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나면 탈출 불가”…중국산 도어록 주의!
입력 2025.02.18 (21:26)
수정 2025.02.19 (07: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해외 직구로 디지털 잠금장치, 도어록 구매하시는 경우,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일부 중국산 제품은 불이 나면 문을 열 수 없어 탈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류란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디지털 도어록을 시험기구 안에 넣고 270도 고온에서 10분간 방치했습니다.
수동 개폐장치 부분이 완전히 녹아버렸습니다.
도어록이 잠긴 상태로 문을 열고 나갈 방법이 없는 겁니다.
소비자원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파는 중국산 도어록 10개 제품을 시험했더니, 3개는 화재 시 문을 열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내 안전기준은 디지털 도어록 '화재 대비 시험'에서 270도에서 10분이 지난 후에도 수동 레버로 열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이 해외 직구로 국내에 유통되고 있었던 겁니다.
손잡이가 녹아내린 3개를 포함해 리튬이차전지가 들어간 5개 제품은 모두 폭발까지 일으켰습니다.
[나은수/한국소비자원 기계모빌리티팀장 : "화재 발생 시 시험 기준 온도인 270도보다 낮은 170도에서 260도 범위에서 배터리가 발화·폭발해, 거주자 대피에 방해 요인이 되는 도어록 파손, 화재 확산의 우려가 높았습니다."]
현재 국산 도어록은 리튬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없지만, 5월부터는 가능해 리튬이차전지를 쓰는 도어록을 살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중국산 제품 중 1개는 비상 전원 단자가 없어, 배터리가 방전되면 밖에서 문을 열 수 없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비교군으로 실험한 국산 제품들은 모두 화재 시 문을 열 수 있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안전기준에 맞지 않는 중국산 제품 6종류 대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유통을 차단하고, 환불하도록 조치했습니다.
이와 함께 'KC 인증'을 받은 도어록을 구입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유리/화면제공:한국소비자원·게이트맨
해외 직구로 디지털 잠금장치, 도어록 구매하시는 경우,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일부 중국산 제품은 불이 나면 문을 열 수 없어 탈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류란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디지털 도어록을 시험기구 안에 넣고 270도 고온에서 10분간 방치했습니다.
수동 개폐장치 부분이 완전히 녹아버렸습니다.
도어록이 잠긴 상태로 문을 열고 나갈 방법이 없는 겁니다.
소비자원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파는 중국산 도어록 10개 제품을 시험했더니, 3개는 화재 시 문을 열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내 안전기준은 디지털 도어록 '화재 대비 시험'에서 270도에서 10분이 지난 후에도 수동 레버로 열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이 해외 직구로 국내에 유통되고 있었던 겁니다.
손잡이가 녹아내린 3개를 포함해 리튬이차전지가 들어간 5개 제품은 모두 폭발까지 일으켰습니다.
[나은수/한국소비자원 기계모빌리티팀장 : "화재 발생 시 시험 기준 온도인 270도보다 낮은 170도에서 260도 범위에서 배터리가 발화·폭발해, 거주자 대피에 방해 요인이 되는 도어록 파손, 화재 확산의 우려가 높았습니다."]
현재 국산 도어록은 리튬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없지만, 5월부터는 가능해 리튬이차전지를 쓰는 도어록을 살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중국산 제품 중 1개는 비상 전원 단자가 없어, 배터리가 방전되면 밖에서 문을 열 수 없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비교군으로 실험한 국산 제품들은 모두 화재 시 문을 열 수 있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안전기준에 맞지 않는 중국산 제품 6종류 대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유통을 차단하고, 환불하도록 조치했습니다.
이와 함께 'KC 인증'을 받은 도어록을 구입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유리/화면제공:한국소비자원·게이트맨
▲ 문 안 열린 제품 브랜드(모델명) XSDTS(DF14), YKESDL(D14P) SANKESONG(3D Face Smart Door Lock)
▲ 폭발한 제품 브랜드(모델명) XSDTS(DF14), YKESDL(D14P) SANKESONG(3D Face Smart Door Lock) Tropernic(17), 미상(H7)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기사 〈“불나면 탈출 불가”…중국산 도어록 주의!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폭발한 제품 브랜드(모델명) XSDTS(DF14), YKESDL(D14P) SANKESONG(3D Face Smart Door Lock) Tropernic(17), 미상(H7)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기사 〈“불나면 탈출 불가”…중국산 도어록 주의!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나면 탈출 불가”…중국산 도어록 주의!
-
- 입력 2025-02-18 21:26:39
- 수정2025-02-19 07:51:09

[앵커]
해외 직구로 디지털 잠금장치, 도어록 구매하시는 경우,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일부 중국산 제품은 불이 나면 문을 열 수 없어 탈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류란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디지털 도어록을 시험기구 안에 넣고 270도 고온에서 10분간 방치했습니다.
수동 개폐장치 부분이 완전히 녹아버렸습니다.
도어록이 잠긴 상태로 문을 열고 나갈 방법이 없는 겁니다.
소비자원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파는 중국산 도어록 10개 제품을 시험했더니, 3개는 화재 시 문을 열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내 안전기준은 디지털 도어록 '화재 대비 시험'에서 270도에서 10분이 지난 후에도 수동 레버로 열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이 해외 직구로 국내에 유통되고 있었던 겁니다.
손잡이가 녹아내린 3개를 포함해 리튬이차전지가 들어간 5개 제품은 모두 폭발까지 일으켰습니다.
[나은수/한국소비자원 기계모빌리티팀장 : "화재 발생 시 시험 기준 온도인 270도보다 낮은 170도에서 260도 범위에서 배터리가 발화·폭발해, 거주자 대피에 방해 요인이 되는 도어록 파손, 화재 확산의 우려가 높았습니다."]
현재 국산 도어록은 리튬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없지만, 5월부터는 가능해 리튬이차전지를 쓰는 도어록을 살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중국산 제품 중 1개는 비상 전원 단자가 없어, 배터리가 방전되면 밖에서 문을 열 수 없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비교군으로 실험한 국산 제품들은 모두 화재 시 문을 열 수 있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안전기준에 맞지 않는 중국산 제품 6종류 대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유통을 차단하고, 환불하도록 조치했습니다.
이와 함께 'KC 인증'을 받은 도어록을 구입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유리/화면제공:한국소비자원·게이트맨
해외 직구로 디지털 잠금장치, 도어록 구매하시는 경우,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일부 중국산 제품은 불이 나면 문을 열 수 없어 탈출이 불가능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류란 기자의 보돕니다.
[리포트]
디지털 도어록을 시험기구 안에 넣고 270도 고온에서 10분간 방치했습니다.
수동 개폐장치 부분이 완전히 녹아버렸습니다.
도어록이 잠긴 상태로 문을 열고 나갈 방법이 없는 겁니다.
소비자원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파는 중국산 도어록 10개 제품을 시험했더니, 3개는 화재 시 문을 열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국내 안전기준은 디지털 도어록 '화재 대비 시험'에서 270도에서 10분이 지난 후에도 수동 레버로 열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이 해외 직구로 국내에 유통되고 있었던 겁니다.
손잡이가 녹아내린 3개를 포함해 리튬이차전지가 들어간 5개 제품은 모두 폭발까지 일으켰습니다.
[나은수/한국소비자원 기계모빌리티팀장 : "화재 발생 시 시험 기준 온도인 270도보다 낮은 170도에서 260도 범위에서 배터리가 발화·폭발해, 거주자 대피에 방해 요인이 되는 도어록 파손, 화재 확산의 우려가 높았습니다."]
현재 국산 도어록은 리튬이차전지를 사용할 수 없지만, 5월부터는 가능해 리튬이차전지를 쓰는 도어록을 살 때는 주의해야 합니다.
중국산 제품 중 1개는 비상 전원 단자가 없어, 배터리가 방전되면 밖에서 문을 열 수 없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비교군으로 실험한 국산 제품들은 모두 화재 시 문을 열 수 있었습니다.
소비자원은 안전기준에 맞지 않는 중국산 제품 6종류 대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유통을 차단하고, 환불하도록 조치했습니다.
이와 함께 'KC 인증'을 받은 도어록을 구입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이유리/화면제공:한국소비자원·게이트맨
▲ 문 안 열린 제품 브랜드(모델명) XSDTS(DF14), YKESDL(D14P) SANKESONG(3D Face Smart Door Lock)
▲ 폭발한 제품 브랜드(모델명) XSDTS(DF14), YKESDL(D14P) SANKESONG(3D Face Smart Door Lock) Tropernic(17), 미상(H7)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기사 〈“불나면 탈출 불가”…중국산 도어록 주의!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폭발한 제품 브랜드(모델명) XSDTS(DF14), YKESDL(D14P) SANKESONG(3D Face Smart Door Lock) Tropernic(17), 미상(H7)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기사 〈“불나면 탈출 불가”…중국산 도어록 주의!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
류란 기자 nany@kbs.co.kr
류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