.7%, 여성의 1/3에 불과합니다.
지역별로 보면 특히 부산은 최저 수준.
17개 시·도 중, 광주와 대구에 이어 3번째로 낮습니다.
9인 이하 영세 사업체 수가 많고, 전통적 산업이 기반을 이루는 부산의 지역적 특성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최청락/부산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워라밸(일·생활 균형)을 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만든다면, 남성들 육아휴직 사용하기도 좋고 청년층도 외부로 빠져나가는 부분을 막을 수가 있을 거고요."]
저출생 해소 대책 중 하나인 '남성 육아휴직'을 보다 활성화하려면 기업 구조에 맞춘 꼼꼼한 제도 개선, 그리고 과감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곽나영/그래픽:김희나
육아친화 기업인 롯데백화점은 남성 직원 역시, 석 달 동안 의무적으로 육아휴직을 쓰도록 하고 있는데요,
대기업 중 최초입니다.
하지만 부산 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러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화점에서 일하는 이 남성은 곧, 육아휴직에 들어갑니다.
배우자 출산과 함께 자동으로 3개월의 육아휴직이 부여되기 때문입니다.
회사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게 무엇보다 좋습니다.
[곽근섭/롯데백화점 직원 : "육아(휴직)이 처음에는 부담스러웠지만 그런 제도 때문에 이제 덜 부담되고, 굉장히 집에서도 선호하는 부분이라서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롯데백화점이 국내 대기업 중 처음으로 남성 직원들의 육아휴직 기간을 기존 한 달에서 '석 달'로 늘렸습니다.
하지만 대다수 기업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통계청 조사 결과, 2023년 기준 전체 육아휴직자 19만 5천여 명 가운데 남성 비중은 25.7%, 여성의 1/3에 불과합니다.
지역별로 보면 특히 부산은 최저 수준.
17개 시·도 중, 광주와 대구에 이어 3번째로 낮습니다.
9인 이하 영세 사업체 수가 많고, 전통적 산업이 기반을 이루는 부산의 지역적 특성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최청락/부산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워라밸(일·생활 균형)을 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만든다면, 남성들 육아휴직 사용하기도 좋고 청년층도 외부로 빠져나가는 부분을 막을 수가 있을 거고요."]
저출생 해소 대책 중 하나인 '남성 육아휴직'을 보다 활성화하려면 기업 구조에 맞춘 꼼꼼한 제도 개선, 그리고 과감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곽나영/그래픽:김희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성 육아휴직 3개월”…부산 사용률 ‘저조’
-
- 입력 2025-04-08 19:54:14
- 수정2025-04-08 20:32:41

[앵커]
육아친화 기업인 롯데백화점은 남성 직원 역시, 석 달 동안 의무적으로 육아휴직을 쓰도록 하고 있는데요,
대기업 중 최초입니다.
하지만 부산 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러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화점에서 일하는 이 남성은 곧, 육아휴직에 들어갑니다.
배우자 출산과 함께 자동으로 3개월의 육아휴직이 부여되기 때문입니다.
회사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게 무엇보다 좋습니다.
[곽근섭/롯데백화점 직원 : "육아(휴직)이 처음에는 부담스러웠지만 그런 제도 때문에 이제 덜 부담되고, 굉장히 집에서도 선호하는 부분이라서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롯데백화점이 국내 대기업 중 처음으로 남성 직원들의 육아휴직 기간을 기존 한 달에서 '석 달'로 늘렸습니다.
하지만 대다수 기업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통계청 조사 결과, 2023년 기준 전체 육아휴직자 19만 5천여 명 가운데 남성 비중은 25.7%, 여성의 1/3에 불과합니다.
지역별로 보면 특히 부산은 최저 수준.
17개 시·도 중, 광주와 대구에 이어 3번째로 낮습니다.
9인 이하 영세 사업체 수가 많고, 전통적 산업이 기반을 이루는 부산의 지역적 특성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최청락/부산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워라밸(일·생활 균형)을 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만든다면, 남성들 육아휴직 사용하기도 좋고 청년층도 외부로 빠져나가는 부분을 막을 수가 있을 거고요."]
저출생 해소 대책 중 하나인 '남성 육아휴직'을 보다 활성화하려면 기업 구조에 맞춘 꼼꼼한 제도 개선, 그리고 과감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곽나영/그래픽:김희나
육아친화 기업인 롯데백화점은 남성 직원 역시, 석 달 동안 의무적으로 육아휴직을 쓰도록 하고 있는데요,
대기업 중 최초입니다.
하지만 부산 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사용률은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러 있습니다.
보도에 이이슬 기자입니다.
[리포트]
백화점에서 일하는 이 남성은 곧, 육아휴직에 들어갑니다.
배우자 출산과 함께 자동으로 3개월의 육아휴직이 부여되기 때문입니다.
회사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는 게 무엇보다 좋습니다.
[곽근섭/롯데백화점 직원 : "육아(휴직)이 처음에는 부담스러웠지만 그런 제도 때문에 이제 덜 부담되고, 굉장히 집에서도 선호하는 부분이라서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롯데백화점이 국내 대기업 중 처음으로 남성 직원들의 육아휴직 기간을 기존 한 달에서 '석 달'로 늘렸습니다.
하지만 대다수 기업의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통계청 조사 결과, 2023년 기준 전체 육아휴직자 19만 5천여 명 가운데 남성 비중은 25.7%, 여성의 1/3에 불과합니다.
지역별로 보면 특히 부산은 최저 수준.
17개 시·도 중, 광주와 대구에 이어 3번째로 낮습니다.
9인 이하 영세 사업체 수가 많고, 전통적 산업이 기반을 이루는 부산의 지역적 특성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최청락/부산연구원 책임연구위원 : "워라밸(일·생활 균형)을 할 수 있는 기업 문화를 만든다면, 남성들 육아휴직 사용하기도 좋고 청년층도 외부로 빠져나가는 부분을 막을 수가 있을 거고요."]
저출생 해소 대책 중 하나인 '남성 육아휴직'을 보다 활성화하려면 기업 구조에 맞춘 꼼꼼한 제도 개선, 그리고 과감한 지원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이이슬입니다.
촬영기자:허선귀/영상편집:곽나영/그래픽:김희나
-
-
이이슬 기자 eslee31@kbs.co.kr
이이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우리 아이, 우리 미래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