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는 전남] 전국 곳곳서 통합 논의…여순광은 ‘온도 차’

입력 2025.07.02 (19:22) 수정 2025.07.02 (1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지역 주도 통합과 거점 도시 조성 등을 균형발전 공약으로 발표하면서 전국 곳곳에서 지역 통합 논의가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그만큼 여수와 순천, 광양시의 통합 논의 역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3개 자치 단체장의 입장은 큰 온도 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역 주도의 자발적 통합, 거점 특례시 조성을 통한 권역 성장.

이재명 대통령의 지역 균형 발전 공약에 맞춰 광양만권 3개 도시 통합에 대한 지역민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취임 3주년을 맞아 여수와 순천 광양, 3곳의 시장들도 통합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인화/광양시장 : "(메가시티는) 실현 방안이나 개념도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와 같은 긴밀한 협조 체제를 유지하면서..."]

[정기명/여수시장 : "제일 중요한 것은 심리적 통합이다. '한 도시의 시민들이다' 이런 인식을 가지려면 우리가 자주 교류해야 하고..."]

[노관규/순천시장 : "오래전부터 전국의 도시들을 봤을 때 시너지 효과가 생길 수 있는 도시가 순천과 여수, 광양 통합이라고 중앙 정부에서도 보고 있기 때문에..."]

통합 필요성에는 모두 공감하는 모양새지만, 민선 8기 남은 1년 임기 내에 극적인 협의를 기대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이와 달리, 전국 곳곳에서는 지역 통합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광역단체에서는 부산과 경남, 대전과 충남이 행정 통합에 대한 의견 청취를 위해 시·도민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고, 기초단체에서는 완주군민들의 반대 여론 속에 전주시와 완주군이 통합을 위한 행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여수와 순천, 광양 역시 자치단체장의 합의만 바라볼 게 아니라 지역 통합 효과와 부작용을 따져보는 공론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합니다.

[하정봉/순천대 공공인재학부 행정학전공 교수 : "지나치게 관 주도로 가는 것은 안 좋은 거 같아요. 그래서 지역에서 경제계라든지 시민사회 영역에서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공감대를 확산하는 작업을 하는 게 선행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역소멸 위기 속에 지방정부의 권한과 생활권 확대를 위해 통합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

여수와 순천, 광양 역시 지역과 정치적 이해관계를 뛰어넘는 논의의 장이 마련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임금·임대료 체불 근절대책 마련하라”

전국건설노동조합 광주전남건설기계지부가 임금과 기계 임대료 체불이 반복되고 있다며 광양시와 포스코에 근절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건설노조는 오늘(2일) 기자회견을 열고, "건설사들이 건설장비 노동자들의 임금을 주지 않아도 처벌을 받지 않는 법의 허점을 악용한 상습 체불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건설노조는 또 "지속적인 문제 제기에도 발주처는 물론 지자체의 무관심이 지속되고 있다"며 관리 감독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광양제철소, 냉연공정 자동 속도제어 기술 개발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상온에서 철강 제품을 눌러서 얇게 만드는 '냉간 압연' 생산 공정의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포스코는 "이번 자동 속도제어 기술 개발로 철강 제품 생산 지연 시간을 줄이고, 시간당 10톤 이상의 생산 증대 효과를 올리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포스코는 또 그동안 냉간 압연 공정 과정은 작업자의 수동 운전으로 인해 생산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었다"며 안전성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순천대, 필리핀에 ‘세종학당’ 설립 추진

순천대학교가 문화체육관광부와 세종학당재단이 주관한 세종학당 신규 설립 공모에 최종 선정됐습니다.

이에 따라 순천대는 필리핀 현지 운영기관인 센트럴루존주립대학교와 협력해 무뇨스시에 세종학당을 설립하고 오는 8월부터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부터는 정규과정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한편, 이번 공모에는 전 세계 43개국 94개 기관이 신청해 약 8.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여기는 전남] 전국 곳곳서 통합 논의…여순광은 ‘온도 차’
    • 입력 2025-07-02 19:22:39
    • 수정2025-07-02 19:36:59
    뉴스7(광주)
[앵커]

이재명 대통령이 지역 주도 통합과 거점 도시 조성 등을 균형발전 공약으로 발표하면서 전국 곳곳에서 지역 통합 논의가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그만큼 여수와 순천, 광양시의 통합 논의 역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3개 자치 단체장의 입장은 큰 온도 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역 주도의 자발적 통합, 거점 특례시 조성을 통한 권역 성장.

이재명 대통령의 지역 균형 발전 공약에 맞춰 광양만권 3개 도시 통합에 대한 지역민들의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취임 3주년을 맞아 여수와 순천 광양, 3곳의 시장들도 통합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정인화/광양시장 : "(메가시티는) 실현 방안이나 개념도 명확하게 전달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와 같은 긴밀한 협조 체제를 유지하면서..."]

[정기명/여수시장 : "제일 중요한 것은 심리적 통합이다. '한 도시의 시민들이다' 이런 인식을 가지려면 우리가 자주 교류해야 하고..."]

[노관규/순천시장 : "오래전부터 전국의 도시들을 봤을 때 시너지 효과가 생길 수 있는 도시가 순천과 여수, 광양 통합이라고 중앙 정부에서도 보고 있기 때문에..."]

통합 필요성에는 모두 공감하는 모양새지만, 민선 8기 남은 1년 임기 내에 극적인 협의를 기대하긴 어려워 보입니다.

이와 달리, 전국 곳곳에서는 지역 통합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광역단체에서는 부산과 경남, 대전과 충남이 행정 통합에 대한 의견 청취를 위해 시·도민 설명회를 진행하고 있고, 기초단체에서는 완주군민들의 반대 여론 속에 전주시와 완주군이 통합을 위한 행정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여수와 순천, 광양 역시 자치단체장의 합의만 바라볼 게 아니라 지역 통합 효과와 부작용을 따져보는 공론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말합니다.

[하정봉/순천대 공공인재학부 행정학전공 교수 : "지나치게 관 주도로 가는 것은 안 좋은 거 같아요. 그래서 지역에서 경제계라든지 시민사회 영역에서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공감대를 확산하는 작업을 하는 게 선행돼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역소멸 위기 속에 지방정부의 권한과 생활권 확대를 위해 통합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

여수와 순천, 광양 역시 지역과 정치적 이해관계를 뛰어넘는 논의의 장이 마련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임금·임대료 체불 근절대책 마련하라”

전국건설노동조합 광주전남건설기계지부가 임금과 기계 임대료 체불이 반복되고 있다며 광양시와 포스코에 근절 대책을 요구했습니다.

건설노조는 오늘(2일) 기자회견을 열고, "건설사들이 건설장비 노동자들의 임금을 주지 않아도 처벌을 받지 않는 법의 허점을 악용한 상습 체불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건설노조는 또 "지속적인 문제 제기에도 발주처는 물론 지자체의 무관심이 지속되고 있다"며 관리 감독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

광양제철소, 냉연공정 자동 속도제어 기술 개발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상온에서 철강 제품을 눌러서 얇게 만드는 '냉간 압연' 생산 공정의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포스코는 "이번 자동 속도제어 기술 개발로 철강 제품 생산 지연 시간을 줄이고, 시간당 10톤 이상의 생산 증대 효과를 올리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포스코는 또 그동안 냉간 압연 공정 과정은 작업자의 수동 운전으로 인해 생산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었다"며 안전성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순천대, 필리핀에 ‘세종학당’ 설립 추진

순천대학교가 문화체육관광부와 세종학당재단이 주관한 세종학당 신규 설립 공모에 최종 선정됐습니다.

이에 따라 순천대는 필리핀 현지 운영기관인 센트럴루존주립대학교와 협력해 무뇨스시에 세종학당을 설립하고 오는 8월부터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부터는 정규과정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한편, 이번 공모에는 전 세계 43개국 94개 기관이 신청해 약 8.5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